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세화-
dc.contributor.author김정숙-
dc.creator김정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1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4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2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436-
dc.description.abstract현대 교육학 영역에서 이론적인 면에서나 실제적인 면에서 가장 큰 영향을 끼치고, 또한 논란을 불러 일으킨 사람 중의 하나는 Dewey다. 그러나 그의 이론은 여러 교육자들이 실천하는 과정에서, 전체적인 면을 이해하기 보다 전통 교육의 반대 계기로 받아들이는 데 급급한 나머지 아동의 흥미와 경험에 바탕을 둔 생활 중심의 교육만을 부각시켜 교육의 지적인 측면을 무시했다는 거센 비판을 받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와 같은 비판들과는 달리 Dewey 역시 지성의 성장을 강조했다는 측면을 밝히는 데 있다. Dewey는 인간은 기본적으로 지성을 가진 존재이며 교육은 지성의 성장을 돕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지성 교육에 있어 특히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 즉 방법이 중요하다고 보고 모든 교과를 습득하는데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 방법으로 반성적 사고(reflective thinking)에 따른 교육 방법을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는 Dewey가 제시한 교육 방법으로서 반성적 사고가 가지는 특징과 과정은 무엇이며 그것이 교육적으로 어떤 의미를 지닐 수 있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반성적 사고는 새로운 문제나 의문에 직면했을때 발생하며 암시(suggestion) - 지적 정리(intellectualization) - 가설(hypothesis) - 추리(reasoning) - 검증(testing)이라는 과정을 거치는 동안 의문을 해결하고 지식을 습득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반성적 사고 방법이 효율적인 교육 방법이 될 수 있는 이유는 그것이 교과의 논리도 반영하면서 인간의 심리적 과정에도 일치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흥미를 억압하지 않고도 지식을 습득하게 해준다는데 있다. 그리고 사고 방식의 습득은 새로운 사태에도 활용할 수 있는 힘을 갖게 해준다. 반성적 사고의 이와같은 특징은 지식 교육과 도덕 교육의 방법으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교육 과정의 실제에도 많은 시사를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John Dewey gives not only a great influence but also controversies in the field of modern education, both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However his theory was understood only as a moment of Anti-traditional education in practical process and misunderstood as if it only emphasized on life-centered education based on interest and experience of learners. Therefore it has been blamed by neglecting intel intellectual aspect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reveal that he never neglected intellectual growth in education. Dewey understood human beings as intellectual one and pointed out that education should have its object to help the growth of intellectual aspect. He represented the educational method which emphasized Reflective Thinking as a general way of studying every normal subject in school. This thesis tries to reveal what, character and process the reflective thinking has as a way of a educational method, and as a result what kind of meaning it has in educational discussion. Reflective thinking originates when it, confronts new problems and questions, and goes through the process of suggestion - intellectualization - hypothesis - reasoning - testing. Through this process, learners can solve the questions and can get a new knowledge. The reason that such a reflective thinking could be an effective method in education is that it not only reflects logic of subject but also accords with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human being. Therefore learner can achieve the knowledge without repressing his interest, during educational process. Learning a method of thought also gives abilities that adapt to new situation. In conclusion, this specific character of reflective thinking could be used effectively as a method of knowledge and moral education and give lots of merit to praxis of educational proc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 5 Ⅱ. Dewey 교육 방법론의 정립 = 7 A. Dewey 방법론의 사상적 배경 = 9 B. Dewey의 교육 방법론으로서 반성적 사고 = 15 Ⅲ. 반성적 사고의 개념 및 특성 = 22 A. 반성적 사고의 개념 및 기능 = 22 B. 반성적 사고 함양을 위해 지녀야 할 태도 = 37 Ⅳ. 반성적 사고 방법의 현대적 의의 = 41 A. 반성적 사고 방법의 교육적 시사점 = 42 B. 반성적 사고 방식에 관한 비관적 논의 = 59 Ⅴ. 요약 및 결론 = 65 참고문헌 = 59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281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ewey-
dc.subject반성적사고-
dc.subject교육방법론-
dc.subject현대적 의미-
dc.subject.ddc300-
dc.titleDewey의 반성적 사고에 관한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quiry of Dewey's Reflective Thinking-
dc.creator.othernameKim, Chung Sook-
dc.format.pagev,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