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9 Download: 0

신생아 고칼슘뇨증에 대한 연구

Title
신생아 고칼슘뇨증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Hypercalciuria in neonates
Authors
김은선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신생아고칼슘뇨증중환 신생아조산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주
Abstract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for hypercalciuria were studied in 21 sick preterm(Group Ⅰ), 36 well preterm (Croup Ⅱ), 16 sick term (Group Ⅲ) and 41 well term (Group Ⅳ) neonates who were admitted to NICU and nursery of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from Nay 1988 to Feb. 199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Incidence of hypercalciuria was 71.4% in sick preterm (Group Ⅰ) and 56.3% in sick term (Group Ⅲ)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pretorm (Group Ⅱ) and term (Group Ⅳ). Maximal urinary Ca/cr ratio was 0.63 ± 0.50 in group Ⅰ and 0.50 ± 0.51 in group Ⅲ,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each control groups. 2. All five preterm neonates and three of four fulIterm neonates who had furosemide were hypercalciurlc. Six of seven preterm neonates and five of six fullterm neonates who had intravenous calcium gluconate were at so hypercaIciuric. 3. In sick neonates (Group Ⅰ and Group Ⅲ), furosemide increased the incidence of hypercalciuria to 88.9%, significantly higher than 57.1% in neonates without furosemide. Maximal urine Ca/Cr ratio and 24 hour urine calcium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neonates with furosemide than those of neonates without furosemide. 4. In sick neonates (Group Ⅰ and Group Ⅲ), intravenous calcium gluconate increased the incidence of hypercalciuria to 84.6%, significantly higher than 54.2% in neonates without intravenous calcium. Maximal urine Ca/cr ratio and 24 hour urine calcium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neonates treated with calcium than those of neonates without calcium. 5. Calclum intake and win Ca/Cp ratio were positively correlated (y=0.007x-0.329, r=0.46, p=0.037). In conclusion, the majority of sick newborns in our intensive care unit are hypercalciuric. Furosemide and intravenous calcium gluconate were the risk factors that can lead to hypepcalciurla. Use of these agents in sick neonates especially preterm demands careful monitoring of urine calcium excretion.;신생아에서 고칼슘뇨증과 이와 관련된 신석회화는 1978년 Hufnagle등이 처음 보고한 이후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이는 신생아 집중치료의 발달로 중환 신생아및 조산아의 생존율이 높아지면서 보고되기 시작하였는데 신생아기에 흔히 사용되는 furosemide, 칼슘 글루코네이트 정맥 주사, 칼슘과 비타민 D 보충등이 위험인자로 작용하여 요중 칼슘 배설을 증가시키고 음성칼슘 균형이나 신석회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저자는 1988년 5월부터 1992번 2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부속병원 신생아실에 입원하였던 114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고칼슘뇨증의 빈도와 위험인자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고칼슘뇨증의 빈도는 중환 신생아의 경우 조산아에서 71.4%, 만삭아에서 58.3%로서 대조군 조산아의 13.9%, 만삭아의 7.3%에 비해 유의하계 높았다(p<0.05). 최대 요 칼슘/크레아티닌 비는 중환 신생아의 경우 조산아에서 0.63±0.50, 만삭아에서 0.50±0.51로 대조군 조산아의 0.19±0.14, 만삭아의 0.17±0.13에 비해 각각 유의하게 높았다 (p<0.05). 2. Furosemide를 투여받았던 조산아 5명 모두와 만삭아 4명중 3명, 칼슘 클루코네이트를 투여받았던 조산아 7명중 6명과 만삭아 6명중 5명에서 고칼슘뇨증을 보였다. 3. Furosemide를 투여받은 중환 신생아군에서 고칼슘뇨증의 발생 빈도는 88.9%로 투여받지 않은 군의 57.1%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5), 최대 요 칼슘/크레아티닌 비는 0.96 ± 0.44, 24시간 요 칼슘 배설량은 7.56±5.61 mg/kg/day로 투여 받지 않은 군의 0.47 ± 0.29, 4.98±1.01 mg/kg/day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4. 칼슘 투여를 받은 중환 신설아군에서 고칼슘뇨증의 발생 빈도는 84.6%로 투여 받지 않은 군의 54.2%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5), 최대 요 칼슘/크레아티닌 비는 0.83±0.46, 24시간 요 칼슘 배설량은 7.32 ± 4.42 mg/kg/day로 투여 받지 않은 .군의 0.51±0.22, 5.07±1.25 mg/kg/day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5. 칼슘 섭취량이 많을수록 요 칼슘/크레아티닌 비는 증가하였다 (y=0.007x-0.329, r=0.46, p=0.037) 결론적으로, 중환 신생아의 상당수가 고칼슘뇨증을 보였으며, furosemide와 정맥내 칼슘 투여가 요중 칼슘 배설을 증가시키는 위험 인자이며 중환 신생아, 특히 조산아에서 이들 약물의 사용시 조심스런 감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