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송준만-
dc.contributor.author이정은-
dc.creator이정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7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9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1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96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of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CAI) in special education. This CAI is drill and practice type for mentally retarded children to develop automaticity of add fact. 28 subjects were selected from mildly mental retarded children having addition concept and devided into two groups : experiment group applied CAI and controlled group applied traditional instruction. After 10 sessions, Comparisons of addition proving skill with two groups were made with respect to the mean number of correct responses and mean responses time. T-test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data about differences of mean number of correct responses and mean correct responses time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tudy concluded that 1.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in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 2.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in the time of correct response.;학습자에 대한 직접적인 교수매체로서의 컴퓨터 활용인 CAI는 개개인이 컴퓨터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습에 적극적인 참여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Alpert & Bitzer, 1970) 다른 어떤 전통적인 교수방법이나 교수 매체에서 찾아 볼 수 없는 매우 흥미로운 경험을 제공해주며(Magidson, 1978) 학습의 진전도를 추적할 수 있다(전성연, 배영균, 1989)는 특성을 주축으로 전통적인 교수에 대한 새로운 교수-학습의 개선책으로 제시되어 왔다. 특히 특수교육계에서는 이와 같은 컴퓨터 보조 수업의 특성이 특수 교육에서 요구하는 교수 특성과 많은 부분 일치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더 효율적인 컴퓨터 보조 수업의 적용을 위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학습을 보조하는 덧셈의 자동성 개발을 위한 연습형 컴퓨터 보조수업(CAI)을 정신지체아동에게 적응해 봄으로써 특수 교육에서의 CAI의 유용성을 검증해 보고자 했다. 이 목적을 위해 선정된 연구대상은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덧셈 개념을 갖고 있는 28명의 경도 정신지체아동들로서, 한 자리수 덧셈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여 각각 14명씩 CAI를 적용한 실험집단과 전통적인 학습방법을 적용한 통제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 자리수 덧셈에 대하여 실험 집단은 컴퓨터 보조 학습실에서 실험반에 소속되어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CAI 프로그램으로 일반적인 수업 상황 속에서 연습 활동을 하였으며, 통제 집단은 자신의 교실에서 실험반과 같은 교과과정으로 동시간 동안 전통적인 방법으로 연습활동을 각각 30분씩 10회에 걸쳐 한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그 문제해결의 정확성과 속도면에 있어 CAI를 적용한 실험 집단과 적용하지 않은 통제 집단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실시한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는 동일한 한 자리수 덧셈 2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차에 대한 검증은 각 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 점수에서의 정답 반응 수와 정답 반응 시간의 평균치의 차에 대한 차의 검증을 SPSS 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AI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 집단과 전통적인 방법으로 동시간 연습한 통제 집단간의 덧셈 문제 수행에 있어 평균 정답 반응 수의 증가를 비교한 결과,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우수한 성과를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둘째, CAI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 집단과 전통적인 방법으로 동시간 연습한 통제 집단간의 덧셈 문제 수행에 있어 평균 정답 반응 시간의 감소를 비교한 결과,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확실히 빠른 수행을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경도 정신지체아동의 한 자리수 덧셈의 자동화를 위해 적용된 연습형 CAI프로그램이 일상적인 교수 상황 속에서 보조 수단으로 사용되었을 경우 자동화의 중요한 요인인 정답 반응 수의 증가(정확성의 향상)과 정답 반응 시간의 감소(속도의 향상)에서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 보조 수업을 통한 '한 자리수 덧셈의 자동성 개발'은 특수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컴퓨터의 장점을 제대로 살린 CAI적용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 용어의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교육에서의 컴퓨터 활용 = 5 B. 특수교육에서의 컴퓨터 활용 = 16 C. 장애아동의 자동화에 대한 연구 = 30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36 A. 대상 및 실험 기간 = 36 B. 실험 도구 = 39 C. 연구 설계 = 46 D. 통계 처리 = 50 Ⅳ. 연구결과 = 51 A. 기초 자료 = 51 B. 실험 결과 및 분석 = 54 Ⅴ. 논의 및 제언 = 57 A. 논의 = 57 B. 연구의 제한점 = 60 C. 제언 = 61 참고문헌 = 63 Ⅰ. 사전 사후 검사 문항 = 73 Ⅱ. CAI 프로그램 화면 = 74 Ⅲ. CAI 프로그램 SCRIPT = 81 Ⅳ. 데이타 저장 예 = 86 ABSTRACT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102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정신지체아-
dc.subject컴퓨터 보조학습-
dc.subjectCAI-
dc.subject.ddc300-
dc.title경도 정신지체아를 대상으로 한 컴퓨터 보조학습(CAI)효과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한 자리수 덧셈 연습활동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 OF CAI FOR MILDLY MENTAL RETARDED CHILDREN : TO FOCUS ON DRILL AND PRACTICE WITH ONE-DIGIT ADDITION-
dc.format.pageviii,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