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변영순-
dc.contributor.author구보경-
dc.creator구보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6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7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2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76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study is conducted a cross-sectional survey on knowledge about hereditary breast cancer according to the risk of hereditary breast cancer in order to contribute to nursing education related to hereditary breast cancer and the accumulation of data for genetic counseling in Kore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5 BRCA positive patients and 45 BRCA negative patients identified through genetic test with high risk of hereditary breast cancer who had breast cancer operation at the breast cancer clinic of A medical Center in Seoul, and 45 breast cancer patients who did not belong to the high-risk group.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May 1 to September 30, 2006. For the survey, we used 22 questions in the Korean version of BGKQ (Breast Cancer genetic Counseling Knowledge Questionnaire) developed by Joel (200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9.1)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coefficient, χ2- test, Fisher's exact 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s to diseas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mong all the participants, 48.9% shared disease information with their spouses. Only in the positive group, 8.9% replied that they did not share information with others and 13.3% replied that they shared information only with medical practitioner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1). 2. As to knowledge level according to the breast cancer patients’ general characteristic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positiv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ut in the negative group, employed subjects showed a higher knowledge score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3.48, p=.04). 3. As to knowledge level according to disease-relate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in the whole group (t=-2.27, p=.04) and the control group (t=-2.36, p=.02),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Internet. 4. The mean knowledge score according to the risk of hereditary breast cancer was 14.75±4.08. By group, the score was 16.71±2.98 in the positive group, 15.91±2.90 in the negative group, and 11.62±4.26 in the control group. Thus, the positive group showed the highest knowledge level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lowest level,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28.57, p< .01). 5. Knowledge about the meaning of hereditary breast cancer, the effects of the genetic factor of breast cancer on ovarian cancer, and breast cancer examination and prevention was low. Knowledge score was affected by the subjects’ academic qualification and the use of the Interne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above, we make suggestions as follows. 1. Additional education is necessary for strengthening knowledge about the meaning of hereditary breast cancer. 2. Research should be made to compare knowledge about hereditary breast cancer before and after a genetic test. 3. There should be programs for training nurses specialized in genetic counseling to give education and counseling to hereditary breast cancer patients. Key word : Hereditary Breast Cancer, Knowledge.;본 연구는 유전성 유방암의 위험도에 따른 유전성 유방암의 지식정도를 파악 하여 실질적인 유전성 유방암 관련 간호교육 및 유전 상담 내용을 구축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내 일개 3차 의료기관의 유방암 크리닠에서 유방 암 수술을 받은 25세에서 59세의 환자로 유전성 유방암 고위험군 중 유전자 검사를 통해 BRCA양성 환자 45명, BRCA음성 환자 45명, 고위험군에 해당하지 않는 일반 유방암 환자 45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06년 5월1일부터 2006년 9월30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Joel(2005)이 개발한 유방암과 관련된 유전 상담 지식 설문지 BGKQ(Breast Cancer Genetic ounseling Knowledge Questionnaire)를 번안한 22문항을 이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14문항과 질병 관련 정보추구양상 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9.1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Cronbach's lpha 계수, χ2-test 및 Fisher's exact 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전체 평균 연령은 42.8세였고, BRCA양성군은 40.6세, BRCA음성 군은 40.7세 일반군은 47세였다. 2. 질병 정보 공유자는 전체군에서 배우자가 48.9%로 가장 많았고, 특히 BRCA양성군만 질병정보공유를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경우는 8.9%였고, 13.3%가 의료인에게만 한다고 하였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3. 질병 정보추구행위에서는 전체군에서 TV 혹은 라디오를 이용하는 경우가 43.7%로 가장 많았으며 인터넷은 25.19%, 동료환자가 11.1%순 이였다. BRCA양성군만 4.4%가 동료환자와는 질병관련 정보추구를 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1). 4. 유전성 유방암의 위험도에 따른 평균 지식 점수는 전체군은 14.75±4.08이었고, BRCA양성군은 16.71±2.98, BRCA음성군은 15.91±2.90, 일반군은 11.62±4.26으로 BRCA양성군이 가장 높았으며 일반군의 지식도가 가장 낮았다.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28.57, p< .01). 5. 유방암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식 정도는 전체군(F=6.70, p=<.01)과 BRCA 양성군(F=5.62, p=<.01)에서는 29세 이하의 군에서 지식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군(F=8.51, p<.01)에서 학력이 높은 집단의 지식점수가 높았고, BRCA음성군(F=3.48, p=.04).에서 직업이 있는 대상자의 지식 점수가 높았다.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질병 정보추구행위에 따른 지식 정도는 전체군(t=-2.27, p=.04)과 일반군 (t=-2.36, p=.02)에서 인터넷 지식검색을 할 수 있는 대상자의 지식 점수가 높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질병 정보 습득경로에 따른 지식 정도는 전체군에서 인터넷을 이용하는 대상자의 지식 점수가 16.29±3.54로 가장 높았으며(F=3.07, p=.03), BRCA음성군(F=4.07, p<.05)과 일반군(F=2.21, p<.05)도 인터넷을 이용하는 대상자의 지식 점수가 가장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유전성 유방암에 대한 지식정도가 낮았던 유전성 유방암의 의미, 유전성 유방암이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유방암 검진과 예방을 강화하는 추가적인 교육 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지속적인 교육 및 상담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되며 이를 위해 멀티미디어 교육방법을 이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과 상담프로그램의 개발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유전성 유방암 환자의 전문 교육과 상담을 위한 종양 전문 간호사의 교육과정 내에 유전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ⅸ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용어의 정의 4 Ⅱ. 문헌고찰 5 A. 유전성 유방암 5 B. 유전성 유방암에 대한 지식 정도 7 Ⅲ. 연구방법 10 A. 연구 설계 10 B. 연구 대상 10 C. 연구 도구 11 D. 자료 수집 절차 및 방법 11 E. 자료 분석 방법 12 F. 연구의 윤리적 측면 12 Ⅳ. 연구결과 및 논의 13 A. 대상자의 특성 13 B. 유전성 유방암의 위험도에 따른 지식 비교 20 C. 유전성 유방암의 위험도에 따른 문항별 지식 비교 21 D.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지식 비교 25 E. 연구의 제한점 33 Ⅴ. 결론 및 제언 34 A. 결론 34 B. 제언 36 참고문헌 37 부 록 48 Abstract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24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title유전성 유방암 위험도에 따른 지식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ison of Knowledge According to the Risk of Hereditary Breast Cancer-
dc.creator.othernameKu, Bo Kyoung-
dc.format.pagexi,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간호학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