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영걸-
dc.contributor.author최은주-
dc.creator최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9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9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1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948-
dc.description.abstract인간-환경의 관계는 시각정보의 유입과 유출이 주요한 역할을 하며, 시각적 전달이 환경의 미적 질을 좌우하는 주요 인자이다. 환경적 정보에 대한 시각적 수용은 빛과 반사에 의한 지각 현상에서 출발하며, 일상 생활에서 체험하는 지각체험일 때만이 중요한 의의를 갖게 된다. 색채는 다양한 심리적 반응을 유발하는 자극원이며 인간의 감정에 작용하여 인간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사실을 볼 때 공간적 경험에 있어서의 색채에 관한 연구는 미학적인 동시에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접근방식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의식적인 노력과 더불어 형성된 색채 환경은 다양한 시각적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인간의 감정과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색채환경 디자인은 계획 연구에 의해 체계화 되어야 하며, 관련 분야의 이론적 배경과 그 구성요인들의 상관관계에 관한 구조적인 이해가 문제 인식의 단계에 접목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실내공간에서 경험하게 되는 지각색과 그 지각색을 기술하는 구조적인 방법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디자인 과정에서 인간의 색채 지각과 반응에 대응하는 구조적인 색채계획의 틀을 제시하여 미적 공간언어로서의 색채환경의 관리를 통해 인간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신념 아래 출발한다. 이러한 논지 하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1. 인간-환경(Man-Environment)이라는 기본 틀(Frame-Work)안에서 연구의 목적 및 방법을 체계화 하였으며 그 범위를 한정하였다. 2. 색채계획을 위한 관련이론의 다학문적 접근방식을 통해 본 연구의 타당성을 인식하였다. · 연구의 출발점이 되는 색채의 개념을 명확히하고, 색채 지각반응의 특성과 시지각 이론을 살펴 보았다. · 시각적 질의 객관화를 위해 행동적 관점에서 미적반응 과정과 시각적 선호에 대해 살펴보고, 전체 환경적 차원에서 체계적 개념의 틀이되는 시스템 이론에 대해 연구하였다. 3. 실내공간 색채계획에서 광범위한 색채체험을 효과적으로 하기위해 색채의 속성에 대한 구조적인 이해와 더불어 색채전달에 필요한 색채 명명법과 언어적 표현 등을 제시하였다. 4. 앞서 제시된 정보들을 기본으로 하여 디자인 과정에서 이를 창조적으로 수용하는 실내환경 색채계획 방법의 틀을 제안하였다. · 대상공간의 물리 환경적 요인과 사용자 요인을 분석하여 공간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색채 연출 목표를 설정하였다. · 대상공간과 사용자의 특성에 근거한 이미지 언어를 도출하여 그 이미지를 색채 이미지로 시각화하였다. · 색채계획을 통해 문제해결이 가능하며 타당성이 있는가를 검토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디자인 결과에 대한 문제점 인식과 부적합한 부분의 수정, 보완 작업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주로 경험적이고 직관적인 측면으로 다루어졌던 색채환경의 문제를 색채계획의 구조화, 체계화를 중심으로 파악해 본 것이다. 이를 통해 나타나는 객관적 자료를 토대로 색채계획의 틀을 제시하였으며, 이 합목적성은 디자인 전개과정에서 어떻게 접근시켜야 할 것인가를 제시한 것으로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이러한 바람직한 색채계획 접근방법을 통해 환경적 자극원으로서의 색채가 인간의 사고와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신념을 확인하며, 색채계획 접근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그 가치가 인정되어야 한다.;The relationship of man-environment play and important roll for visual information and visual transmission is major factor which controls aesthetic quality. Visual reception about environmental information starts from perceptional phenomenon caused by light and reflection and it only has an important meaning when perceptional experience is made by every day experiences Color is the source of stimulation which causes various psycological response and it has an effect on human thought and behavior by acting on human feelings. From those facts, the study of color in spatial experience should be done by the aesthetic and also scientific and reasonable approach and the color environment which formed by this conscious effect can has an effect on human feeling and behavior with constituting vanous visual environments. And therefore, the design of color environment should be systimatized by systimatic study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related area and the structural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 of composing factors should be slaked at the stage of problem recognition.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perceive color which we cm experience in inner space and the struckunl method desuibing that perceive color, the frame work of a structiual color plan which responds to human color perception and its response in the procedure of design is suggested and this study starts with the belief that it can be devoted to devate the quality of human life by the management of color environment as an art spatial language. Under these logical points, this study was proceeded as following procedures. 1. The purpose and method of this research was arstimatiEed and its range was defined in basic Frame-Work that is Man-Environment. 2. The reasonableness of this study was recognized through multi-disciplinary approach of related theories for the color plan. The conception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was confirm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ceptional response of color and the theory of visual perception were confirmed. Aesthetic response and visual preference in the point of action for objectification of visual quality were investigated and the systimatic work at whole environmental dimension was studied. 3. The color notation and the expression of language which is necessary for color communication with the structural understanding about the attribute of color was represented to experience wide ranged color effectively in the color plan of interior space. 4.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suggested before, the fame work of a color plan of interior environment which acceptes it creatively in the procedure of design was suggested. The symbolical meaning was endowed with space by analyzing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factor of object-space and user's factor and the objective of color production was established by inducing problems. The plan was proceeded by steps established for systimatic color communication. Possibility and reasonableness of resolution of the problems by the color plan were investigated and from this procedure, the recognition of problem in the results of design and the correction and the complenemtery work for unsuitable parts is made. In this study, the problems of color environment which has been treated at and exponential and intuitive side was prasped centering on the structural color plan and systimatization of it. The frame work of a color plan was suggested on the basis of objective materials from this, and it is meaningful that how this reasonable purpose can be approached in the developenting procedure of design was suggested. Through this desirable approach of color plan, the belief that the color as a stimulant source on have a positive effect on human thought and behavior is confirmed and the value and the necessity of the study on approach of a color plan should be recogniz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목차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2 2. 실내공간 색채계획을 위한 관련 이론 = 4 2-1. 지각색과 시지각 이론 = 4 2-1-1. 지각색으로서의 색채 = 4 2-1-2. 색채 지각 반응의 특성과 시지각 이론 = 6 2-1-3. 미적 반응 과정과 시각적 선호 = 9 2-2. 시스템 이론과 색채계획 = 13 3. 실내환경 색채계획의 구조적 접근 = 16 3-1. 색 지각 공간에서의 색조 분류 = 16 3-1-1. 색채 속성에 대한 구조적 이해 = 16 3-1-2. 색조 분류 = 18 3-2. 실내공간 색채계획의 구조적 접근 방법의 기준 = 21 3-2-1. NCS인지 모델 = 22 3-2-2. 색채 이미지 계획과 언어적 표현 = 28 4. 색채 계획 과정 및 제안 = 35 4-1. 디자인 개요 및 진행 과정 = 35 4-1-1. 디자인 개요 = 35 4-1-2. 색채계획의 기준 = 36 4-1-3. 색채계획의 단계별 진행과정 = 37 4-2. 계획대상의 현황분석 및 색채계획 = 39 4-3. 검토 및 의의 = 99 5. 결론 = 101 참고문헌 = 105 ABSTRACT = 10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079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실내공간-
dc.subject색채계획-
dc.subject구조적 접근 방법-
dc.subjectInterior Space-
dc.title실내공간 색채계획의 구조적 접근 방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tructural Approach in a Color Plan of Interior Space-
dc.creator.othernameChoi, Eun-Joo-
dc.format.pagex, 10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