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6 Download: 0

서울시내 일부 중년층 남성의 금연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서울시내 일부 중년층 남성의 금연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terminated of stop smoking by some middle aged men in seoul
Authors
김은지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건강교육과
Keywords
서울시내중년층남성금연결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명
Abstract
본 연구는 1991년 3월 25일부터 4월 7일까지 서울 시내에 거주하는 35세부터 55세까지의 직장남성 355명을 대상으로 흡연 및 금연실태와 금연의 결정요인을 조사하였다. 자료는 백분율, x^(2) -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연구의 대상자 355명 중 금연시도자는 229명으로 64.5%였으며, 이 중 금연 성공자는 60명으로 19%였다. 2. 금연 시도회수에서 금연성공군은 1희 시도한 사람이 33.3%(20명)로 가장 많은 반면 금연실패군은 2회 시도한 사람이 25.4%(43명)로 가장 많게 나타났다. 3. 금연 시도 방법의 경우 금연성공군은 스스로의 의지(59.8%) 뿐만 아니라 책,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금연방법(24.4%)도 함께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금연실패군은 대부분이 스스로의 의지(85.8%)에만 의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4. 가족의 흡연에 대한 태도는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경우가 금연성공군과 금연실패군에서 유사하게 나타난 반면 반대하는 편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금연실패군(37.3%)이 금연성공군(26.7%)보다 다소 많았다. 5. 가족 중의 주요 흡연반대자에서 부모, 자녀의 반대는 금연성공군과 금연실패군에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본인을 포함한 기타라고 응답한 사람은 금연성공군(13.3%)이 금연실패군(3.0%)보다 많게 나타났다. 6. 직장에서의 금연조치의 경우 흡연장소지정은 금연실패군(22.7%)이 금연성공군(8.3%)보다 많았으며, 금연권유는 금연성공군(16.7%)이 금연실패군(5.3%)보다 많게 나타났으나 사무실내 금연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7. 공공장소에서의 금연조치에 대한 태도는 금연성공군(83.3%)이 금연실패군(46.7%)에 비해 매우 바람직하다고 응답한 사람이 2배 정도 많았다. 8. 담배경고문에 대한 의견은 보다 강한 문구로 바꾸어야 한다고 응답한 사람이 금연성공군(66.7%)이 금연실패군(46.7%)보다 많게 나타난 반면, 적절하다고 응답한 사람은 금연실패군(38.5%)이 금연성공군(20.0%)보다 많게 나타났다. 9. 금연지식에 노출된 정도와 금연지식도간에는 중정도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 = 0.63017). 10. 금연 성공여부에는 공공장소에서의 금연조치에 대한 태도, 금연 시도방법, 담배경고문에 대한 태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2) = 0.208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eterminants of stop smoking. The data on which the analysis was based come from a survey of 355 middle-aged men in Seoul. The data was analyzed using proportion, X^(2)-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following were the results : 1.Success rate of stop smoking is 19.9% of 229 persons who attempted to quit smoking. 2.As for the number of quit attempts, 33.3% of ex-smokers tried once : 25.4% of current smokers tried twice. 3.As for the methods of quit attempts ex-smokers showed higher tendency in using will power and books/guides than current smokers who in using will power alone. 4.For the attitudes on smoking of family, the majority of ex-smokers and current smokers were opposed absolutely. 5.The main opposite to smoking were wives in cases of both ex-smokers and current smokers. But More ex-smokers answered that the main opposite to smoking were others than current smokers. 6.As for the measures of smoking in the office, more ex-smokers answered inviting than current smokers and more current smokers assigned a smoking spot than ex-smokers. 7.Majority of ex-smokers approve of restriction at public spot strongly. 8.As for the attitude about caution on a cigarette case, more ex-smokers insisted than current smokers. 9.There was a 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exposure about knowledge and the degree of knowledge. 10. Stepwise Multiple Regresssion portray that following factors influence stop smoking in orfer named, (1) attitude on the smoking restriction at public spot, (2) methods of quit attempt, (3) attitude about caution on cigarette case. Even so, it turned out that these factors alone can explain only 20% of self-examination. Therefore study for the other factors ought to be continued. I submit following suggestions ending this study. 1. Continuous study of the other factors affecting stop smoking must be carried on. 2. Sincd there was a relation the degree of exposure about knowledge and the degree of knowlenge, efficient health education is required using campaign and mass medi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