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순경-
dc.contributor.author명진숙-
dc.creator명진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5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5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3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566-
dc.description.abstractSince 987 laborer's family movement as new style of collective action has appeared. Organizing wives's group like 'Family Practice Committee', women participated in the strike actively. After the strike, they groped for women's organizational activity sharing then daily activity. As to this activity feminst movement group tried to organize, it as a wives' movement due to their status as housewives while labor movement group regarded it as labor class movement due to their class. In particular wives' energetic activities in the laborers' family movement were newly appreciate regarding housewives' organization. Until now the possibility of organizing housewives has been regarde negatively because they are isolated in their home, In recent, however, housewives activily concerned themselves in their own matter. And there is a tendency to organize housewives more than before. The organizational activity of housewives could relieve them of their isolation feeling and also it could be the important chance to increase their sociopolitical power. But this noticeable activity of laborers' wives was depressed and broken. Therefore watching the depression of their activities after strike, I studied the limit of their organizational activities. This is. I inquired into the codition and process of wives' active participation in organizational activity and the limitation of their activity. As for the research method I used a case study on laborers' wives in 3 factories in which family movement of labor had occurred since 1987. The result of this article is as followings. Frist, active participation in family movement of labor of laborers' wives resulted from both their class interest as working family and tradional female consciousness. Traditional female conscoiusness means husband is breadwinner so wives' role is helping their husband. This activity was facilitated by space condition, adjacency of workplace and residence. Second, organizational activity of laborers' wives influenced on the strike and it was the chance to their new recognition and experience on organizational activity. Also it could weaken their traditional female consciousness and change the sex/gender system which is power relation. But wives' change through organizational activity has partly accomplished because their activity was possible by the medium of their husband. Third, oppressive sex-role constraint due to sex/gender system made their organizational activity depressed or broken. And this depression conservative understanding to wives' trade union activity. The significance of this article is as follows. I examined to theoreticaliy that sex-role constraints based on traditional femaly consciousness could give rise to the organizational activity of laborers' wives. At the same time it could restrict their activity. In pratice we need to group for new organizational activity giving consideration to change or relax women's sex-role constraints.;87년 이래, 노동운동에서는 노동자 가족운동이라는 새로운 양식의 집단행동이 등장하였다. 여성들은 '가족실천위원회'등의 부인조직을 구성하여 파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파업이 끝난 후에는 노동자 부인들의 일상적 과제를 기반으로 하는 조직활동을 모색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노동자 부인들의 활동은 한편으로 주부의 입장에서 진행된 점을 주목하여 이들을 주부운동의 일환으로 조직하려는 여성운동부문의 관심과 다른 한편으로 노동자 부인의 계급적 성격을 강조하여 이들의 조직화를 모색하려는 노동운동부문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 특히 노동자 가족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노동의 중심이 된 부인들의 활동은 주부의 조직활동과 관련하여 새로운 평가를 받게 되었다. 이제까지 주부들은 가정이란 영역에 머물러 있는 존재로서 조직활동과 관련해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최근들어 주부들은 한편으로 자신들의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주부들을 대상으로 하는 조직 활동 또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실제로 주부들의 조직 활동은 가정의 영역에 고립되어 있는 주부에게 사회와 고립되어 있다는 느낌을 없애줄 뿐 아니라 주부들의 사회적, 정치적 힘을 증진시키는데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주목을 받았던 노동자 부인들의 활동은 침체되거나 단절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동자 가족운동을 통해 활발히 나타났던 부인들의 활동이 집단행동 이후에는 제대로 진행되지 못한 시설에 주목하여 여성들의 조직활동에 따르는 제약점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시 말해서 본 논문에서는 사적 영역에 개별적으로 고립되어 있는 주부들로 하여금 조직 활동에 참여하게 만드는 조건은 무엇이며 그 과정은 어떠하였고, 여성들의 활동에 나타나는 제약점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서 57년 이래 노동자 가족운동이 일어났던 5개의 사업장의 노동자 부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동자 가족운동에서 보여지는 노동자 부인들의 적극적인 참여는 노동자 가족으로서의 계급적 이해관계와 전통적인 여성의식이 결합하여 이루어졌다. 여기서 부인들의 전통적 여성의식이란 생계의 책임은 남편에게 있으며 부인의 역할은 남편을 지원하는데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와 같은 부인들의 활동은 사업장과 거주지가 근접해 있다는 공간 조건과 결합하면서 더욱 촉진되었다. 둘째, 노동자 부인의 조직활동은 남편의 사업장에서 일어난 파업에 영향을 주었을 뿐 아니라 부인들에게는 조직활동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경험의 계기가 되었다. 이것은 전통적 여성의식을 완화시키고 권력활동인 성별관계의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그러나 남편을 매개로 노동자 부인의 활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조직활동을 통한 부인들의 변화는 부분적으로 이루어진다. 셋째로, 노동자 부인들의 조직 활동의 침체와 중단은 성별관계에 따라 여성들에게 억압적으로 작용하는 성역할 제약의 영향에서 비롯된다. 또한 노동자 부인의 사회 경제적인 조건이나 노동조합의 부인활동에 대한 보수적인 인식도 노동자 부인의 활동을 침체하게 만든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노동자 부인들이 조직 활동을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전통적 여성의식을 기반으로 한 성역할 제약이 중요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동시에 제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이론적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실천적 차원에서는 여성들의 조직활동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여성들의 성역할 제약을 변화시키는 노력과 동시에 현재 여성들이 많은 부담을 갖고 있는 성역할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는 조건을 고려한 조직활동의 모색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 7 Ⅱ. 기존논의 검토 = 12 Ⅲ. 본론 = 20 A. 노동자 가족운동의 형성 = 20 1. 노동자 부인의 이해관계 형성 = 22 1) 가족의 생존전략의 위기 = 23 2) 전통적인 여성의식 = 27 2. 노동자 부인과 역량의 형성 = 35 B. 노동자 가족운동의 의의 및 한계 = 39 1. 파업과 노동자 부인들의 조직활동 = 39 2. 조직활동의 경험과 여성의 변화 = 44 1) 사회 의식 각성의 장 = 44 2) 부부관계의 변화 = 47 C. 노동자 부인의 활동 제약 요인 = 50 1. 성역할제약 (gende role constraints) = 51 1) 가사전담자로서의 역할 = 52 2) 여성의 양육노동부담 = 59 3) 여성성 = 63 2. 노동자계급 여성의 존재조건 = 68 3. 노동조합의 소극적 자세 = 71 Ⅳ. 결론 = 74 참고문헌 = 78 ABSTRACT =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100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노동자-
dc.subject가족운동-
dc.subjectActivity-
dc.subjectWorking Family-
dc.subject.ddc300-
dc.title노동자 가족운동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Activity of Working Family-
dc.creator.othernameMyong, Jin-sook-
dc.format.pagevi,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