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수재-
dc.contributor.author이영희-
dc.creator이영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2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3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1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392-
dc.description.abstract추상미술운동은 20세기의 대표적 표현양식으로 전개되었다. 종래의 대상 재현을 떠나서 작가의 내면상태를 표출하는 추상미술은 작품자체의 예술적 형식구성에 충실을 기하였다. 45년 이후 추상표현주의(Abstract Expressionism), 팝아트(Pop Art), 미니멀아트(Mirumal Art), 쉬포르/쉬퍼스(Support/surface)등의 다양한 양식으로 형성되어 발전된 추상미술은 현대미술의 흐름을 이끌어 왔다. 그러나 70년을 기점으로 형식주의와 모더니즘의 추진력이 미약해 짐에 따라서 현대회화는 여러 갈래로 나뉘어지고 새로운 미술이 등장하기 시작 하였다. 이 시기의 미술 경향을 포스트모더니즘(Post Modernism)이라 하며 주도적인 양식이나 형식이 언이 절충적이고 다원적인 양상을 취하고 있다. 최근에 다시 현대미술은 신기하주의(Neo Geometric) 또는 신미니멀주의(Neo-Minimalism)라고 하는 일련의 양식이 등장하므로써 추상이 복귀 되고 있다. 오늘날의 추상미술은 그린버그(C. Greenberg 1909~)적인 모더니즘의 좁은 긍지로 부터 벗어나는 후기모던적인 시도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포스트 모더니즘은 앞선 시대와의 대립이나 단절이 아닌 재결합 내지는 지속의 의미로 볼 수 있는 것이다. 현재의 추상미술은 현대적 의미를 모색하기 위해서 과거의 공허한 형식을 단절하고 모더니스트들에 의해서 거부되어온 영역을 모든 유형의 사고, 동기, 충동으로 개방시키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형식에 대한 착상보다는 미술에 창작동기를 부여하는 정신적 열망에 대한 측명을 탐구하였다. 본인 작품의 창작동기는 '힘'으로 이는 주관적인 체험과 행위 그리고 초자연적인 요소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점을 연구하기 위하여 A절에서는 니이체(F. Nietzsche 1844~1900) 미학중 디오니소스(Dionysos)적인 힘의 개념을 도입하였고 생명력을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검은색을 동양의 묵색과의 관계에서 살펴보았다. B절에서는 질서와 조화를 의미하는 미적 형성력보다는 생명력을 부여하는 예술적 힘을 가져오는 요인으로 대비와 캘리그라피(Calligraphy)의 방법을 통한 힘의 조형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대비의 방법은 반대요소를 적절하게 대치시켜 놓으므로 미와 생명력의 종합을 이루게 하여, 더 큰 통일체로 화합할 수 있게 해 주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인의 작품을 제시하고 분석함으로써 작품의 표현과정을 점검해 보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본인의 작품제작의 방향을 제시하고 또 이러한 과정에서 제기되어질 문제를 객관적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The movement of abstract art has been developed as one of the major representative art expressions of the twentieth century. Abstract art departing from the representation of objects and manifesting the artist's inner conditions has emphasized artistic formation of the work itself. Abstract art has runned through Abstract Expressionism, Pop Art, minimal Art and Support/Surface etc. since 1945 and has constituted the primary trend of modern painting. However in early 1970s. as the promoting power of formalism and modernism became gradually weak, modern painting has been pluralized in various parts and the trend of arts began to appear one after another. The representative mode of this periods was post-modernism which had no leading mode or form, and represented eclectic and pluralistic characteristics. Recently again modern painting begins to trend toward Neo-geometric or Neo-minimalism, and the abstract is being reconstructed. The present abstract painting is estimated as post-modernism which deviated from the narrow standpoint of Greenberg's modernic attempts. Therefore, Post-modernism is characterized by rather the reconstruction or continuateion than the confrontation or interruption. The present abstract painting also breakes from the old empty form in order to grope for modern meanings and is opening the sphere which has been disregarded by modernist through all types of comtemplation, motive and impetus. According to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dealt with the aspect of spiritual desires which endow painting with motives for creative work rather than the conception of form. The motive of my own creative work is 'the inner power' which depends upon the subjective experience, action, and supernatural element. In oder to understand these aspects, Part A introduced the corcept of power and laid emphasis on investigating 'the color' which is used as a means of representing life force. The black tone which represents life itself in the orient is observed In part B. I searched for the formation of power according to methods of contrast an calligraphy which generate artistic power endowing life force power representaling harmony and order. Also. by comparing opposing factors properly, the mode of contrast synthesized aestherics and life forces tried to derelop greater harmonic unity further. And finally, I enamined painting processes of my work through analyzing my own work. In conclusion, I wish to develop a new direction of painting and take the opportunity for the objective self realization of problems which is discussed in this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문제의 진술과 목적 =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 2 Ⅱ. 본론 = 4 A. 내용적 연구 = 4 1. 생명력을 부여하는 정신적 특성으로 힘 = 4 2. 검은색의 의미 = 7 B. 방법적인 연구 = 11 1. 화면에서 대비의 역할 = 11 2. 힘의 추상적 행위 - 캘리그라피 = 13 참고작품 = 16 C. 본인작품 분석 = 17 Ⅲ. 결론 = 33 참고문헌 = 34 ABSTRACT = 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656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회화-
dc.subject내면에너지-
dc.subject추상적 표현-
dc.title회화에 있어서의 내면에너지의 추상적 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xpression of inner power in painting-
dc.creator.othernameLee, Young Hee-
dc.format.pagevi, 3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서양화과-
dc.date.awarded199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