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이-
dc.contributor.author장인규-
dc.creator장인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5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1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1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119-
dc.description.abstractNowadays alcoholism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social problems in many countries including advanced countries. In Korea heavy drinking has been considered as rather a symbol of manly behavior than a serious thing. Rut recently the sudden increasing rate of hospitalization by alcoholism shows the result that alcoholism began to be considered as a social problem. With the expansion of such a conception, the study on alcoholism has been active, and alcoholism is emphasized as a family illness which lays stress on the influence of one's alcoholism on his family and their reciprocal action. Among the concerns on the family of alcoholics, the anxiety of their wives is highly worthy of notice. In this study the anxiety of the alcoholic's wives is set up as the problematic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treat the wives' anxiety in the theraputic setting because it leads negotive effect, in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aspects and makes their husbands endure drinking. The purpose of the analysis is to reveal the supporting foctors contributing to the anxiety reduction of the alcoholic's wives, and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for transferring the theraputic process to the clinical practice. At first this study refers the anxiety foctors of the alcoholic's wives, the meaning of the anxie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theories of social support and the anxiety, and the function of the anxiety reduction by social support among the alcoholic's wives. The 63 alcoholic's wives were chosen as samples through the five hospitals in Seoul, Kyung-gi Area and Alcoholics Anonymous. As for the instruments for the research, the State Anxiety Scale of STAI (devised by Spielberger, adapted by Kim, Jung-Taek) was used for measuring the anxiety, and social supporting scale by Park Ji-Won was reorganized for measuring the social support. The question including the general matters. The collected data analyied by Frequency, Pearson's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rough using SPSS program. Folowings ar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1. Among the structural support factors being composed of size, frequency, stability, equality which means available networks for social support, only the equality factor of four specific factors contributed to the anxiety reduction of the object. 2. Among the functional support factors consisted of emotional, informational, tangible, self-esteem which means practical support behavior, the informational and the self- esteem supports of the four specific factors showed their contributions. 3 . Analyzing the contributive sequence of each social supporting factor in the estimative supporting factor was the most contributory and equality factor was next to it.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 analysis, I tried to show a method of the approach for solving the anxiety problem of alcoholics' wives in the aspects of the social work's approach.;오늘날 알콜중독은 선진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에서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음주를 질병의 개념으로 심각하게 받아들이기 보다는 남성다운 행동의 한 상징으로 관대하게 수용하는 경향이 었었으나, 최근 급증하는 알콜중독자의 병원입원률은 우리나라에서도 알콜중독을 문제로서 인식하게 되었음을 반증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식의 확산과 함께 알콜중독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개인의 알콜중독이 가족성원에게 미치는 영향 및 그 역동적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가족병으로서의 알콜중독개념이 강조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맥락에 근거한 가족에의 관심중 비중높게 주목받는 것의 하나가 알콜중독자 아내의 불안에 관한 것으로, 이는 신체·정신·사회적 측면에서의 부정적 영향과 남편 음주지속에의 기여라는 두 가지 측면의 그 파급적 효과 때문에 치료적 장면에서 다뤄져야 할 주요 국면으로 보여 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알콜중독자 아내의 불안을 문제상황으로 설정하여 최근 불안의 중재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사회적 지지에 사회사업적 접근의 촛점을 두어 그 세부요인 각각의 불안감소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목적은 알콜중독자 아내의 불안감소에 기여하는 지지요인을 밝혀 치료적 과정에서 임상적 실제로 전환하는데 있어서의 기초자료로 이를 제공함이다. 이를 위한 실증분석에 우선하여 이론적 이해를 돕기 위해 알콜중독자 아내의 불안원, 알콜중독자 아내 불안의 의미, 사회적 지지 일반론 및 불안과의 관계 그리고 사회적 지지의 알콜중독자 아내 불안감소 기능에 대해 문헌 고찰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서는 서울·경기 지역의 5개 병원과 단주친목회(Alcoholics Anonymous)를 중심으로 연구대상자가 선정 되었고, 설문조사결과 최종 63부가 자료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도구로는 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STAI (Spielberger 고안, 김 정택 번안)중 상태불안척도를,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박 지원의 사회적 지지척도를 중심으로 재구성하였으며 일반적 사항을 포함하여 총 66문항으로 설문지가 구성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PC^(+)를 이용하여 Frequency, Pearson's r 그리고 Multi-Regression 프로그램에 의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회적 지지를 위해 유효한 조직망을 의미하는 구조적 지지요인의 알콜중독자 아내 불안감소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크기·빈도·안정성, 동질성의 4가지 세부요인 중 동질성요인만이 대상자의 불안감소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구조적 지지체, 즉 조직망의 실제적 지지 행위를 의미하는 기능적 지지요인의 알콜중독자 아내 불안감소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정서적 지지·정보적 지지·물질적 지지·평가적 지지의 4가지 세부요인 중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요인이 불안감소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알콜중독자 아내의 불안감소에 있어서 각 사회적 지지요인의 기여적 순서를 분석한 결과 가장 기여도가 높은 지지요인은 평가적 지지와 동질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자는 사회사업 실천적 측면에서 알콜중독자 아내의 불안문제에 대한 접근방안을 제언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1.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목적 = 3 3. 연구내용 = 3 Ⅱ. 이론적 배경 = 5 1. 알콜중독자 아내의 불안 = 5 (1) 알콜중독자 아내의 불안원 = 6 (2) 알콜중독자 아내 불안의 의미 = 8 2. 사회적 지지와 알콜중독자 아내의 불안 = 13 (1) 사회적 지지 = 13 (2) 사회적 지지와 불안 = 15 (3) 사회적 지지의 알콜중독자 아내 불안감소 기능 = 17 Ⅲ. 연구방법 = 20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20 2. 측정도구 = 20 3. 자료처리 방법 = 23 Ⅳ. 결과분석 및 해석 = 24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4 2. 연구 목적에 대한 검증 = 25 Ⅴ. 결론 및 제언 = 37 참고문헌 = 40 부록 - 설문지 = 45 ABSTRACT =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533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알콜중독자-
dc.subject아내-
dc.subject불안감소-
dc.subject사회적 지지요인-
dc.title알콜중독자 아내의 불안감소에 관한 사회적 지지요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Study of Social Supporting Factors to the Anxiety Reduction of the Alcoholic's Wives-
dc.creator.othernameJang, In Gyu-
dc.format.pagev, 5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