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48 Download: 0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노년기 우울에 관한 연구

Title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노년기 우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epression in Old Age According to Self-Efficac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uthors
박경민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자기효능감노년기 우울사회적 지지교육심리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태련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의 우울을 연구함에 었어, 그 관련 변인으로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 3개 노인학교와 6개 노인정 및 일반 가정 노인 등 만 60세 이상의 노인으로 남자 94명, 여자 103명으로 총 197명이었다. 검사도구는 Sherer, Mercadante, Maddux, Prentice-Dunn, Jacobs & Rogers(1982)와 Ryckman, Roddins, Thorton & Cantrell(1982)이 제작한 도구를 번안한 자기효능감척도, 박지원(1985)의 사회적 지지 척도와 우울척도로 CES-D(The Center for Epidemic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t-검증, 일원변량분석, 이원변량분석, Pearson 상관계수, 단계적 증다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울 수준에서 성별, 연령별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배우자 유무, 건강 수준, 활동수준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배우자가 있는 노인이 없는 노인보다, 건강수준이 높을수록, 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우울 수준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2. 자기효능감 수준에서 남녀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연령집단간 차이는 유의미했다. 60대 노인이 70대 노인보다 지각한 자기효능감 총점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각 하위유형별로 보면, 60대 노인이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높게 지각하고 있었으나 사회적 자기효능감에서는 연령집단간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3. 사회적 지지 수준에서 연령집단간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남녀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여자노인이 남자노인보다 지각한 사회적 지지 총점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각 하위유형별로 보면, 여자가 남자보다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를 높게 지각하고 정보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에서는 남녀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4. 높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노인이 낮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노인보다 우울 수준이 낮았다. 5.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한 노인은 낮게 지각한 노인보다 우울 수준이 낮았다. 6. 자기효능감의 세 하위유형 중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우울과 가장 상관이 높았으며 이는 건강수준 변인보다 우울에 대한 상대적 설명도가 더 놓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높게 지각한 사람은 우울 수준이 낮았다. 7. 사회적 지지의 네 하위유형 중 정서적 지지가 우울과 가장 상관이 높았다. 즉, 정서적 지지를 높게 지각한 노인은 우울 수준이 낮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보면, 개인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우울에 대처하는데 중요하며 특히 노년기에는 신체적 노화에 대한 긍정적인 수용을 하도록 함으로써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동시에, 가정과 사회에서 노인을 존중하고 지지하는 것 뿐만 아니라 개인의 지각된 지지 수준을 높이는 것이 노년기 심리적 안녕(Psychological Well-Being)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variables that have an effect on "Depression" among the Korean elderly, Thus its has made investigations into the relations between Depression, Self-Efficac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Subject of this research were in total 197 senior citizens over the age 60 from 3 senior student schools, 6 senior citizen center and the common old residents in Seoul; 94 males, 103 females. The measurement scales are Self-Efficacy Scales translated from Sherer, Mer-cadante,Maddux,Prenticd-Dunn, Jacobs, & Roger's and Ryckman,Roddins, Thorton, & Cantrell's, and Social Support Scales developed by Park,J.W., and The Center for Epidemic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The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t-test, one-way ANOVA, two-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read as follows; 1.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sex, age differences in level of depression, the difference according to marital status, health level, and activity lever was significant. The old who have a spouse and perceive higher level of health and participate in any activity reported less depressive symptomatology. 2.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sex difference in the level of perceived self efficacy, age difference was significant. Among the subscales,the sixties were found to perceive general self-efficacy and physical self-efficacy higher than the over seventies. 3.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ago difference in the level of perceived social support, sex difference was significant. Among the subscales, females were found to perceive emotional and material support higher than males, and no sex difference was found among informative and evaluative support. 4. Subjects perceived higher self-efficacy showed lower level of depression than those who perceived lower self-efficacy. 5. Subjects perceived higher social support showed lower level of depression than those who perceived lower social support. 6. Physical self-efficacy showed to have the strongest correlation to depression among the three subscales of self-efficacy. That is highly perceived persons in physical self-efficacy rated lower depression. Physical self-efficacy was the stronger predictor of depression than health level, too. 7. Emotional support showed to have the strongest correlation to depression among the four subscale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That is highly perceived persons in emotional support rated lower depress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know the fact that it is important to increase personal self-efficac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for coping with depression, and the fact that it is helpful to increase the level of perceived physical self-efficacy by accepting aging positively and the lever of percieved emotional support for establishing psychological well-being in old 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