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4 Download: 0

경도 정신지체 학생의 단어판별 자동화를 위한 컴퓨터보조학습(CAI)효과연구

Title
경도 정신지체 학생의 단어판별 자동화를 위한 컴퓨터보조학습(CAI)효과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CAI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 TO DEVELOP AUTOMATICITY OF WORD IDENTIFICATION
Authors
고윤경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경도 정신지체 학생단어판별 자동화컴퓨터보조학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송준만
Abstract
최근 특수교육에서의 공학적 접근이 강조되면서 컴퓨터와 컴퓨터 보조학습의 적용 및 그 효율성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컴퓨터의 유용성과 활용방안에 관한 다각적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Tucker, 1982). 이는 컴퓨터가 개별화 수업을 제공함으로써 과제 수행시간을 늘리고 고도로 구조화된 교수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즉각적 피드백과 강화를 제공할 수 있어 특수교육에서 요구되는 교수상황에 부합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수교육에서의 컴퓨터 보조학습(CAI)의 효과에 관한 연구는 교육현장에서의 컴퓨터를 사용한 학습의 유용성과 제한점을 증명하고 그 적용의 타당한 근거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 학생의 단어판별의 자동화를 획득하기 위한 연습을 컴퓨터 보조수업을 받은 집단과 전통적인 수업을 받은 집단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봄으로써 CAI의 유용성을 검증해 보고자 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선정된 연구대상은 특수학교에 재학중인 사전검사에서 20%이하의 단어판별을 보인 22명의 경도 정신지체 학생들로서 각 11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배치 되 었다. 본 연구에서는 취학전, 저학년 수준의 (이응백외, 1982) 24개 단어에 관하여 실험집단은 컴퓨터 보조학습실에서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CAI프로그램으로 판별을 연습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실험반과 같은 교과과정으로 동시간 동안 교실에서 전통적인 방법으로 연습활동을 각 20분씩 15회 실시하였다. 실험처치 이후 단어판별의 정확성과 속도면에서 CAI를 적용한 실험집단과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실시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는 동일한 20개의 단어판별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험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 정답 반응수와 정답 반응속도에 관해 SPSS 패키지에 의한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AI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전통적 학습 적용집단의 단어 판별과제 연습활동 이후 두 집단간의 정답 반응수의 증가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성과를 보였다. 2. CAI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전통적 학습 적용집단의 단어 판별과제 연습활동 이후 두 집단간의 평균 정답 반응시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정답반응시간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때 경도 정신지체 학생의 단어판별 자동화를 획득하기 위한 반복연습형 CAI프로그램의 적용이 자동화의 주요 변인인 정답반응수의 증가와 정답반응시간의 감소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경도 정신지체 학생의 단어판별 자동화는 전통적인 학습방법보다 CAI를 이용한 학습이 더 효과적이라고 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of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CAI) in special education. This CAI is drill and practice mode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 to develop automaticity of word identification. 22 subjects were selected from mildly mental retardation (CA 12.3-14.5, M 13.05, SD 1.36) and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applied CAI and controlled group applied traditional instrution. After 15 sessions, comparision of word identification skill with two groups. were made with respect to mean number of correct responses and mean responses time. T-test was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about differences of mean number of correct response time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tudy concluded that, 1.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in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 2.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in the time of correct respon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