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성-
dc.contributor.author지승희-
dc.creator지승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2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9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1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91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수행평가에 대한 반응과, 이에 대한 자존감과 과일반화 경향의 영향을 감정, 인지, 동기면에서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311명의 여대생 피험자에게 자존감과 과일반화 경향을 측정하는 검사를 실시하고 1주일 후 개별 실험을 실시하였다. 개별 실험에 참가한 133명의 피험자는 성공이나 실패 프로그램에 무선배정되어 과제를 수행한 후 감정, 귀인, 동기를 묻는 반응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수행평가, 자존감, 과일반화 경향을 독립변인으로 한 2×2×2의 요인설계로 종속변인으로는 감정, 인지, 동기면의 반응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수행평가의 주효과와 자존감×수행평가, 과일반화×수행평가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감정 반응에서 수행평가의 주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자존감이나 과일반화 경향과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인지 반응에서 수행평가의 주효과가 나타났다. 학생들은 성공 feedback을 받으면 자신의 능력에 귀인하였고, 실패 feedback을 받으면 과제곤란도에 귀인하였다. 그러나 자존감이나 과일반화 경향에 따른 내적 귀인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3. 동기면에서 자존감과 수행평가, 과일반화 경향과 수행평가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4. 성공 feedback을 받았을 때 실패 feedback을 받았을 때보다 더 열심히 참여하였다고 보고하였다. 5. 자존감과 과일반화 경향의 부적 상관이 유의미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1)the affective, cognitive, and motivational reactions to performance evaluations and 2)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the overgeneralization tendencies on them. Undergraduate female students of 311 completed two questionnaires that measured self-esteem and the tendency of overgeneralization. In a week, each of 133 students participated in an experiment, performed a computer-programmed task, in which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success or failure feedback about their performance. Immediately follow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s, the students replied to a questionnaire containing the emotion and attribution measur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Students showed a strong general preferance for success rather than failure feedback. The significant main effects of performance evaluation emerged on all the measures of reactions. Students who received failure feedback reported more intense negative affect than did those who received success feedback. Students who received failure feedback made more of an task difficulty attribution while students who received success feedback made more of an ability attribution. 2. There emerged neither significant self-esteem x performance interaction effects nor overgeneralization x performance interaction effects on any reaction measur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수행평가에 대한 반응 = 3 B. 자존감 = 6 C. 과일반화 경향 = 8 Ⅲ. 연구 방법 = 12 A. 피험자 = 12 B. 실험 도구 = 12 C. 실험 절차 = 14 Ⅳ. 결과 및 해석 = 16 A. 감정 반응 = 16 B. 인지 반응 = 18 C. 동기 및 참여도 = 21 D. 자존감과 과일반화의 상관 = 22 Ⅴ. 요약 및 논의 = 23 참고문헌 = 27 부록 = 31 ABSTRACT = 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986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자존감-
dc.subject수행평가-
dc.subject반응-
dc.subject교육심리학-
dc.title수행평가에 대한 반응과 자존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actions to Performance Evaluations and Self-Esteem-
dc.creator.othernameJee, Seunghee-
dc.format.pagevi, 4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