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6 Download: 0

유니트(unit)에 의한 조형성 연구

Title
유니트(unit)에 의한 조형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ORMATION BY A UNIT : Centering Product of Work by Using Patchwork Batik
Authors
정혜화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염색디자인전공
Keywords
유니트조형성납방염패치워크 작업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연순
Abstract
예술은 인간이 가장 자연스럽게 표출하는 감정의 발로이며, 그 중에서도 미술은 형이나 색으로 대변하는 구체적 심상의 시각적 표현이라 말할 수 있다. 수많은 소재들에 의해 표현되어지는 심상들은 그 소재들이 지닌 고유한 특성에 따라 독특한 시각 언어로 표현되어지는데 그중 조형 예술의 한 쟝르인 섬유 예술 가운데 특히 염색은 천이라는 독특한 공간 위에서 자신의 내면 세계에 존재하는 무한한 심상 세계를 형상화시킨 것 이다. 현대 미술의 흐름은 관습적이고도 보수적인 생각으로 외형의 재현에 급급하던 틀을 벗어나 작가 자신의 내적의식이나 자유분방한 이미지 표현을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독창적으로 표현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공예도 예외는 아니어서 과거의 공예가 기능성과 실용성의 가치에 치중하는 반면, 최근의 표현 양식은 작가의 심미성을 바탕으로하여 자유롭고 생명력 있는 내면의 세계를 형상화하는 방향으로 흐르는 경향이 있다. 또한 기존의 시각 표현은 작가 스스로 한 화면에 집착하여 한정된 화폭 속에서 표현을 극대 화려는 한계성을 갖고 있어 충분한 내적 표현을 다할 수 없었다고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자는 어떤 단일 형태가 지니고 있는 독자적인 아름다움도 중요하지만, 그것들이 하나의 단위에 의해서 재구성되었을때 나타나는 아름다움은 하나의 조각(unit)^(1)이 지니고 있는 조형성에서 기대할 수 없는 독특한 효과를 가져온다는 점에 중점을 두고 개별화면들을 재구성하는 옴니버스(omnibus)형의 화면을 구성하게 되었다. 이는 현란한 물질 문명 속의 자유분방한 의식 세계를 한정된 시·공간에 구속시키기를 꺼려하는 현대인의 탈형식 심리의 발로이며, 다양한 표현 욕구의 분출 내지는 의식적, 무의식적인 형과 색을 공존시킴으로써 표현의 이중성을 추구하려는 것이다. 이에 관한 이론적 연구와 조형적 연구·제작 및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 제작과정에서 내면 세계의 보편적 잠재 의식을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수단으로써 기하학적 형태인 선과 형, 그리고 이에 조화로운 색채 사용을 인식하게 하였다. 둘째, 납방염을 통해 표현 되어지는 선들은 소용돌이 치는 힘과 속도감 그 자체만으로 인간 내면의 감정을 생동감 있고 질서있게 표현할 수 있었다. 셋째, 작품 제작의 기법은 직물의 평면성에서 오는 2차원적인 한계를 벗어나 퀼트(quilt)와 패치워크(patchwork)기법을 이용하여 새로운 질감의 부조적 형태의 3차원적 공간처리로써 직물의 표현 가능성을 한층 높일 수 있었다. 넷째, 하나의 단위 조각이 지니고 있는 아름다움보다 조각들을 결합시켜 재배열하였을 때 색다른 감흥을 준다는 점과 낱개의 조각을 옴니버스하여 대형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이와 같은 제작 과정을 통해 개별 단위의 조각들이 통일된 하나의 작품으로 완성되면서 얻게 되는 섬유의 부조적 형태와 부드러운 질감이 강조되는 그 독특한 기법을 거듭 연구 개발함으로써 섬유 예술로서 염색의 창의적이고 무한한 표현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Fiber art has been changing drastically for about 30 years, from 1960 up to now. It's breaking itself of the former fixed materials and techniques, and developing into image art rather than industrial one. And its expression method is being renewed so that not only two-dimensional plane expression but also three-dimensional embossed expression is possible. According to this trend, the present researcher established the subject "A Study on Formation by a Unit", and produced six forms of works based on the aesthetic study of quilt - patchwork, and the theoritical background about minimal art. I wanted to express my own inner consiousness and image originally through these works, so I completed them emphasizing the speed of a brush,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power, and a sense of direction. I came to these conclusions. First, in the procedure of production, I conformed that lines and shapes-geometrical forms and harmonious colors are means that can manifestate the universal subconsiousness of inner world comprehensively. Second, the lines expressed by batik could express men's inner sentiments lively and orderly with whirling power and speed sense themselves. Third, three-dimensional disposal of space-embossed form with new feel by using quilt and patchwork could make expressive possibility of fabrics far greater beyond two-dimensional limit coming from flatness of fabrics. Fourth, I recognized that when I combined and relocated the units, they gave a peculiar appeal that beauty of one unit couldn't and I also found it possible to compose an omnibus canvas by combining each unit. But, quilt-patchwork of this omnibus canvas must be different from that of small-scale unity work when we combine the units. We have to consider the formation of the whole canvas, and organic interrelation of units. While we keep the features of quilt-patchwork, which can manifestate aesthetic value at its maximum by only the simple form. We must continue to make experiments and efforts so that we can produce high-level art by combining uni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염색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