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수정-
dc.contributor.author이승연-
dc.creator이승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3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5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2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512-
dc.description.abstractCloths which can be easily met in our daily life give us many uses. They have various functions in various stuffs like dresses, bedclothes, banners, tents, and so on. They also show various feelings through sense of sight or touch like waving softly, toughness, being parched, and smoothness. This study purports to inquire how the image of cloth can be expressed in the ceramic formation choosing the typical feature of cloth, ‘softness’. This study also contains several artists' work cases expressing the image of cloth to confer manufacturing process. As expressing methods of the productions, shaping only the cloth itself (opus 1,2,3,4 and 7) and making complex using other materials (opus 5,6,8,9 and 10) were used. The slip casting method using gypsum molding and the plate transformation method using gypsum plate were choosing as for the working method. The former was to express simpleness and sleekness of cloth, and the later was to surmount the limitation of gypsum mold which was difficult to express overlapping of cloth. As for the clay body, ceramic clay and the white clay picked in ‘Milyang’ were chosen. In some cases mixing strains were also used. Spraying and picking methods were adapted for the glazing operation step. On the step, matted white glaze was basically applied. For some case black glaze was particularly speckled to get maximized effect or direct firing technique was used without applying glaze to get mat effect of cloth. The primary firing process was carried out for 8 hours in a 0.7㎥ kiln whose temperature was raised up to 900℃ using kerosene fuel. The secondary firing was done for 9 hours in a 1.5㎥ kiln using gas fuel as an oxidation firing whose temperature was reached to 1220℃. This researcher tried to express the possibility that cloth can be the formative material in ceramic expression, through applying the softness of cloth to the formation of ceramics.;우리는 생활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천으로 인하여 윤택한 삶을 살고 있다. 의복이나 침구류, 실내보조 장치는 물론이고 현수막, 글라이더, 천막, 깃발 등과 같은 무엇을 알리거나 바람을 막는 역할, 또는 하늘에 뜰 수 있도록 하는 장치등의 다양한 기능들이 있다. 그리고 그 기능 만큼이나 천의 질감 또한 다양한데 부드럽게 흘러내린다, 뽀송뽀송 하다, 또는 뻣뻣하다, 등의 촉감이나 시각을 통해서 느낄수 있는 느낌은 무궁무진하게 존재한다. 본 연구는 천의 다양한 질감 중 천의 가장 대표적 특징이라 볼 수 있는 '부드러움'을 선택하여 그 성질이 도자조형 속에서 어떤 이미지로 재형성 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천의 일반적 특성과 이미지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천의 이미지를 표현한 다른 작가들의 조형작품 사례들을 찾아봄으로써 작품제작에 참고가 되고자 하였다. 작품의 표현방법은 천 자체만을 통해 조형화 시키거나 다른 물체를 이용하여 형태를 완성시키는 두가지 표현방법을 선택하였다. (작품 1,2,3,4,7)은 천 자체만을 접거나 뭉치거나 말아올리는 방법 등으로 표현하였고, (작품 5,6,8,9,10)은 다른 물체를 덮거나 포장하는등, 물체에 의존하여 형태를 나타내는 방법을 통하여 도자조형 속에서 천의 부드러운 속성을 이미지화 하고자 하였다. 제작방법으로서 석고틀을를 이용한 이장주입기법과 석고판위에 이장용 자기토를 부어 얇은 흙판을 만든후, 굳기전에 형태를 만드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제작방법의 선택은 천의 표현 방법에 있어서 보다 단순, 깨끗함을 목적으로 이용하였다. 각 작품의 특성에 따라 태토는 자기토, 고려도토를 사용하였고 일부작품의 이장에는 이장용 안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약은 무광배색유를 기본으로 하였고, 음영의 효과를 위하여 흑유, 또는 기본 무광백색유에 푸른색으로 발색하는 유약용 안료를 통합하여 부분적으로 시유하였다. 일부작품에는 유약을 시유하지 않고 소성하기도 하였다. 시유방법은 스프레이 분무법과 담금법으로 얇게 시유하였다. 모든 작품의 소성 온도는 0.7㎥ 석유가마에서 마침온도 900℃로 8시간 동안 1차소성을 하고 1.5㎥ 가스가마에서 마침온도 1220℃로 9시간 30분 동안 산화소성으로 2차소성을 하였다. 본 연구자는 천의 부드러운 질감을 도자조형에 응용함으로 천이 갖는 이미지를 시각화하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천을 조형적 소재로서 표현하고자 노력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 1 Ⅱ. 본론 = 3 A. 천의 일반적 특성 = 3 B. 천 이미지의 조형성 = 4 1. 이미지 = 4 2. 천의 조형화 = 6 C. 천 이미지가 표현된 조형 작품 = 8 Ⅲ. 작품제작과 해석 = 15 A. 디자인및 제작과정 = 15 B. 작품 해석 = 27 Ⅳ. 결론 = 47 참고문헌 = 49 ABSTRACT = 5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602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
dc.subject이미지-
dc.subject도자조형-
dc.subject도예-
dc.title천의 이미지를 표현한 도자조형-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ORMATION OF CERAMICS EXPRESSING-
dc.creator.othernameLee, Seung Yeon-
dc.format.pageviii, 5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예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