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문인숙-
dc.contributor.author박선영-
dc.creator박선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4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7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3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711-
dc.description.abstract급변하는 현대사회의 복잡한 생활에서 정신건강은 많은 위협을 받고 있으며 한 개인의 정신질환이 개인, 가족, 지역사회, 나아가 국가 전체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중요한 사회적 지지작용을 하는 가족은 여러가지 정신병적 증상과 행동을 보이는 정신질환자를 돌보면서 가정 및 사회생활과 심신의 건강 측면에서 많은 부담을 안게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정신질환자 가족은 발명의 원인으로 간주되어 왔고 환자에게 필수적인 일차적 보호제공(Primary Caregiving) 역할에서 가족이 받는 부담의 문제영역과 그들이 기대하는 도움에 관한 연구는 소홀하여 온 경향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 가족이 환자의 증상 및 행동과 보호제공으로 인해 가정 및 사회생활에서 겪는 객관적 부담과 심리·정서적인 주관적 부담, 그리고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그 부담을 경감시키는 한편 궁극적으로 환자의 치료와 재활에 유용한 자원으로 기능하기 위해 가족이 기대하는 도움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 조사연구를 기반으로 정신질환자 가족의 우수한 보호제공 기능에 가치를 부여하고 환자와 가족 공동의 사회기능과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해 사회사업의 전문적 도움의 확대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실증적 연구는 서울, 경기, 광주, 부산의 11개 신경정신병원의 외래 및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기능성 정신질환자의 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총 95명의 조사결과가 자료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도구는 객관적 부담척도(Pai & Kapur가 개발, 연구자가 수정·보완) 39문항, 주관적 부담척도(Thompson & Doll의 연구, 연구자가 수정·보완) 29문항, 그리고 기대하는 도움의 척도(Hatfield 개발) 22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와 SA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T 검증(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켄달의 서열상관계수(Kendall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Tau b)에 의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신질환자 가족의 객관적 부담수준은 중도범위에 속했고, 환자 및 가족의 일반적 특성 중 가족수입, 환자의 현상태 및 예후에 대한 가족의 지각, 환자의 유병기간, 발병 후 재원기간에 따라서 객관적 부담수준의 유의미한 차이(p < .05, p < .001)가 검증되었다. 그 외 가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환자의 진단명, 입원 및 외래치료에 따른 차이는 검증되지 않았다. 상관관계 면에서 환자의 유병기간과 재원기간이 객관적 부담수준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환자의 유병기간이 길어질수록, 그리고 재원기간이 길어질수록 가족의 객관적 부담수준이 증가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2. 객관적 부담의 8가지 요인에 따른 부담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 < .001)를 보였고 환자의 보호 및 관리에서 부담이 가장 높고 가족일상생활, 정신건강서비스와의 관계, 가족내·외 상호작용, 가족여가, 가족정신건강, 가족신체건강, 재정적 부담 순서로 나타났다. 3. 주관적 부담수준 역시 중도의 범위에 속했고 환자 및 가족의 일반적 특성 중 환자의 유병기간, 재원기간, 그리고 정신분열증과 그 외 진단명의 양분에서 주관적 부담수준의 유의미한 차이(p < .05)가 검증되었다. 상관관계 면에서 환자의 유병기간과 재원기간이 주관적 부담수준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환자의 유병기간과 재원기간이 길어질수록, 객관적 부담과 마찬가지로 가족의 주관적 부담수준도 증가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4. 주관적 부담의 13가지 요인에 따른 부담수준은 유의미한 차이(p < .001)를 보였으며, 동정의 부담이 가장 높고 비애, 당황, 불안 및 걱정/수치, 함정에 빠진 느낌, 과부담감, 상실감, 분노, 죄책감, 낙인, 스트레스 표현, 배척의 순서였다. 또, 요인별로 부담이 심한 가족의 비율은 동정, 비애, 당황, 함정에 빠진 느낌, 상실감/수치, 과부담감, 스트레스 표현/죄책감, 불안 및 걱정, 분노, 낙인, 배척 순서로 나타났다. 5. 객관적 부담과 주관적 부담의 상관관계에서 객관적 부담의 8가지 요인 모두는 주관적 부담의 총수준과 상관관계가 있었고, 주관적 부담 요인 중 과부담감, 낙인, 당황, 배척, 분노, 불안 및 걱정, 상실감, 스트레스 표현, 함정에 빠진 느낌 등이 객관적 부담의 총수준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객관적 부담의 총수준과 주관적 부담의 총수준 역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객관적 부담이 높아질수록 가족의 주관적 부담감도 높아지며, 주관적 부담감의 상승은 다시 객관적 부담의 증가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나타냈다. 6. 도움에 대한 가족의 기대수준은 높은 범위에 속했고 환자 및 가족의 일반적 특성 중 가족수입과 재원기간에서 유의미한 차이(p < .001, p < .05)를 보였다. 상관관계 면에서 환자의 재원기간이 도움의 총기대수준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재원기간이 길어질수록 부담의 증가와 함께 도움에 대한 기대수준도 높아짐을 보여주었다. 도움에 대한 기대수준의 요인에 따른 통계적 차이는 없었지만 지역사회지원 연결에서 가족의 기대수준이 가장 높고, 정신병적 증상과 약물 대처, 정신질환 이해 및 보호자를 위한 지지적 도움, 가족관계 개선의 순서였다. 상관관계 면에서 객관적 부담의 요인 중 가족일상생활, 가족여가, 가족내·외 상호작용, 환자보호 및 관리, 정신건강서비스와의 관계가 도움의 총기대수준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주관적 부담의 요인 중 과부담감, 낙인, 불안 및 걱정, 함정에 빠진 느낌이 도움의 총기대수준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객관적 부담의 총수준과 도움의 총기대수준, 주관적 부담의 총수준과 도움의 총기대수준 간에도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나 객관적 및 주관적 부담이 증가할수록 도움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정신질환자 가족은 환자보호 및 관리를 중심으로 여러가지 객관적 및 주관적 부담을 겪으며 전문적 도움에 대해 높은 기대를 갖고 있으므로 정신질환자의 치료와 재활을 초점으로 가족 전체가 보다 나은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사업의 실천노력이 배가되어야 하겠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정신질환자 가족을 돕기 위해 가족에 대한 올바른 이해 및 가치의 변화와 병원, 지역사회, 국가가 계속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맥락의 사회사업 실천방법과 후속연구를 위한 두 가지 측면에서 제언하였다.;Mental illness has a lot of harmful influences on the individual, family, community, and the whole nation. Especially, the family which acts as a primary caregiver has much burden in household, social life,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But often it has been considered that the family brings about the tendency for a family member to become mentally ill, so there is few study about the problem which the family suffers in caregiving role and the help which it asks for.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objective burden, psychological/emotional subjective burden, and the correlationship between such family burdens which are experienced by families and related to the symptoms and behaviors of the patients. Also this study grasps the help that can reduce the family burden and that the family asks for in order to function as a resource in patient's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Based on the research, this study is to give a value on the family's prominent caregiving function and expand the professional help of social work in order to improve the social function and problem-solving capacity of the patient and family. The object of this study consists of ninety-five families whose functional psychiatric patients receive in/out-patient treatment from the eleven psychiatric hospitals of Seoul, Kyeung-gi, Kwang-ju, Pusan. This study uses as a tool 'objective burden scale' developed by Pai & Kapur and complemented by investigator, 'subjective burden scale' developed by Thompson & Doll and complemented by investigator, and 'help(to be expected) scale' developed by Hatfield. The collected data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and Kendall Rank Correlation Coefficient(Tau b) through using SPSS program and SAS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atient family's level of objective burden was moderat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mily's levels of objective burden depending upon the family income, family's perception of patient's current condition and of patient's prognosis, patient's prevalence period, and institutionalized period of the patient. However, this study found out that family'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atient's diagnosis, and the ways of treatment(in/out-patient) did not affect family's objective burden. There was direct cor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objective burden and patient's prevalence period or patient's institutionalized period.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mily's levels of objective burden depending upon the eight factors, and the order is like this: care and supervision of patient, family routine, relationship with mental health service, family interaction, family leisure, mental health of family, physical health of family, financial burden. While the order of severe objective burden is like this: mental health of family, physical health of family, care and supervision of patient, family leisure, family routine/family interaction, relationship with mental health service, financial burden. 3. Patient family's level of subjective burden was moderat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mily's levels of subjective burden depending upon patient's prevalence period, patient's institutionalized period and the two division of schizophrenia and other diagnosis. There was direct cor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ubjective burden and patient's prevalence period, and patient's institutionalized period.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mily's levels of subjective burden depending upon the thirteen factors, the order is like this: sympathy, grieving, embarrassment, anxiety and worry/shame, entrapment, overload, sense of loss, anger, guilt, stigma, expression of stress, exclusion. And, the order of severe subjective burden is like this: sympathy, grieving, embarrassment, entrapment, sense of loss/shame, overload, expression of stress/guilt, anxiety and worry, anger, stigma, exclusion. 5. There was direct cor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level of subjective burden and the whole eight factors of objective burden, and between the total level of objective burden and overload, stigma, embarrassment, exclusion, anger, anxiety and worry, sense of loss, expression of stress, entrapment among the factors of subjective burden. There was a very significant direct cor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level of objective burden and the total level of subjective burden. 6. The level of help expected by families is very hig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upon family income and patient's institutionalized period. There was direct cor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level of help expected by family and the institutionalized period of patient. 7. As for the help expected by families, although there were not statistical differences depending upon the five factors of help, the order is like this: linking of community resources. coping method of psychiatric symptom and medicine, understanding and coping method of mental illness/supportive help for the caregiver, improvement of family relationship. There was direct cor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level of help to be expected and the five factors of objective burden(family routine, family leisure, family interaction, care and supervision of patient, and relationship with mental health service), and between the total level of help and the four factors of subjective burden(overload, stigma, anxiety and worry, entrapment). Also, there was direct cor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level of objective burden and the total level of help to be expected, and between the total level of subjective burden and the total level of help to be expected. In summary, the families with the mentally ill have been suffering various objective and subjective burdens, and have the high expectancy of professional help around care and supervision of patient. Therefore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practical social work has to effort in order to have the patient and family get a better life, and have the family of patient can involve in patient's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I represented in two aspects: the social work practice for a continuity of the service of medical center, community, and the nation with a right understanding and the change of values about the families with the mentally ill, and the subsequent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5 C. 용어의 정의 = 6 D. 연구의 제한점 = 7 Ⅱ. 이론적 배경 = 9 A. 정신질환자 가족의 부담 = 9 1. 개념적 측면에서 본 정신질환자 가족의 부담 = 9 1) 가족부담의 초기연구 및 개념 = 9 2) 객관적 부담 및 주관적 부담과 그 관계 = 13 2. 경험적 측면에서 본 정신질환자 가족의 부담 = 16 1) 가족관계에 따른 부담 = 16 (1) 부모 = 17 (2) 배우자 = 18 (3) 형제-자매 = 20 (4) 자녀 = 21 2) 정신질환자 가족의 객관적 부담과 주관적 부담 = 21 (1) 가족에게 부담을 주는 정신질환자의 증상 및 행동 = 22 (2) 정신질환자 가족의 객관적 부담 = 24 (가) 가정생활의 부담 = 24 (나) 사회적 부담 = 26 (다) 경제적 부담 = 27 (3) 정신질환자 가족의 주관적 부담 = 28 B. 정신질환자 재활자원으로서의 가족 = 31 1. 가족부담과 정신질환자 증상의 상호작용 = 31 2. 재활자원으로서 정신질환자 가족이 기대하는 도움 = 34 Ⅲ. 연구방법 = 38 A. 연구대상 = 38 B. 연구도구 = 38 C. 자료분석 방법 = 40 Ⅳ. 연구결과 분석 및 해석 = 41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41 B. 연구문제에 대한 검증 = 47 Ⅴ. 결론 및 제언 = 73 참고문헌 = 80 부록 = 87 ABSTRACT =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770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정신질환자-
dc.subject가족 부담-
dc.subject전문적 도움-
dc.subject재활자원-
dc.title정신질환자 가족의 부담과 그에 따른 전문적 도움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신경정신병원을 이용하는 환자 가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Burden of Family with the Mentally Ill and Professional Help to It : Cases of Families with Patients Using the Neuropsychiatric Hospitals-
dc.creator.othernamePark, Sun Young-
dc.format.pageviii,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