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4 Download: 0

시각 패턴에 대한 내재적 및 외재적 기억

Title
시각 패턴에 대한 내재적 및 외재적 기억
Other Titles
Implicit and explicit memory for visual patterns
Authors
김지용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시각패턴내재적 기억외재적 기억교육심리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애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unctional independence between explicit and implicit measures of memory for novel, visual patterns in the effects of delay and the number of study trials. A total of 48 subjects (36 women and 12 men) were tested in this experiment. Sixteen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ame-day condition, 20 in the delay condition, and 12 in the single-presentation group.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combination of Study List x Test Order. Implicit memory was assessed by a speeded perception task, and explicit memory by a four-alternative, forced-choice recognition task. The measure of implicit memory was the difference in accuracy between previously studied figures and new figures. The results were: 1.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perceptual priming effect fop all sessions. It means that the record of a single perceptual experience can be preserved and retrieved to facilitate perception of the same pattern on subsequent presentations. 2. The perceptual priming effect remained very effective across delays from a few hours to 1 week, but in contrast recognition performance showed a drop across the same period of time. 3. Perceptual priming and recognition were similarly affected by the number of study trials. The repeated study trials significantly increase their performance. 4. The implicit and explicit memory measures for visual patterns showed functional independence not in the effect of repeated study trials but in the effect of delay.;본 연구는 시각 패턴에 대한 내재적 및 외재적 기억을 학습과 검사간의 서로 다른 시간간격과 학습시행수의 조건들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내재적 기억의 측정법으로는 지각과제가 사용되었으며, 외재적 기억은 4지선다의 재인과제에 의해 측정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로 학습패턴과 새로운 패턴간에 반복 점화 효과(repetition priming effect)가 나타나는지, 또한 지각 및 재인검사의 수행이 조건들에서 차이가 있는지, 만약 있다면 이러한 차이는 시각 패턴에 대한 내재적 및 외재적 기억간의 기능적 분리를 입증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여자대학생 36명과 남자대학생 12명으로, 이중 16명은 4회 학습 및 지연이 없는 조건인 당일집단에, 20명은 4회 학습 및 지연조건인 지연집단에, 그리고 나머지 12명은 1회 학습 및 지연조건인 일회제시집단에 무선 배정되었다. 실험절차로 매회기마다 우선 자극 개시 시간간격(SOA)에 대한 역치를 결정하고, 첫 번째 학습 시행후, 기억검사(지각과제 및 재인과제)를 했다. 모든 피험자는 두 유형의 기억검사에 다 참여했는데 첫번째 학습후 바로 검사를 받고, 지연과 학습시행수에 따라 나중에 한번 더 검사를 받았다. 검사순서와 학습목록은 집단간에 서로 균형을 맞추었다. 지연(3시간/일주일)효과에 대해서는 당일집단과 지연집단을, 학습시행수(1회/4회)의 효과에 대해서는 지연집단과 일회제시집단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 패턴을 사용한 지각검사에서 매우 유의미한 반복 점화 효과가 나타났다.(P<0.01) 즉, 새로운 패턴보다 이전에 학습했던 패턴에 대해서 지각수행이 더 뛰어났다. 이 결과는 내재적 기억의 측정법으로 다른 과제들을 다룬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한다. 둘째, 지각수행에 있어서 시간지연(3시간/일주일)과 검사시기(즉시/지연)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 F(1,34)=4.72, p<0.05 ] 반면에, 재인수행은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시간지연에 따라 재인율이 감소하였다. 이것은 재인기억과는 대조적으로 반복 점화가 일주일의 지연에도 그 영향이 줄지 않고, 상대적으로 향상된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지각수행 및 재인수행은 시간지연에 따라 서로 다르게 영향을 받았음을 말해준다. 이러한 결과는 시각 패턴에 대한 내재적 및 외재적 기억간의 '기능적 분리'를 입증하는 뒷받침이 된다. 세째, 지각수행과 재인수행 모두에서 학습시행수(1회/4회)와 검사시기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 F(1,30) = 9.60, p< 0.01 ] [F(1,30)=15.07, p<0.01 ] 즉 반복학습 효과는 지각수행 및 재인수행 모두를 향상시켰음을 말해준다. 네째, 시각 패턴에 대한 내재적 및 외재적 기억은 지연효과에 대하여 '기능적 분리' 의 관계에 있다. 반면에 학습시행수에 대해서는 유사한 영향을 받았다. 이것은 학습시행수에 관해서는 내재적 및 외재적 기억이 기능적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