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4 Download: 0

민법 제366조에 의한 법정지상권

Title
민법 제366조에 의한 법정지상권
Other Titles
Erbbauecht in law of §366 in Korean civil law
Authors
姜美成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Keywords
민법법정지상권민법 제 366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崔柄煜
Abstract
民法 弟366條에 의한 法定地上權은 同一所有者에 속하였던 土地와 그 地上建物이 抵當權의 實行에 의하여 각기 그 所有者를 달리하게 되는 경우에 法律上 당연히 地上權의 設定이 擬制되는 것이다. 이는 「地上物은 土地에 속한다」 (Superficies solo cedit)라는 로마法의 原理를 계수한 西歐諸國의 法制에서와는 달리 土地와 建物을 獨立된 不動産으로 취급하는 우리 나라 및 日本에서만 특수하게 인정되는 制度이다. 그런데 우리民法 第366條는 매우 불충분하여 抵當權設定時부터 그 實行에 이르기까지의 土地, 建物에 대한 復雜·多樣한 法律關係의 변화에 대응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判例가 구체적 事例를 둘러싼 紛爭解結을 중심으로 그 成立要件, 內容 및 處分에 있어서의 規範定立을 확립·발전시켜 왔다. 本 論文에서는 第2章에서 法定地上權制度의 理論的 背景 및 日本과 우리 나라에서 이러한 특수한 法定地上權制度를 인정하게 된 理論的 根據를 살펴보았다. 第3章에서는 判例·學說이 확립·발전시킨 民法 第366條에 의한 法定地上權의 成立要件 및 그 變化의 過程을 살펴보면서 判例·學說은 어떠한 範圍와 根據로 이러한 法定地上權의 成立要件을 완화하여 왔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判例에 의하여 인정되고 있는 慣習法上의 法定地上權은 과연 현재와 같은 범위로 인정되는 것이 타당한가도 아울러 검토하였다. 第4章에서는 民法 第366條가 단지 法定地上權의 內容에 관하여는 地料決定方法에 관하여만 규정하고 있을 뿐이므로 그 밖의 存續期間, 範圍, 地料 및 公示에 관하여 判例는 어떠한 見解를 취해왔는가를 살펴보았다. 第5章에서는 法定地上權이 成立한 建物이 處分된 경우에 民法 第186條, 弟187條 但書의 規定과 관련하여 地上權設定登記 내지 地上權移轉登記를 필요로 하는지의 여부 및 그 民法上의 根據는 무엇인가 등의 法定地上權의 處分과 登記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러한 登記를 하지 않은 法定地上權 讓受人과 土地所有者는 어떠한 관계에 있는가에 대하여 우리 나라 大法院判例는 어떠한 태도변경을 취해왔는가를 살펴보았다. 끝으로 結論部分에서는 本 論文의 중요內容을 간단히 요약한 후 현재 인정되고 있는 法定地上權制度의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생각해 보았다.;'Erbbaurecht in law' of §366 in Korean civil law is the system specially authorized just only in Korea and Japan, where the land and the fixture on it are respectively regarded as independent real estates, while in western Europe it follows the principle of Roman law which is "Superficies solo cedit". Therefore 'Erbbaurecht in law' is a legal fiction in case that the proprietorship of the land is not the same as that of the fixture on it by mortgage's implementing hypothek. §366 is Korean civil law, however, is so insufficient that it is impossible to cope with the alteration of the relationship dejure between the land and the fixture on it from settlements of mortgage to its implementations. So the judicial precedents have established and developed the law of conditions, contents and dispositions with focusing the disputes' settlements of actual cases. In the Chapter 2 of this study, we examined the western Europe's system of Erbbaurecht and the theorectical foundation of Korean Erbbaurecht in law. The chapter 3 consisted of the conditions and the process of change in Erbbaurecht in law of §366 in civil law which the judicial precedents and the theories had established and developed. And we examined the basis on which the judicial precedents and theories had relaxed the conditions of Erbbaurecht in law. We also investigated whether it was resonable that Erbbaurecht in law in custom in law be authorized as it was. §366 in civil law just regulate the method for the decision making of land price in Erbbaurecht in law. Therefore in the chapter 4, we examined the views of the judicial precedents about the period of existence, the range, the land price and the publicity. In the chapter 5,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position and the registry of Erbbaurecht in law and the trends of Korean supreme court's judicial precedent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nonregistered-assigns of Erbbaurecht in law and landowners. Finally. in the conclusion, the essencials of this study were summerized and a desirable amendment of the system of Erbbaurecht in law was presen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