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응연-
dc.contributor.author정기옥-
dc.creator정기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3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9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0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90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자기 지각,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독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청년기의 중요한 발달과업인 심리적 독립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에 소재하는 대학의 대학생 342명(남학생 137, 여학생 205)이었다. 피험자들은 자기 지각, 사회적 지지의 하위척도에 있어 상위 25%집단은 고집단으로, 하위 25%는 저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측정도구는 자기 지각 검사, 사회적 지지 검사와 심리적 독립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성별에 따라 심리적 독립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하였고, 자기 지각,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독립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각각 MANOVA를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별에 따라 심리적 독립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어머니로부터의 기능적, 정서적 독립의 점수가 특히 더 높았고, 또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어머니로부터의 독립 점수가 더 높았다. 2. 자기 지각 수준에 따라 심리적 독립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자기 지각이 높은 집단이 자기 지각이 낮은 집단보다 어머니로부터의 갈등적 독립과 아버지로부터의 갈등적 독립 차원에서 더 높은 점수를 얻었고, 반면에 태도적 독립차원에 있어서는 자기 지각이 낮은 집단이 자기 지각이 높은 집단보다 어머니와 아버지 양쪽 모두에서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 즉, 자기를 부정적으로 지각하는 사람들은 부모와는 다른 태도를 지닌것으로 나타났다. 3. 물질적 지지 수준에 따라 심리적 독립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물질적 지지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어머니로부터의 갈등적 독립과 아버지로부터의 갈등적 독립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정보적 지지 수준에 따라 심리적 독립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정보적 지지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부모로부터의 갈등적 독립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서적 지지 수준에 따라 심리적 독립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자존감 지지 수준에 따라 심리적 독립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자존감 지지가 높은 집단이 자존감 지지가 낮은 집단보다 부모로부터의 갈등적 독립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와는 달리 태도적 독립차원에서는 자존감 지지가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아버지에서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 즉,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낮게 평가한다고 지각하는 집단은 부모와는 다른 태도를 지닌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 지각,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독립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고 있으며 따라서, 심리적 독립과 관련된 문제로 갈등하는 내담자를 상담하는데 있어서 자기 지각, 사회적지지 지각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인지적 과정이 개입되어야 함을 시사했다.;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effects of self-perception,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separ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342 col loge students (137 male students, 205 female students) from the college which are located in Seoul. They are classified into high group of 25% higher rankers and low group of 25% lower rankers in the subscale of sol f-perception, social support. The measurement scales used were self-perception test, social support test and PSI(Psychological Separation Inventory). T-test and MANOVA were applied to analyse the data of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re found in psychological separ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perception. That is, high self-perceptive group gets the higher score than low self-perceptive group in the levels of conflictual independence from their mother and father, low self-perceptive group gets the higher score than high self-perceptive group in the levels of attitudinal independence from their mother and father. 2.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re found in psychological separ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tangible sopport. That is, high tangible support group gets the higher score than low tangible support group in the conflictual independence from their mother and father.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re found in psychological separ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informational support. That is, high informational support group gets the higher score than low informational support group in the conflictual independence from their parents. And, it is clarified that psychological separation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self-esteem support but not to emotional support. That is, high self-esteem support group is more independent from their parents than low self-esteem support group in the conflictual independence, low self-esteem support group gets the higher score than high self-esteem support group in the levels of attitudinal independence from their fath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자기 지각 = 4 B. 사회적 지지 = 6 C. 심리적 독립 = 8 D. 선행연구 = 11 Ⅲ. 연구 방법 = 15 A. 연구 대상 = 15 B. 측정 도구 = 16 C. 자료 처리 = 18 Ⅳ. 결과 및 해석 = 20 A. 성별이 심리적 독립에 미치는 영향 = 20 B. 자기 지각이 심리적 독립에 미치는 영향 = 21 C.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독립에 미치는 영향 = 23 Ⅴ. 요약 및 논의 = 29 참고문헌 = 33 부록 = 38 ABSTRACT = 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814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자기 지각-
dc.subject사회적 지지-
dc.subject심리적 독립-
dc.subject교육심리-
dc.title자기 지각,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독립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self-perception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separation-
dc.creator.othernameChung, Ki Ok-
dc.format.pagevi, 5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