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4 Download: 0

재발성 방광 암종의 병리조직학적 분화도, PCNA 및 AgNOR 염색 소견에 대한 연구

Title
재발성 방광 암종의 병리조직학적 분화도, PCNA 및 AgNOR 염색 소견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HISTOPATHOLOGIC URINARY BLADDER CANCER
Authors
조수연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방광 암종PCNAAgNOR염색 소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운섭
Abstract
방광이행세포암종은 병리조직학적으로 여러가지 인자들, 즉 병기, 분화도, 림프관 침습유무, 인접한 점막의 변화, 혈관 침습유무, 종양경계의 유형 및 염증반응 등이 환자의 예후에 관계되지만 그 중에서도 예후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병기와 분화도가 가장 중요시되고 있으며 그밖에 새로운 방법들이 연구, 이용되고 있다. 그 가운데 증식세포 핵항원(proliferating cell nuclrear antigen; PCNA)과 핵소체 형성체 부위(nucleolar organizer regions; NORs)에 대한 염색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신속한 방법으로 파라핀에 포매된 조직으로 시행 가능하여 널리 연구되고 있다. PCNA 및 AgNORs 염색은 여러 장기, 즉 피부, 유방, 림프계, 위장관 등의 암종에 적용하여 종양의 병기 및 조직학적 분화도와 비교하여 환자의 예후 추정에 이용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방광이행세포암종에서도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고 임상적 응용에 대한 제시를 언급한 보고가 있다. 저자는 1985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이화여자대학 부속병원 비뇨기과를 방문하여 방광경 및 수술을 통해 얻은 조직을 관찰한 결과 방광이행세포 암종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1회 이상 재발한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조직 총 55 생검예를 연구재료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통상적인 조직표본에 대한 방광이행세포암종의 조직학적 분화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이용한 PCNA염색 및 조직화학적 염색에 의한 AgNORs 염색을 시행한 후 광학현미경적 검색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속 생검을 시행한 22명의 환자에서 병리조직학적 분화도를 관찰한 결과 분화도의 변화가 없는 경우는 15예, 증가된 경우는 6예, 감소된 경우는 1예로 나타났다. 그 가운데 분화도가 증가된 경우는 등급 Ⅱ에서 Ⅲ로 변화된 경우만 5예 있었다. 1차 생검후 2차 생검된 기간은 총 22예에서 3개월부터 73개월 사이(평균 17개월)였고, 3회 생검한 12예 가운데 2차 생검에서 3차 생검 기간은 3개월부터 41개월 사이(평균 16.1개월)였다. 또한 5회 생검한 1예의 3차 생검에서 4차 생검 기간은 7개월, 4차 생검에서 5차 생검 기간은 4개월이었다. 2. 연속생검을 시행한 22명의 환자(총 55 생검예) 중 17명(40 생검예)에서 PCNA 표지지수 결과 증가된 경우는 12예, 감소된 경우는 4예, 변화가 없는 경우는 1예로, 분화도와 관계없이 증가되는 예가 더 많았다. 3. 연속생검을 시행한 22명의 환자(총 55 생검예) 중 18명(42 생검예)에서 AgNORs 수를 관찰한 결과 수가 증가된 경우는 10예, 감소된 경우는 8예로, 분화도와 관계없이 다소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4. 각 분화도에 따른 PCNA와 AgNOR의 차이는 등급 Ⅱ와 Ⅲ간에서 비교 가능하였고, 이때 PCNA는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AgNORs의 변화는 별 차이가 없었다. 5. 조직학적 분화도가 증가된 예는 모두 등급 Ⅱ에서 Ⅲ로 변화된 예로 경과된 기간은 평균 29개월이었고 PCNA 표지지수와 AgNORs 수가 모두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방광이행세포암종의 재발에 따른 연속생검 결과 상당수가 병리조직학적 분화도의 변화가 없으나, 증가된 경우에 있어서는 AgNORs 수와 PCNA 표지지수가 증가되는 소견을 보임으로써, 이는 세포의 증식이 진행되어 계속 재발의 여지가 있음을 시사해주며 방광이행세포암종의 재발여부 및 예후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병리조직학적 등급과 더불어 PCNA 표지지수와 AgNORs 수에 대한 결과가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러나 더 많은 예로 장기간 추적 관찰하여 더욱 신뢰성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The prognosis of transitional cell carcinoma of the urinary bladder is related to many histopathologic parameters; stage, lymph node involvement, grade, abnormalities of the remaining mucosa, presence of vascular invasion, presence of lymphatic invasion, type of the tumor margin, and inflammatory response. The stage and grade are most important prognostic determinators among them, and the other new methods have been studied. Information about the cell proliferation rate in paraffin sections can be obtained by the immunohistochemical assessment of various nuclear proteins, such as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and nucleolar organizer region (NOR) number.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PCNA and AgNORs scores are correlated with histopathologic grade and clinical stage in the urinary bladder cancer, and related with the prognosis of the patient (Skopelitou et al; 1992, Park; 1993). This study is purposed for evaluation of the histopathologic grading, PCNA and AgNORs stainings in the sequential biopsies of the recurrent transitional cell carcinoma of the urinary bladder. The present study used total 55 sequential biopsy specimens of 22 cases in recurrent transitional cell carcinoma of the urinary bladder. The histologic assessment was performed, and immunostaining for PCNA (PC-10) was performed using avidin-biotin complex method. The demontration of NORs was applied to the colloid silver stain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hange of histopathologic grade in 22 cases, recurred transitional cell carcinoma and biopsied sequentially showed 15 cases with no change, 6 cases with increase, and I case with decrease. Among them, increased cases of grade were 5 cases, from grade Ⅱ to grade Ⅲ. 2. PCNA count in 17 cases out of 22 cases showed 12 cases with increase, 4 cases with decrease, and 1 case with no change. Therefore PCNA count was tend to increase independently to the grade. 3. The number of AgNORs in 18 cases out of 22 cases showed 10 cases with increase, and 8 cases with decrease. And also AgNORs scoring was tend to increase independently to the grade. 4. The comparison between PCNA count and AgNORs scoring according to the histopathologic grade was possible between grade Ⅱ and grade Ⅲ, and the changes of PCNA count was increase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change of AgNORs scoring was not so different as to statistically significant. 5. The cases of increasing histopathologic grade were all those of change from grade Ⅱ to grade Ⅲ, and the duration of changes was 29 months in average. And all of these cases showed increased PCNA count and AgNORs scor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