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기호적 형상에 의한 내적 공간 연구

Title
기호적 형상에 의한 내적 공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nternal Space by Semiotic Image
Authors
김소연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서양화과
Keywords
기호형상내적공간서양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화진
Abstract
1980년대에 와서 현대미술은 커다란 전환의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는데, 형식과 내용의 문제를 초월하여 여러 미술 양식이 동시에 공존하는 다원화된 경향의 미술이 도래하였다. 그 전환은 미니멀리즘(Minimalism)의 쇠퇴와 또 한편으로는 뉴 페인팅이라는 용어로 대표되는 새 물결의 등장이었는데, 다시 말해서 모더니즘(Modernism)에서 포스트 모더니즘(Post-Modernism)으로의 이행을 의미한다. 포스트 모더니즘은 어떤 특정한 시대에서 지배하는 하나의 운동이 존재하는 이념이 아니라, 여러 가지 미술 양식이 공존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문화이념으로서 다원주의적 경향을 나타낸다. 이런 시대적 상장에서 이즘(ism)의 양태를 따지기 전에 예술가는 스스로의 자기 논리 추구와 자신만의 조형언어를 꾸준히 탐구하는 자신에의 성찰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본인은 작품 제작에 있어서 막연한 회화 논리의 개념적 추구가 아니라, 자신의 정신성의 표상에 일치할 수 있는 시각적 도상을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탐색의 방법으로 본인은 알레고리적인 기호를 사용하였다. 왜냐하면 현재의 포스트 모던적 시대 상장에서 더이상 상징이나 단순한 재현논리로 파악될 수 없는 중층적 문화구조를 읽어낼 수 있는 방법으로서 알레고리 개념이 매우 유용하기 때문이다. 모더니즘 시대에서 추구했던 형식과 실체의 해체불가능한 통일성이란 이제 한계 - 그 정점으로서 가령 미니멀리즘의 더이상 그릴 수 없음과 같은 한계 - 에 도달하였으며 이러한 한계는 인용, 발췌, 구상, 각색과 같은 다양한 전략들을 가지고 극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전략들은 바로 알레고리적 어법에 의해 구사된다. 본인의 작품에 등장하는 많은 기호들은 일종의 약호들로서 본인이 객관적이고 궁극적인 의미를 부여해 놓은 것들이 아니라 여러 의미로 읽혀질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조직된 것들이다. 이것은 본인의 내면세계를 반영하는 내적공간으로서의 화면이 하나의 고정적인 총체성으로 표현될 수 없음을 뜻하며 동시에 층적이고 때로는 모순적이기까지 한 현재의 문화구조 속에서 혼란스러워하는 우리 시대 사람들의 내면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제작 논문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내용적 연구, 방법적 연구, 본인 작품 설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내용적 연구에서는 주관적인 의미가 부여된 기호적 형상과 단위(unit)의 집합체인 화면에 대해 언급하였으며, 방법적 연구에서는 중첩에 의한 표현성과 다양한 재료의 사용에 대해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원 과정에서 이루어진 본인의 작품을 제시 분석함으로써, 작업에 대한 반성과 함께 앞으로의 작업 방향을 모색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In the 1980's, modern arts confronted a bin turning point in its artistic stream : the epoch-making change is an advent of pluralistic stream which can realize the coexistence of various artistic styles, surpassing the problem of formats and contents. This change results in the decline of Minimalism and the emergence of new stream by New painting, that is, the shift from Modernism to Post-Modernism. Post-Modernism is not a dominant ideology of some artistic movements in specific times, but a pluralism as a cultural ideology of coexistence of various artistic styles. In my opinion,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se artistic circumstances is the intro aspection of an artist to pursue this own logic and to research his material language, not the trial to break down the sort of Ism. Therefore, I'll try to find out the visual icon which can correspond with the presentation of my mentality, not the vague conceptual pursuit of pointing logic on the work. I have used allegorical signs for the method of this research. Because in this Post-Modern circumstances, the concept of allegory make us understand the structure of multilayered culture which can not be explained any more by means of symbols or plain representation. Pursuing of the inseparable unity between forms and entity in the age of Modernism have reached its own limits. - limits like mono - colored canvases in Minimalism which is the peak of the pursuit. These limits can be overcome with various strategies like quotation, extraction, conception, adaption, and etc. And these strategies work effectively by allegorical expressions. Signs which are shown many times in my works have not any objective and basic meanings but nature that is permutated on purpose. this comprehends that the works which reflect my subliminal world can not be expressed as the fixed whole, and at the same time it represents contemporary thoughts, complicated and contrary, that suffer from a discord. This thesis as making process paper consist of content study, technical study, and explanations of my works. In the content study, I presented the semiotic image with subjective meanings and the screen as a set of units. In the technical study, I experimented the overlapped expressions and usage of multiple source. Finally, on the ground of the results of analyzing my works, I'll try to relocated my position in the artistic stream of today and take this thesis as a chance to grope for the dire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