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1 Download: 0

자궁외 임신에서 혈청 estradiol, progesterone 및 β-Human Chorionic Gonadotropin의 변이동향

Title
자궁외 임신에서 혈청 estradiol, progesterone 및 β-Human Chorionic Gonadotropin의 변이동향
Other Titles
(The) serum levels of estradiol, progesterone, and β-hCG in ectopic pregnancy
Authors
장미영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자궁외 임신혈청estradiolprogesteroneβ-Human Chorionic Gonadotropin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金種一
Abstract
자궁외 임신은 성병질환의 증가, 미세수술에 의한 난관 복원술 및 자궁외 임신환자의 보존적 치료경향 등으로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며 진단이 지연되거나 오진의 경우 모성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자궁외 임신진단의 진전은 초음파에 의한 자궁강내 임신낭의 유무와 방사면역학적 혈청 β-Human Chorionic Gonadotropin(이하 β-hCG로 약함)의 측정 및 진단적 복강경에 의하여 파열전 조기에 진단이 가능하게 되었다. 최근 자궁외 임신 환자에서 혈청 estradiol, progesterone, β-hCG가 정상 임신에 비해 현저히 낮으며 조기 진단에 도움이 된다는 많은 임상연구가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자궁외 임신으로 확진된 환자 93례를 대상으로 혈청 estradiol, progesterone, β-hCG 및 자궁내막 조직검사를 실시하여 이의 진단적 가치 및 상호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환자의 평균 연령은 30.4세로 26-30세가 가장 많아 39.8%였다. 93례중 초산부가 40례(43.0%), 경산부가 53례(57.0%)였으며 평균 임신 횟수는 3.5회였다. 과거력상 복강경 난관 결찰을 한 경우가 18례(19.4%)였고 골반내 염증 소견을 보인 경우가 8례(8.6%)였으며 불임인 경우가 5례(5.0%)였다. 반복 자궁외 임신의 경우도 13례(14.0%)나 되었다. 2. 자궁외 임신의 부위와 파열여부를 보면 93례 모두 난관 임신이었으며 부위별로 보면 난관팽대부가 69례(74.2%)로 가장 많았고 협부가 15례(16.1%), 간질부와 체부가 각각 5례(5.4%), 4례(4.3%)였다. 파열여부로 보면 비파열형이 42례(45.2%), 파열형이 51례(54.8%)였다. 3. 각 호르몬에 대한 평균치를 보면 혈청 β-hCG치는 평균 7,305.11±8,374,80mIU/m1로 비파열형과 파열형에서 각각 2,558.48±2,463.40mIU/m1, 11,214.09±8,693.18mIU/m1였다. 혈청 estradiol치는 평균 113.50±112.85pg/m1로 비파열형과 파열형에서 각각 109.75±109.53pg/m1, 155.87±88.16pg/m1였다. 혈청 progesterone치는 평균 6.99±5.41ng/m1로 비파열형과 파열형에서 각각 4.87±3.57ng/m1, 8.74±5.57ng/m1이었다. 각각의 호르몬에 대해 비파열형과 파열형으로 나누어 비교하여 볼 때 파열형에서 약간 높기는 하였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p>0.05). 4. 임신 주수에 따른 혈청β-hCG치는 파열된 경우 각기 7, 8, 9주에서 15,000-18,000mIU/m1를 나타냈는데 이는 비파열된 경우 300-3,100mIU/m1와 비교할 때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p>0.05). 이것은 정상임신의 혈청 β-hCG보다 현저히 낮았다. 5. 임신 주수에 따른 각각의 혈청 estradiol는 파열형과 비파열형에서 차이는 없었고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P>0.05). 이것은 정상임신시 estradiol치보다 현저히 낮았다. 6. 임신 주수에 따른 혈청 progesterone치는 파열된 경우 임신 6, 7, 8주에서 6.8-15.2ng/ml로 비파열된 경우 4.5-5.3ng/ml에 비해 높았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P>0.05). 이것은 정상임신시 혈청 progesterone치 보다 현저히 낮았다. 7. 자궁외 임신환자의 자궁내막소견은 탈락막반응(decidual reaction)이 44례(47.3%)로 가장 많았으며 분비기 자궁내막(secretory endometrium)이 30례(32.3%), Arias-stella reaction이 5례(5.4%) 증식기 자궁내막(proliferative endometrium)이 14례(15.0%)로 임신에 관여된 자궁내막 소견은 79례(85.0%)였다.;The serum levels of estradiol, progesterone, and β-hCG in ectopic pregnancy is markedly lower than in normal pregnancy, so it can help in the early diagnosis of ectopic pregnancy. Thereby we studied the serum levels of estradiol, progesterone, and β-hCG and the histological findings of the endometrium in 93 patients who were definitely diagnosed as having ectopic pregnanc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30.4 yers. The most common age group was 26-30 years, comprising 39.8%. The rate of nullipara was 43% and multipara, 56.99%. In past history, 19.4% of the patients had previous laparoscopic tubal ligation, 8.6% had PID, 5.4% had Infertility, and 14.0% had recurrent ectopic pregnancy. 2. 93 patients all were tubal pregnancy, ampullar portion in 69 cases (74.2%), isthmic portion in 15 cases(16.1%), interstitial portion in 5 cases(5.4%) and fimbrial portion in 4 cases(4.3%). 3. The mean values of β-hCG was 7,305.11±8,374.80mIU/m1, estradiol was 113.50 ±112.85 pg/ml, and progesterone was 6.99±5.41ng/ml. 4. In the ruptured type cases, the β-hCG level was 15,000-18,000mIU/m1 at 7,8 and 9 weeks. Compared with the unrupture type (300-3,1OOmIU/ml), its value was more higher, but it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whole. This value is also markedly lower than in normal pregnancy. 5. In the estradiol level with gestational week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ruptured type and unruptured type. The level is markedly lower than in normal pregnancy. 6. In the case of ruptured type, the progesterone level was 6.8-15.2 ng/ml at 6,7, and 8 week. Compared with unruptured type (4.5-5.3ng/ml), its value was higher, but it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whole. This value is markedly lower than in normal pregnancy. 7. The histologic findings of endomerium in ectopic pregnancy; Decidual reaction was in 44 cases(47.3%), secretory endometrium was in 30 cases(32.3%), arias-stella reaction was in 5 cases(5.4%), and proliferative endometrium was in 14 cases(15.0%).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