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2 Download: 0

교사의 교직 전문성인식과 역할수행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Title
교사의 교직 전문성인식과 역할수행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uthors
장은정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교사전문성인식역할수행직무만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동원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직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역할수행과 관련하여 밝혀 보고자 한 것이며, 아울러 중등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 역할수행, 직무만족을 각 개인별 특성과 관련하여 살펴 보았다. 오늘날과 같이 급속도로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교직 전문성에 대한 요구는 필연적으로 대두되어지며, 교직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 자신의 교직에 대한 전문직적 자각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하겠다. 결국 교직 전문성 인식은 실제적 교육현장에서 교사의 역할 수행에 영향을 주게될 것으로 보이며, 아울러 직무만족을 통한 교사의 사기에도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효율적인 교육목표 달성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교직 전문성 인식, 역할수행, 직무만족은 교사의 개인적 특성별로 차이가 날것이라 보고, 각 개인적 특성과 전문성 인식, 역할수행, 직무 만족과의 관계도 살펴 보았다. 본 연구는 위의 연구를 위해 서울시내 중등교사들을 대상으로하여 질문조사를 하였으며, 조사를 통해 밝혀진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 전문성 인식은 개인별 특성 중에서 연령, 출신학교(사범계 / 비사범계), 교직경력과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그 외의 변수인 성, 직위(주임교사 / 평교사), 근무학교 형태(공립 / 사립), 교육정도와는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지 않음이 밝혀졌다. 둘째, 교사의 역할수행은 개인별 특성 중에서 성, 연령, 교직 경력, 직위와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셋째, 직무만족은 근무학교 형태(공립 / 사립) 이외의 다른 개인별 특성과는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고 있지 않음이 밝혀졌다. 넷째, 교직 전문성 인식은 역할 수행이라는 변수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다섯째, 교직 전문성 인식은 직무만족에 직접적으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교직 전문성 인식의 중요성을 인식한 가운데, 실제적 교육현장에서 교직 전문성 인식이 역할수행과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하는지를 밝힘으로써 교직 전문성 인식의 중요성 및 영향력을 행사하는지를 밝힘으로써 교직 전문성 인식의 중요성 및 영향력을 경험적으로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중등교사 대상의 본 연구를 서울시내 몇몇 학교에 한정시켰으므로 일반화의 문제가 한계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The Purpose of thesis is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in their teaching. The thesis also attempts to estabi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junior-high and high school teachers. The need to recognize professionalism in teaching is becoming increasingly imperative, especially in today's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and in order to fulfill this need, teachers themselves, before everyone else, must recognize the professionalism in their work.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itself if likely to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teachers, for instance, in achieving education gaol efficiently, because teachers who recognize the professionalism in the practical teaching field are likely to have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Not all teachers, however, would recognize the professionalism by the same extent, 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re likely to influence the level of recognition. Primary data needed to [estabilish] the aforementioned two relationships were obtained through a random survey on teachers of junior-high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the following five conclusions were made: 1)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is influenced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among which age, major (whether or not he/she graduated from a college of education) and teaching experience have significance, while sex, type of school (private or public), teaching status(whether or not he/she is a full-time staff) and educational background have no consequences. 2) The teachers' role performance is influenced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among which sex, age, teaching experience, teaching status have significance. 3)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the type of school(private or public). 4)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determines the level fo job satisfaction indirectly, through the teachers' role performance. 5)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itself does not directly determine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mong others,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practical teaching field, this thesis reveals that the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itself influence both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the efficiency of teachers as an educator. As such, this thesis proves, through empirical professionalism in teaching. However, the relationships established by this thesis should not be used to generalize the teachers nationwide, given that the survey was conducted randomly in teachers of selected schools in Seoul on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