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3 Download: 0

창작무용학습이 청소년기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Title
창작무용학습이 청소년기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reative Dance Experience on Self-Concept of Adolescents
Authors
鞠銀美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창작무용학습청소년기자아개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말복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Dance and Self-concept in adolescence. Specifically,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firstly, the effects of Creative Dance on Self-concept and secondly, what are the different effects of Creative Dance on each grade of Self-concept. In order to achieve this, 108 middle school girls were sampl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testing procedure used was the Pre-test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In order t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Creative Dance, the research used a questionaire named 'The Test of Self Concept', produced by Jung, Won-Sik. It consists of 8 separate grade concepts including Physical Self Score, Moral Ethical Self Score, Personal Self Score, Family Self Score, Social Self Score, Self Identity Score, Self Satisfaction Score, Self Behavior Score and Total Positive Self Score. The subjects were given a Pre-test at the beginning of the period, and a Post-test at the end of the period after 8 week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ANOVA with Repected-Measnres and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statistical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est group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developmen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except for Social Self Score. 2. At the low level of Self-concept, Creative Dance had a different effect on Self-Concept. At this level, the effect on Self Concept is ranked as follows: Total Positive Self, Self Criticism, Row Variability, Family self, and Total Variability.;본 논문의 목적은 창작무용학습경험이 청소년기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아 무용교육과 청소년기 자아개념간의 관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아래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청소년기의 창작무용학습 경험이 자아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자아개념점수의 각 하위척도에 미치는 영향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해 자아개념과 무용교육에 관한 문헌을 섭렵하였고 자아개념에 대한 무용교육의 효과를 제시하기 위해 여중생 108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사전 사후 통제집단 설계(pre-test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에 의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을 위해 먼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각각 실험 전에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게는 프로그램의 개입없이 실험집단에게만 개발된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동일한 검사용지로 다시 양집단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검사결과의 분석을 통해 무용교육의 효과를 제시하게 된다. 조사도구는 정원식이 표준화한 '자아개념검사'이며 총자아긍정도와 8개의 하위영역-신체적 자아, 도덕적 자아, 성격적 자아, 가정적 자아, 사회적 자아, 자아동일성, 자아수용, 자아행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를 위한 분석방법은 반복측정 분산분석(ANOVA with Repeated-Measures)과 판별분석(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창작무용학습을 경험한 실험집단의 자아개념이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자아개념에 비해 사회적 자아를 제외한 모든 요소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 주었다. 2. 창작무용학습은 자아개념의 하위척도에 있어서 총자아긍정, 자아평가, 외적 변산, 가정적 자아, 총변산의 순으로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