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6 Download: 0

반복적 패턴에 의한 본질적 存在로의 접근연구

Title
반복적 패턴에 의한 본질적 存在로의 접근연구
Other Titles
(An) Approach Study on the Being by Repeated Patten
Authors
조수경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Keywords
반복적 패턴본질적 존재서양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화진
Abstract
1945년 이후 현대미술의 흐름은 작가의 내적 경험과 화면의 자발적인 즉흥성을 강조하는 추상표현주의 (Abstract Expressionism)가 등장하고, 이어 정형화 되고 비개성적인 색면추상 (Color field painting), hard-edge가 전개되고, 색이나 형태, 깊이가 감소되는 화면을 제시하는 미니멀리즘 (Minimalism), 모노크롬 (Monochrome)과 물질자체의 성질을 드러내는 쉬포르/쉬르파스 (Support/surface), 패턴회화 (Pattern painting)로 전개되어 왔다. 이와같은 추상미술은 크게 모더니즘의 영역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모더니즘 미술비평가인 클레멘트 그린버그 (Clement Greenberg, 1909~)의 견해에 따르면, 회화에 있어서 '진실'이란 어떠한 미술매체로부터 회화의 본질적이 아닌 모든 것을 추방하는 것을 뜻했다. 그러므로 모더니즘은 평면성이나 캔버스 라는 한정된 사각형의 감축과정으로 해석되었다. 이 과정에서 일루젼과 재현의 모든 체계 모든 주제와 비본질적인 이야기거리, 그리고 작가의 개성을 표현하려는 모든 것이 제거되었다.^(1) 이에 회화로의 복귀로 보이는 포스트·모더니즘 (Post-Modernism)은 모더니즘의 지나친 형식주의적 입장에 반대하여, 미술을 형식이상의 의미구조로 파악하고자 일류젼이나 재현의 모든 체계와 개인의 경험, 상징, 문화적 원형 (Archytype) 등의 모든 주제와 그리고 비본질적인 이야기 거리를 내포하는 다원주의적 경향을 띠고 있다. 이에 본인의 작업과정은 이미 우리들의 회화사에서 축적되어 보여지는 양상에서 선택하여 형식과 내용을 균형있게 받아들이려는 자세로서 작품에 임하고자 한다. 본인은 다양하고 불안정한 이 시대에서 '나'와 '세계'와의 관계속에서 모든 기존의 관념에서 벗어나 그 세계와의 진정한 만남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그것은 본인이 살아오면서 내몸에 융해되어가는 시간의 기억들이나 다양한 체험 그리고 인식대상인 사물에 대한 접근이다. 이와같은 대상에 대한 접근방식으로는 보다 더 밀착된 세계로 이끌어주고 있는 메를로 퐁티(M. Merleau Ponty)의 지각론에 근거하여 그 存在로의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본 논문의 내용적 연구에서는 지각개념을 통하여 구체적인 대상인 자연과의 원초적인 접촉을 시도하고, 신체개념에 의한 자연에서 전이된 환원적 형태를 체계적으로 서술하고자 한다. 방법적인 연구에서는 본인의 작품에서 보여지는 자유롭게 표현된 환원적 형태의 반복에 의한 시각적 요소를 반복적 패턴을 회화공간에 도입한 필립타페 (Philip Taaffee)의 작품과 반복적 행위에 의한 無作爲的 회화공간을 시도한 끌로드 비알라(Claude Viallat)의 작품과 연관지어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본인은 형식과 내용이 균제된 제작과정으로 보여지길 바라며, 본인이 추구해온 작업에 대한 반성과 함께 앞으로 추구해 가야할 작업의 방향을 모색하는 과정으로 삼고자 한다.;Following the year of 1945, the Modern fine arts have made an abstract expressionism of Informal Action painting to emerge with laying emphasis on the inner experience of painter and the spontaneous improvisatoriality of a picture plane, and while the figurated and impersonalistic coloring abstraction together with "hard-edge" would be connected, the Support- surface Pattern paintings exposing the nature of material by itself coupled with Minimalism and Monochrome that present the picture plane with reducing color, form and depth have been developed since the Seventieth. Clement Greenberg noticed for that means of art a rid of unessential from system of art as truth. Therefore modernism is defined as process of reductions plane and the limited square. Under this situation, in order to understand st as meaningful postmodernismic art in which the plane and the limited square has eclectic and pluralistic tendencies which include illusion or all the systems of reproduction, the past personal experience, symbols, cultural archetype atc.,all of these subject and non-intrinsic stories and which is concrete and abstract in its form and is subjective and objective in its content. Thus, in the operational process undertaken by this individual it intends to symmetrically accommodate the from and the substance by selecting the and among these aspects viewed as having been already accumulated in our pictorical history. In my productions being try to truth meets of the world free from ideal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 and 'the world' the approach to intrinsic element of nature for the recurrence to the intrinsic human features which were more pure and familiar to nature was pursued at this unstable times. It is further aimed at approaching to the perceptional theory by 'Maurice Merleau-Ponty' who is leading the meaning of such a duality as the relationalship moreclosely linked with the world through the course of life in more comprehensive manner. As for the methological phase, the substance in which this individual would be expressed in abstraction. Forthermore the pictorial aspects have been under progress through blending the formuler of lyrical abstract expression in concert with the above elements. Therefore in order to help understanding the operational process undertaken by this individual a series of comparison and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respectively between the by 'Philip Taaffe' and the worksby 'Claud Viallat'. With the course of these the individual wishes to develop the directions. And with the self-examination of my works, this painting process would seems as the direction of my future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