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7 Download: 0

巨人型 說話의 硏究

Title
巨人型 說話의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Giant Type Narratives
Authors
金暎暻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Keywords
거인형 설화거인설화국어국문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진옥
Abstract
이 논문은 건국신화 이전의 상고대에 관한 신화적 잔영이 남아 있는 거인설화와, 거인형설화로 칭할 만한 일군의 장수설화에 관한 연구이다. 거인설화는 현재 신성성을 거의 상실하고, 파편신화적인 전설·민담의 형태에 여러 내용이 담겨 전승되고 있다 그러나 원래는 과거 우리 민족의 천지창조신화였던 것으로 보인다. 거인설화의 이와 같은 성격은 하위유형인 산천형성형 거인설화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나며, 거인이 다른 신화적 존재와의 다툼에서 패배하는 대결형 거인설화에는 거인설화의 신화적 성격이 쇠퇴하는 상황이 반영되어 있다. 사냥형 거인설화에는 배설의 결과 산천을 형성했던 생산성이 거인대식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변용되어 있다. 또한 단순설명담의 형태로 되어 있는 까닭에 신화적 성격과는 무관한 것으로 여겨졌던 외모중심형 거인설화도 교술무가의 讚神에 비견되는 신화적 성격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거인설화의 전승을 가능하게 하는 주된 전승소는 모티프이다. 거인설화에는 '거인'이라는 특이한 인물형을 기본으로 하여 파생, 발전된 여러 모티프가 나타난다. 이 가운데 '힘내기', '대식', '배설',의 세 모티프가 일군의 장수설화에서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어 주목된다. 거인설화의 모티프를 계승하고 있는 이 설화들을 거인설화와의 연계하에 "巨人型說話"로 칭했다. 힘내기모티프를 계승한 거인형설화에는 "오뉘힘내기", "제주도 장수할망", "방귀쟁이들의 방귀시합"이 있고, 대식모티프를 계승한 거인형설화에는 "제주도 밥장수", "호랑이 잡은 밥장수"가 있으며, 배설모티프를 계승한 거인형설화에는 "방귀쟁이 며느리"가 있다. 본고에서는 거인설화를 원형적인 것으로 상정하고 거인설화와 거인형설화에 나타나는 세 모티프의 변모양상과 의미를 고찰했다. 관계되는 서사무가와 문헌설화도 보조자료로서 활용하였다. 주체와 형태 그리고 결과의 세 요소로 각 모티프를 살펴 본 바에 따르면, 각 모티프의 주체는 신인에서 장수로 변모하고 있다. 이것은 거인설화가 일군의 장수설화와 연계되는 근거와도 상관이 있는 것이다. 또 주체의 체구가 거인에서 왜소화되는 쪽으로 변모하고 있는 것은 일차적으로는 현실적인 합리화에 그 원인이 있으며, 한편으로는 설화의 전승이 외모보다는 행위를 중심으로 이루어짐을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하다. 각 모티프의 형태는 대체로 일의 범위가 축소되고, 원래의 의도가 약화되면서 이야기 자체의 흥미 쪽으로 전개되는 변모를 보이고 있다. 각 모티프의 결과에는 장르에서 비롯되는 세계관의 차이에 의해 변모가 일어나고 있다. 동일한 모티프를 수용하지만 그 장르가 무엇인가에 따라 형태와 의미가 달라지고 있는 것이다. 이들 모티프는 설화 아닌 꿈이나 속담, 민속 등에서도 발견이 되고 있다. 설화가 먼저인지 민간 속신이 우선하는 것인지 그 선후관계를 가리기는 어려운 일이지만, 이들은 상호 연관 속에서 유지되어 오는 신화적 모티프의 지속적 편린으로 이해된다.;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giant narratives, in which still remains the mystical residue of ancient times before the times of the myth of the foundation to a nation, and a group of the strong man narratives which can be called as giant type narratives. Until now, the giant narratives have almost lost their divinity and has been transmitted in the forms of legends and folk narratives which contain the fragments of mythos. But originally they seem to have been our people's mythos of the creation of world. This character of the giant narratives appears convergently in the mythos of forming of mountains and streams which is a subordinate type of giant narratives. And in the struggle type giant narratives, where the giant defeats in the fight with another mythical being, the situation that the divinity of the giant narratives diminishes is reflected. In the hunting type giant narratives, the productivity of excreation which made mountains and streams changes to slove the problem of heavy eating. And the appearance centric type giant narratives, which have been regarded as having nothing to do with the mythical character because they are in the form of simple explanatory story, are recognized to have mythical character comparatable with the god prasing of instructive Shamanistic epic. The main factor which enables the transmittance of the giant narratives is the motif. Several motifs appear which have been derived from the peculiar character type, the giant, and developed on the basis on it. It is obserable tat among these motifs, three motifs of 'Struggling', 'Heavy Eating' and 'Excreation' show their feactures in a group of the strong man narratives. These narratives which are inheriting the motifs of giant narratives are called the giant type narratives in the consideration of their relation with the giant narratives. As giant type narratives that inherit the struggling motif, there are "The Struggled between Brother and Sister", 'A mighty Old Woman in Cheju Island" and " The Farting Match of Bagguijaengi". Those that inherit the heavy eating motif are "A Glutton in Cheju Island" and "A Glutton who cought a tiger" and what inherits the excreation motif is "A Daughter-in-Law Bangguijaengi". In this thesis, the giant narrative is regarded as the archetype and the changing aspects of three motifs, appearing in the giant narratives and the giant type narrative, are examined with their meaning. Related Shamanistic epic and literary narratives are used as referances. According to the consideration of each motif in the respect of three factors of protagonist, pattern and consequence, the protagonist of each motif changes from a man of god into a mighty man. The change of the physique of protagonist from hugeness to the direction of smollness is primarilly due to practical rationalization and on the other hand, it is the evidence that shows that the inheritance of the narratives comes out emphasizing rater the action of the protagonist thatn his appearance. The pattern of each motif is showing changes to evolve to the direction of the story itself while the scale of the event being reduced and orginal intention being lighted. When the consequence of each motif is considered, change appears due to the differences of the world view resulting from its genre. Though the same motif is adopted, the pattern and meaning of the motif varies according to is genre. These motifs are discovered in dreams, proverbs and folklores as well as narratives. Though to known the time order of narratives and folklores, they are recognized to be the constant parts of mystical motifs which have been transmitted in their interrel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