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8 Download: 0

원불교 여성교역자의 활동에 관한 연구

Title
원불교 여성교역자의 활동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lergy-women's activities of Won Buddhism : The Ideal and Practice of Gender Equality
Authors
구훈모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Keywords
원불교여성교역자남녀평등 사상여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혜정
Abstract
본 논문은 새로운 사회학적 시각으로서의 「일상생활방법론」이 사회학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이 학문적 입장의 성격과 다양성을 규명하려는 의도로 쓰여졌다. 이러한 의도하에 이글은 「일상생활방법론」의 방법론적 기초를 실증주의 방법론과의 관계하에 논의하였고,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일상생활방법론」의 이론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일상 생활의 영역들을 사회학적 연구의 자원으로서, 그리고 하나의 독특한 독립된 연구 영역으로서 <재발견>한 「일상생활방법론」의 기본 성격은 실천적이라는 것이다. 즉, 사람들이 일상적인 생활 세계 안에서 일상적인 활동을 실제 어떻게 꾸려가는가를 설명하고자 하는 「일상생활방법론」은 인간 활동이 성찰적이고 지표적인 실제적 사고에 의해 이루어지며 따라서 그들의 활동은 상황에 구속받음과 동시에 상황 자체의 변화를 시도할 수 있는 실천적 성격을 띠는 것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일상생활방법론」은 사회 구조와 질서가 일상 생활 안에서 어떻게 안정되게 유지되는가의 문제를 실천적인 차원에서 다루기 위해 규범의 실험적 파괴(breaching)라는 독특한 전략을 취하기도 한다. 「일상생활방법론」은 사회 성원들간의 상호 작용적 성취에 의해 사회가 꾸려진다고 보아 다양한 제도적 배경 하에서 그 관련 성원들이 과연 어떻게 그들의 일상 활동을 꾸려 나가는가에 주목하여 활동을 전개해왔다. 이점에 유념하여, 이 논문은 이러한 이론적 작업의 결과들을 분석함으로써 「일상생활방법론」의 사회학적 의미와 함의를 규명하여 보았다. 즉, 「일상생활방법론」은 각 제도적인 배경하에서의 일상적인 활동을 연구함으로써 사회가 어떻게 유지되어 나가는가를 밝혀줄 수 있고, 그러한 과정에서 핵심적인 사회학적 쟁점들 즉, 권력관계, 불평등 현상 등을 설명해 줄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일상생활방법론」의 보다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차원에서의 이론화 작업인 시쿠렐의 인지 사회학(Cognitive Sociology)을 고찰함으로써 사회 구조의 유지에 필수적인 사회화에 대한 새로운 사회학적 설명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일상생활방법론」의 보다 구체적이고 확고한 형태로서의 대화분석(conversational analysis)을 고찰함으로써 이 접근법의 사회학적 의의와 분석 도구로서의 유용성을 밝혀 보았다. 이상과 같은 작업을 통하여 본고는 「일상생활방법론」의 시각과 접근이 사회학적 연구 작업에 매우 유용하리라는 결론을 제시하였다.;This paper discusses of the ideal and the practice of the equal rights for men and women according to The Scripture of Won Buddhism. Won Buddhism is one of the most popular and egalitarian native religion in Korean modern history. In fact, 70-80% of clergy jobs have been occupied by women from the early years of Won Buddhism in 1920's till now. This study have attempted to analyze the clergy-women's activities and their experiences from the feministic perspectives. The clergy-women have worked in the major field of missionary, education, and charity. Their activities have been the major resource and energy for the development of Won Buddhism. This study starts with the question on why clergy-women are generally excluded from such post as in the administrative offices, and professors who produce interpreting knowledges on the religion inspite of the explicit ideology of gender equality in Won Buddhism. First, I described the principle of equality in Won Buddhis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original script, The script emphasizes women's rights the same as men's as equal human beings. It also presents the practical ways to realize equality in everyday life. But the reality is not like the ideal. By tracing the activities of the early clergy-women and their personal motives to become clergy-women in Won Buddhism, I could reconstruct an utopian community with gender equality. But it has changed as times go by. The important reason why clergy-women couldn't work as the equal human beings could be found both from the circumstances of the feudalistic morality restricting women and from the Japanese colonial suppression in the past. However, the clergy-women's activities in the field of pioneering missionry work were visible and productive, especially in educating illiterate women at the evening-school, and the 'Ahn-bang mission', which means "teaching at the inner room in the inner room stage." Recently there is a tendency that are discriminated women in job assignments and scholarship allocation, This tendency indicates that Won Buddhism is becoming bureaucratic and assimilates to the dominant culture rapidly. In conlcusion, I suggest to modify the present educational curriculum and some institutional arrangements be more faithful to the principle of equality which the prophet originally proclaim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