View : 623 Download: 0

여성해방적 영성에 대한 한 연구

Title
여성해방적 영성에 대한 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Feminist Spirituality
Authors
최수현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Keywords
여성해방영성연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鄭賢瓊
Abstract
본 논문은 '영성'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와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여성해방적 이해를 대비시켜 고찰해 봄으로써, 오늘날 생태계의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여성을 해방시킬 수 있는 대안적인 영성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종교인들이 갖고 있는 일반적인 영성 개념의 문제점을 지적해 본다. 그러한 영성 이해는 성과 속을, 남성과 여성을, 문화와 자연을, 정신과 물질을 엄격히 구분하여 전자를 우월하게 보는 위계체제적 가치관을 반영하고 있다. 전통적인 영성의 특징에는 개인적이고 금욕적인 영성과 가부장적인 영성이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영성은 대체로 힘에 대한 공통의 기반 위에 서 있는데, 이때의 힘은 타자를 짓눌러 지배하는 힘(power-over), 억압하고 통제하는 힘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전통적인 영성이 여성 속에 내면화된 과정을 추적해 본다. 여기에는 가부장적 하나님의 이미지와 성역할 고정관념에 대한 분석이 포함된다. 그리고 나서 여성과 자연에 대한 적대적인 전통적인 영성이 자연에 미친 영향을 검토한다. 그러나 전통적인 영성을 극복하고 새롭게 떠오르는 영성의 개념들을 여성해방적 영성이라는 주제 하에서 살펴본다. 이 새로운 영성은 개방과 전환의 영성이며, 여성의 경험에 기초한 영성이고, 총체적인 자유의 영성이다. 그것은 종래의 전통적인 영성에서 나타낸 힘의 개념에도 도전하는데, 새로운 영성에서의 힘은 지배하는 힘이 아니라, 관계 안에서 서로 나누는 힘(power with and power among)이요, 상호성을 세우는 '에로틱 파워(erotic power)'로 정의된다. 이 새로운 영성은 하나님에 대한 여성해방적 이미지를 고취시키고, 여성들 스스로가 자기 확증적인 새로운 여성상을 정립하도록 돕기 때문에 여성 해방적 영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영성의 역할은 여기서 끝나지 않고, 자연세계에도 눈을 돌리게 된다. 전통적인 영성의 구성요소인 가부장적 이원론으로 말미암아 여성과 함께 고통 받아 온 자연의 현실을 직시하면서, 인간과 자연 사이의 소외를 극복하는, 내재성과 상호연결성에 근거한 생태계 여성해방적 영성(Ecofeminist Spirituality)에는 나아가는 것이다. 이상에서 행해진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서구적 상황에서 배태된 새로운 영성이 한국적 상황에서는 어떻게 전개되어야 할 것이지 고민해 본다. 그 첫번 단계로 한국 교회가 지닌 영성의 현실을 진단하는데, 그것은 선교 초기부터 사회와 단절된 개인주의적 성향을 나타내고, 내세지향적이며 물질 축복위주의 왜곡된 성령운동에 연결되고 있다. 이는 한국교회가 경제정책에서의 파행성 성장 제일주의와 맞물려 교회의 질적 성숙을 뒤로 한 채 양적 팽창으로만 치닫는 결과이다. 그리하여 앞으로 한국여성신학이 새로운 영성을 구현할 때 지향해야 할 실천적인 방법으로 희년운동과 생명문화 창조운동을 들어 가능성을 전망해 본다.;By contrasting traditional spirituality and new spirituality, this thesis aims to grope for the feminist spirituality which can overcome traditional spirituality and liberate woman and nature under the patriarchal society. Under the above assumption, i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presented. The second chapter is divided into 3 sections. In the first section, the problems of traditional spirituality are presented. They have individualistic and patriarchal spirituality. The latter had three characterastics. At first, it is dualistic which is divided men and women, human and nature. Second, it excludes women's experiences. And last, it defines power as the "power-over" relationship which controls and rules the others, especially women and nature. In the second section, the problem of tracitional spirituality which is internalized within women is indicated. It contains the patriarchal God image and the sex role stereotype which is defined by the male psychologist. In the last section, the effect of traditional spirituality on nature is expressed. It has been oppressed nature as well as women in the name of patriarchal dualism. In the third chapter, the new spirituality, that is holistic feminist spirituality is groped.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pirituality are open to whole creation and feministic. This spirituality starts women's experience and redefines power as "power-within-from", "power-among". and "erotic power". Next section the feminist God image and new spirituality of women who find out their affiramtive by themselves through the feminist spirituality are presented. In the last section, Ecofeminism and earth-based spiritualtiy are presented. In the forth chapter, it is pointed out that nowadays Korean church has been misled spirituality. In these churches, christians, especially women become irrational and insensible about political situation and ecological crisises. After critisicm, Jubilee movement and the movement of life culture as models of new spirituality are suggested. In the last chapter, the whole study of this thesis is summerized. And then this thesis ends with limitations of this and proposing some informa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