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희영-
dc.contributor.author김은숙-
dc.creator김은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6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3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1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384-
dc.description.abstract"Abstraction" which is a basic attitude of expressing beauty and becomes a leading style of expression in the 20th century, refueses to be subjected to representation of objects and shows a tendancy of pursuing free expression. Astract art that confirmed the purity of plastic arts and put emphasis on the peculiar expression has been developed in diverse trends and this tendancy was seriously attempted by Piet Mondrian (1866 - 1944) and Wassily Kandinsky (1872 - 1944) about 1910. Meanwhile it is explained by two contradictory trends. This "duality" can be divided into two aspects, that is "Mind" which has characteristics of intellectual, constructual and geometrical qualities and "Material" which is intuitional, emotional, ecological and decorative. The birth of abstract art in the early 20th century, was related to the new principles of plastic arts and, since 1945, in complicated and rapidly changing social structure, another aesthetical field Mod- ernism was achieved by artists. Having passed by way of Abstract expressionism, Informal, Pop art, Colorfield painting and Post -Painterly abstract and, in 1970's followed by 'Minimal art etc., Modernism was recognized by a conception in pursuit of 'purity". But, in 1980's, with the intensification of self-expression and strengthening of awareness of social reality, a new phase has been appeared, that is "Post -Modernism". This means not a rupture with the earlier age, but overcoming and continuing from it, and it is thought to be founded on the fact that the moderns' mental structure has sought for the art on the whole, all throughout the culture. Meanwhile, it has developed various methods of expression by diverse techniques and materials. 'Neo-Geometricism", the latest abstract art has emerged as an attempt to put emphasis on, 'the form' again under the varied circumstances since Modernism. Getting the bearings of the situations of paintings like this, the matter what I'm tring to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inciples of plastic arts involved in the space of modern architecture, and next to study Geometrical perspective space of Giorgio de Chrico (1888- 1976) who established metaphysical painting in relation my architectural space. In Methodological aspect, I took a perspective space in order to form abstract space by the relative composition of a picture, and for This I stdudied about overlapped space formation using patterns and the role of the colors in the overlapped space structure. his study is stemmed from the intention to inquire into pictorial space, keeping objective expression in mind and, through analyzing my works, I wish to find out its position in the current of today's paintings and to make it of the foundation for my future works.;미(美)표현의 근원적 태도이며 20C의 주도적인 표현양식이 되고 있는 「추상(Abstraction)」은 대상의 재현적인 예속을 거부하고 자유로운 표현을 추구하는 경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조형의 순수성을 확립하고 개성적 표현을 강조하였던 추상미술은 합리적이고 기능적인 사고로 인하여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조류로 발전되어 왔으며, 이러한 경향은 1910년경 Piet Mondrian(1866~1944)과 Wassily Kandinsky(1872-1944)에 의해 본격적으로 시도되었다. 또한 이것은 두가지 대립되는 조류로 설명되어지는데 지성적, 구조적이고 기하학적 특징을 가진 「정신」과 직관적, 정서적이며 생태학적, 장식적인 「물질」의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겠다. 20C초 추상미술의 태동은 새로운 조형예술의 원리와 연관되었고, 45년이후 복잡한 사회구조의 급변속에서 예술가들에 의해 또다른 미학적 영역이 성취되어졌다. 모더니즘(Modernism)은 Abstract expressionism, Informal, Pop art, Colorfield painting, Post-Painterly Painting을 거쳐 60년대 Minimal art 등으로 이어져 순수성을 추구하는 개념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80년대에 와서 자기표현이 심화되고 사회현실적 인식이 강해지면서 포스트 모더니즘(Post Modernism)이라는 새로운 상황이 전개된다. 이것은 전 시대와의 단절이 아닌 극복, 지속을 의미하며 현대인의 정신 구조가 문화전반에 걸쳐 총체적인 예술의 형태를 모색하게 되었다. 또한 여러가지 기법과 재료를 통해 미술의 다양한 표현방식을 이끌어내고 있다. 가장 최근의 추상미술인 「신기하주의」는 Modernism이후의 다원적인 상황하에서 다시금 형식을 중시하는 새로운 시도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회화상황의 인식하에서 연구의 내용적인 면은 현대문명의 건축공간에 내재되어 있는 조형원리를 회화와 연관시켜 미술사적으로 살펴보고, 형이상학적인 회화를 정립하였던 Giorgio do chirico(1888~1976)의 기하학적 공간표현을 본인의 건축공간과 연결하여 고찰하려는 것이다. 그리고 방법적인 면에서는 추상공간을 조형화하기 위해서 관계적, 비관계적인 화면구성을 형성하였으며, 이를 위해 pattern을 사용한 중첩된 공간형성과 중층구조내에서의 색채의 역할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구조적인 측면을 중시한 회화공간을 탐구하려는 조형의지에서 비롯되었으며, 본인의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오늘날의 회화상황내에서 그 위치를 파악하여 앞으로의 제작활동에 기초로 삼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Ⅰ. 서론 = 1 A. 연구문제의 진술과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4 C. 연구의 방법 = 5 Ⅱ. 본론 = 7 A. 내용적 연구 = 7 1. 도시환경의 건축에서 전이(轉移)된 조형성 연구 = 7 2. 회화에 있어서 공간의 개념 = 12 B. 방법적 연구 = 14 1. 관계적(Relational)인 것과 비관계적인(Non-relational)인 것의 화면 구성 = 14 2. Pattern이 도입된 중첩의 효과 = 16 3. 중층구조(重層構造)내에서 색채의 역할 = 18 참고작품 = 20 C. 본인작품 분석 = 21 Ⅲ. 결론 = 35 참고문헌 = 36 ABSTRACT = 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344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관계적구조-
dc.subject조형공간-
dc.subject서양화-
dc.title관계적(Relational) 구조에 의한 조형공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LASTIC SPACE BY RELATIONAL STRUCTURE-
dc.format.pagevi, 4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서양화과-
dc.date.awarded199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