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6 Download: 0

유치원 교육활동에서의 한국 전래동요 활용을 위한 기초 연구

Title
유치원 교육활동에서의 한국 전래동요 활용을 위한 기초 연구
Other Titles
(A) Basic Study for Applying Transmitted Rhymes at Kindergarten's Educational Program
Authors
정미라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유치원교육활동한국전래동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상금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bout Transmittied Rhymes's definition, orgin, and a process of becoming in order to apply actually at Kindergarten's educational program through introduction of Korean Transmittied Rhymes which are our countries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And meanwhile this study is to know how the characters can be connected with Kindergarten's educational program, through showing the value wich is accompanied when we consider children's developing character and classifying of these rhymes according to theme. Transmittied Rhymes becoming of classifying are 728 parts. Transmitted Rhymes which are complied the book through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until now. the standard df classifying is Rhymes's one of Korean folk song's classifying basis list by Im DongGwon. The result are as follows; 1. Korean Transmitted Rhymes can be divided into animal(36.4%), plant(9.9%), affectionatemother(2.3%), cares. cradle(6.7%), emotion(5.2%), nature(6.5%), ridicule(10.2%), joke and amusement song(2.2%), and so on(4.4%). 2. We can find three types, common characters through classifying of Transmittied Rhymes that is to say the character about content, form, and expression aspects, and the connection with traditional entertainment. 3. Transmittied Rhymes can be used enough at Kindergarten's educational program when we consider value and character. After all, Korean Transmittied Rhymes is historical culture heritage having emotion and rhythm of our people (especially children), therefore various theme and rhythm Transmittied Rhymes suit children's development and interest. So it must be used at our Kindergarten's educational program.;본 연구는 우리의 전통적인 문화 유산으로서의 한국 전래동요를 유형별로 분류해 보고 그 특성을 찾아 냄으로써 그것이 유치원 교육 활동에 실제로 어떻게 활용되어질 수 있는가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한 문헌 연구이다. 분류의 대상이 되었던 동요는 지금까지 입에서 입으로 전승되어 책으로 엮어진 구전 전래동요 728편이며 분류의 기준은 임동권의 한국 민요 분류 기준표중 동요 분류 기준표에 준하였다. 분류를 통하여 알수 있었던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전래동요는 그 주제에 따라 크게 동물요(動物謠,36.4%), 식물요(植物謠,9.9%), 자모요(慈母謠,2.3%), 애무.자장요(愛撫.자장謠,6.7%), 정서요(情緖謠,5.2%), 자연요(自然謠,6.5%), 풍소요(諷笑謠,10.2%), 어희요(語戱謠,2.2%), 수요(數謠,0.4%), 유희요(遊戱謠,15.8%) 기타요(其他謠,4.4%)로 나눌 수 있었으며 그 각각의 노래들은 다양한 내용의 소재들로 보다 세분화 되어 분류할 수 있었다. 둘째, 전래동요의 분류를 통하여 다음 3가지의 공통된 특성을 찾을 수 있었다. 우선 내용상의 특성으로서 전래동요속에는 어린이들과 친근한 주변의 생활 이야기를 담은 생활성과 자연 친화성, 교훈성과 연모성, 순수성과 명쾌성(유우머)을 담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형식상의 특성으로서 음보상, 시행상, 모든 어린이가 쉽게 따라 부를 수 있는 4.4조의 댓구적 율조를 가진 것이 많았고 끝으로 표현상 유아와 친숙한 사물들이 다양하게 의인화 되어 표현되고 문답 형식의 노래들이 많이 발견되었다. 셋째, 전래동요는 유아의 발달적인 특성상, 그들에게 문학적인 체험을 할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언어 발달을 도우며 음악적인 경험을 통하여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킬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갖는다. 또한 전래동요속에는 유치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단원들(나, 우리집, 봄, 동물, 여름, 가을, 겨울)과 연결되어질 수 있는 다양한 소재들이 들어 있으므로 이를 유치원의 교육활동에 적절히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다면 유아들에게 보다 즐거운 교육활동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한국전래동요는 우리민족(특히 어린이)의 정서와 가락이 담긴 뿌리 깊은 민족 문화 유산으로 그속의 다양한 주제와 운율은 어린이의 발달과 흥미에 적합하며 따라서, 그것은 우리의 유치원 교육활동에 충분히 활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