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0 Download: 0

중환자실 간호사의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itle
중환자실 간호사의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Other Titles
(A) Phenomenological Study of Stress Experience of Intensive Care Units Nurses
Authors
윤진이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Keywords
중환자실간호사스트레스현상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문실
Abstract
현대인은 문화가 발전하고 사회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신체적인 스트레스원에 노출될 기회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걱정, 압박감, 해결되지 않은 정신적 갈등 및 정서적 긴장등의 부정적인 정서반응을 유발시키는 많은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원에 노출되고 있다. 더구나 오늘날 종합병원의 구조는 복잡한 현대사회를 함축하여 보다 다원적 구조로 변화하며 모든 전문분야가 세분화함에 따라 간호사의 역할이 더욱 복잡해지게 되어, 간호직은 그 어떤 직업보다도 현대사회의 도전과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있다. 특히 중환자실의 간호사들은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환경, 환자 상태의 불안정성 및 위기 상황에서 요구되는 의사결정과 같은 스트레스원(stressors)에 계속 노출됨으로써 좌절감을 맛보며, 소진(Burn-out)을 경험하게 된다. 어떤 현상에 대해 개인들이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에 따라서 느낌이나 행동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중환자실 간호사들이 스트레스를 어떤 의미로 인지하고 있는지는 무척 중요한 것이다. 그러나 중환자실 간호사의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의미나 느낌 및 반응 등은 조사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론을 이용하여 중환자실 간호사가 스트레스를 경험할 때 나타내는 느낌 및 반응 그리고 중환자실 간호사들이 스트레스를 어떤 의미로 받아들이는지에 대한 직접 경험을 대상자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1993년 7월 13일부터 8월 17일까지 총 36일이 소요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본 연구를 이해하고 면접에 참여할 것을 동의하는 자로 연령별, 결혼 유무별, 교육 수준별, 근무 경력별에 따른 변인을 고려하여 임의 선정된 S대학 부속병원 5개 중환자실의 간호사로서 총 25명이었다. 자료수집 방법은 본 연구자가 직접 비구조적이고 개방적인 질문을 사용하는 직접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 자료의 누락 및 오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면담자의 양해 하에 면담내용을 녹음하였다. 자료분석은 Van kaam이 제시한 현상학적 연구의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내용의 신뢰도와 내용 타당도 검정은 간호학 교수 1인, 박사과정생 1인, 연구원 1인, 석사학위를 소지한 수간호사 1인에 의해 검정되어져 총 310개의 진술에서 37개의 부주제, 7개의 주제 그리고 2범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 간호사들이 스트레스를 경험할 때 나타내는 느낌과 반응은 만성피로감, 이직고려, 의욕상실, 흥미감소, 무감각, 형식적인 간호제공 등의 <소진반응>과 자포자기, 회의감, 감정누적, 좌절감, 우울, 불안초조, 무력감 등의 <정서적 느낌> 및 위축, 감정폭발, 성격변화, 울음, 무표정, 분노, 안절부절, 집중력 저하, 사고장애 등의 <정서적 반응>과 더불어 두통, 위장장애, 수면장애, 피부변화, 근육통, 체중감소, 행동변화, 생리통 및 생리양상 변화, 시력약화 등의 <신체적 반응>으로 범주화되어 나타났다. 2. 중환자실 간호사가 스트레스에 부여하는 의미는 <중압감>, <힘든일>, <긍정적 자극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는 압박감, 긴장감, 갈등, 짜증, 힘든일, 긍정적 자극요인으로 범주화되어 나타났다. 그러므로 중환자실 간호사는 스트레스를 경험할 때 <소진반응>, <정서적 느낌〉, <정서적 반응> 및 〈신체적 반응〉 등의 느낌과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스트레스에 <중압감>, 〈힘든일〉, 〈긍정적 자극요인>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현상의 느낌 및 반응과 의미를 대상자의 관점에서 밝힘으로서 중환자실 간호사의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느낌 및 반응과 의미를 이해하도록 돕고 중환자실 간호사의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간호지식에 기여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소진예방과 이직감소를 위해 스트레스를 중재해야함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스트레스 대처방법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를 시행할 것과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관리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Stress, an integral component in critical care units, stems from the high-tech environment, acuity of patients' conditions, and the need for crisis decision-making. Continual exposure to these stressors subjects nurses i n intensive care units( ICUs) to the frustrations of a workplace that is emotionally and physically draining. The purpose of this phenomelogical study was provide understanding of stress of intensive care units nurses and contributes to the develop stress to eventually and cultually appropriate. The research subjects were 25 ICUs nurses in the 5 ICUs of one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3 to August 17, 1993 by intensive interview. Interviews were done by the researcher and all were tape-recorded. The Data analysis was done by phenomenological method from Van Kaam. The Varidity was enhanced by confirmation of the analysis by nursing collegues in educational and clinitions. From the raw Data 310 descriptive statements were organized into 37 theme cluster, 7 theme and 2 categories. The 2 categories of phenomena related to the stress of ICUs nurses were filling & responses of stress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stress. 1. The themes comprising the category "filling and responses" included burnout response 「chronic fatigue, consider changing jobs, loss of volition, decreased interest, apathy」, emotional filling 「self- abandonment, nihility, accumulation of feelings, frustration, depression, skeptic, powerlessness」, emotional response 「withdrawal, emotional outbursts, character change, crying expressionless, anger, irritability, decreased attention and obstacle of thinking」 and physical response 「headaches, GI troubles, obstacle of sleeping, skin problem, myalgia, weight loss, behavior change, dysmenorrhea and poor of sight」. 2. The themes comprising the category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stress" included oppressive filling, hard works, and positive stimuliting factors. more specially, oppressive filling, tension, complications, vexation, hard works and positive stimuliting factors. This study points to the intensive care units nurses to understand their stress and as contributes to the develop stress management program of stress of korean ICUs nurses to eventually and cultually appropriat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