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7 Download: 0

공간개념을 통한 도자조형연구

Title
공간개념을 통한 도자조형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space Conceptualism in Ceramic Art
Authors
정수정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도예과
Keywords
공간개념도자조형도예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정현
Abstract
While there has been unique concept of space in every cultural era, it takes long time for people to recognize it perspectively and induce it to the Art. Recently together with the anxiety to the fourth-dimensional space, the concept of space is being considered to be more important and should be dealt with in order to create a form in every Art of a plain and a solied. However, as the space is not the one which is easily understood as its character of indefinate and energetic, it is necessary for as to make it clear through the concept of it. I start to study te space with the concept of it as a series of fields. In the main subjects, I was trying to see how the space is being formed with reviewing architectural history starting from Greece to the recent, especially studying the concept of space in the wall, in the pillar and the structure of Architecture. I would like to form the space in three stages, the depth of space in a plain as studied in architectures, the space in a series of pillar, and finally the real space in the structures. From 「work 1」 to 「work 4」, I tried to induce illusion of depth in the low reliefs, in the 「work 5」 and 「work 6」 tried to induce feeling of space arranging high reliefs back and forth and from 「work 7」 to 「work 10」, I designed real space in consequence with three dimensional space. In the process of works, I repeated every parts with slip casting method by using plaster type to show a series of space indefinately. I used Youpgaebal's pottery clay which has good shaping and sprayed transparant glaze for effective coloring purpose. First heating was made in 0.7㎥ pottery kiln for 9 hours with oil up to 900℃ and second heating was done in 1.5㎥ for 11 hours with gas up to 1,240℃. In the study, I have been realized that the concept of space which is not a empty mass but a running field is essential in modeling Art which gives aesthetic Form to the space by using physical materials. The desire for expressing the consecutive depth of space in the field of two & three dimensional space makes people to use various materials in the works and furthermore enables people to have indefinate potentials in expressional method with their intention. Therefore, I could manage it in my groundwork which enables indefinate variety & creation with developing the depth of space to the field of two and dimension. I hope that my study can be a ever little help to the Art of space.;모든 문화는 시기마다 고유의 공간개념이 있었으나, 사람들이 그것을 의식적으로 인식하여 예술에 도입하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걸렸다. 근래엔 4차원 공간에 대한 궁금증과 함께 그 개념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으며 평면과 입체의 모든 예술에서 형태를 창조하려면 공간이 다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공간이란 그 특성처럼 무한하고 운동성이 강한 것으로 쉽게 이해되지 않기 때문에 개념을 통해 명확하게 해나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의 하나의 연속된 장(場: field)이라는 정의를 통해 공간을 이해하면서 서두를 시작하였다. 본론에서는 그리스에서 근대에 이르는 건축사를 통해 무한히 연속된 공간의 개념을 건축의 벽과 기둥과 구조를 통해 물질적 재료를 매개로 해서 공간이 어떻게 조형화되어 있는가를 살펴 보았다. 건축에서 살펴 본 평면에서의 공간의 깊이와 길게 연속된 기둥에서의 공간 그리고 구조에 의해 실재 공간이 연속된 3단계의 과정으로 공간을 조형화하고자 하였다. 「작품 1」에서 「작품 4」는 저부조의 형태에서 깊이의 착각을 유도하였고 「작품 5」에서 「작품 6」은 고부조의 형태를 전후로 배치하여 공간감을 유도하였으며 「작품 7」에서 「작품 10」은 3차원의 공간을 장(場)으로 하여 실재 공간이 연속되게 디자인하였다. 작품제작 방법에 있어서는 공간의 연속을 보다 무한히 보여주기 위하여 석고형을 이용한 이장주입기법(泥奬注入技法)으로 단위를 반복하였다. 태토는 성형성이 좋은 요업개발의 자기토를 사용하였으며 소지에 혼합한 안료의 발색을 위하여 투명유를 분무법으로 시유하였다. 1차소성은 석유를 연료로 하는 0.7㎥가마에서 9시간에 걸쳐 900℃까지 소성온도를 올렸으며, 2차소성은 가스를 연료로 하는 1.5㎥가마에서 11시간에 걸쳐 1,240℃까지 올려 산화소성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작과정을 통하여 텅빈 매스(mass)가 아닌 흐르는 장(場)으로서의 공간개념이 물질적 재료를 사용하여 공간에 미적 형태를 부여하고자 하는 조형예술의 본질임을 알 수 있었다. 2차원과 3차원의 공간을 장(場)으로 하여 연속된 공간의 깊이를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는 예술활동의 재료들을 다양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표현 방법에 있어서도 창조의도에 따라 무한한 가능성을 지닐 수 있게 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공간의 깊이를 2차원에서 3차원의 장(場)으로 발전시켜 무한한 변화와 창조가 가능한 작품제작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었으므로 본 연구가 공간 예술에 조금이나마 참고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