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3 Download: 0

傳統紋樣을 도입한 現代的 韓國畵의 모색

Title
傳統紋樣을 도입한 現代的 韓國畵의 모색
Other Titles
(A) Research into Modern Korean Paintings Introducing Traditional Patterns
Authors
金靜延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동양화과
Keywords
전통문양현대한국화동양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吳龍吉
Abstract
전통이란 전하여 내려오는 오랜 계통이나 또는 역사를 뜻한다. 한국의 전통문화 역시 한국의 역사적 변화와 시대적 배경에 의해 형성되어 왔으며, 한국인의 정기가 서려 있다. 즉 한국의 전통문화는 한국인의 생활의 일부로 자리 잡고 정신적 지주로서 역할을 다하였다. 여기에서 "문양"은 한국인이 가지는 독특한 문화의식과 문화의 한 산물로써 발전되어 간다고 볼 수 있다. 고대로 부터 이어온 각 민족과 국가를 중심으로 역사의 흐름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따라서 문양에는 시대정신이 깃들여 있으며, 이것은 각시대의 특징과 생활상이 요소요소에 잘 표현 되어있다. 청동기시대에 나타난 동물문양은 스키도시베리안 계통의 모양으로 북방의 영향을받은 것으로 보아 우리의 민족 이동설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이와같이 문양은 각 민족의 독자적 조형의지로서 그것이 실현되는 모습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으며 시대적 생활감정, 미적감각등이 그대로 반영된 상징적 구성이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에서는 자연과 인위적인 여건에서 부터 산출되어 우리의 생활감정과 직결 되었다고 볼 수 있는 문양의 미적감정과 의식을 고찰해 보고, 본인의 작품분석과 참고 도판을 통해 우리민족의 오랜 생활속에서 자생적으로 우러나온 표현으로 서로 어우러져온 각 시대의 정신을 느끼고 전통과 현대의 감각이 조화된 한국화를 실현하고자 한다. 작품제작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문양이 같은 모양으로 연속적으로 균일하게 나열되어 독특한 조형세계를 이루게 하였으며 전통적 방법과 한국적 형상성을 현대조형의 시각으로 연결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화면상에서 여백의 활용을 통해 공간성을 추구하면서 주로 사용된 瓦當紋樣과 일상적인 전통생활용구에서 느낀 생각과 감정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자 한다.;Traction means the pedigree of something or history having been handed down for a long time. So, Korean traditional culture has been formed by its historical change and background, and in it is Korean essence-spirit and energy-included. In fact, Korean traditional culture took its seat as a part of Korean life and has performed a role of 'a spiritual pillar'. Therefore, it is deemed that Korean 'pattern' is developing into a product from a unique, peculiar sense of culture of Korean people. The characteristic patterns of each people or nation having been handed down from ancient times take their root througth out historical transition. Accordingly contemporary spirits dwell in the pattern thereby well expressing the characteristics and looks of living of each era. For example, the animal patterns of the Bronze Age, a kind of pattern similar to SKITO SIBERIAN style of pattern, assuming that such patterns had been influenced by the north, well support a legend of our people's mitigation. Such patterns as a way of expression of each people's original, formative will, according to the looks into which the patterns are materialized, have been developed in variety and therefore, they can be regarded as a symbolic structure in which contemporaty life emotion, aesthetic senses, etc, are well reflected. In such a contex, the study intended to review the aesthetic feeling or sentiment and senses of the patterns, products from nature or from an artificial situation which are regarded to be directly related to our feeling of life, and through some analysis of this author's works and reference to them, while feeling or getting impression by the spirit of each era which has been harmonized as the expression autogenously created in a long life of our people, thereby to realize some Korean paintings In that tradition and modern sesnses are harmonized. And in production of works also, traditional patterns were uniformly and consecutively displayed in same patterns so that a unique, peculiar plastic world can be created, and it was intended that the traditional method and Korean nature of shaping or configuration be connected by means of a modern, plastic perspective. And through utilization of the space on a canvas, while pursuing the advantage of space, it was intended to symbolically depict the thought and emotion felt from the Patterns of Roof-end tiles which were majorly used in this study and from daily traditional living applian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