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정옥-
dc.contributor.author정미경-
dc.creator정미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2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7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0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764-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은 자연의 일원으로 끊임없는 자연의 변화와 조화속에서 생성되고 소멸하는 모든 사물 및 형상에 대한 표현 욕구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표현 욕구는 미를 발견하는 구체적 수단이 되며 인간의 내면세계를 통하여 조형활동으로 나타난다. 이와같은 조형활동에 있어서, 인간의 심미적 표현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발달해 온 섬유 미술의 한 분야인 염색은 조형성을 추구하는 창조의지와 새롭고 다양한 기법의 개발로 더욱 발전되어 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자연에서 대표적인 서정적 대상이라 할 수 있는 꽃과 나뭇잎을 선정하여 그 생태구조에서 발견한 질서의 미와 생명감을 조형적으로 재구성 하여, 메말라가는 인간의 감정에 자연의 향기를 느낄 수 있는 공간을 부여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한 이론적 기반으로써 미술사를 통하여 본 꽃의 표현양식의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 였으며,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작품제작 및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 었다. 첫째, 자연은 인간의 조형적 창작활동의 대상으로써 풍부한 소재를 가지고 있으며 작가 나름대로 이를 변형하여 표현했을 때, 그것은 자연을 그리워하는 작가의 독창성와 감성에 의한 표현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미술사를 통하여 본 꽃의 표현 양식의 변화를 연구함으로써 염색공예만이 연출할 수 있는 독특한 기법과 양식의 표현 가능성을 가지고 대상을 보는 시야를 넓힐 수 있었다. 세째, 삶, 죽음, 영원성, 성장, 부활을 암시하고 있는 꽃과 나무잎은 그 질서와 구조의 미 그 리고 인간과의 친화력으로 인하여 조형행위의 이상적 표현 대상이었다. 네째, 작품을 형성함에 있어서, 꽃의 섬세함과 나무잎의 단순한 형태가 자연스럽게 조화됨 으로써 자연의 향기를 느낄 수 있고, 자연에 대한 우리의 기억을 깨우쳐 줄 수 있는 서정적 공간을 창조해 낼 수 있었다. 또한 문제점으로는 연구자의 내면세계에 내재하는 자연을 서정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점이 (gradation)로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분위기는 연출되었지만 색조대비에 의한 적극적인 화면의 변화를 조성시키는데는 약한 듯한 아쉬움이 있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작품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앞으로 재료의 다양성, 표현기법의 개발에 대한 지속적 연구를 함으로써 보다 나은 조형예술로써의 염색을 발전시켜 나아가고자 한다.;Human beings have the expression desire about all the objects and forms to come into being and disappear in the endless change and harmony of nature. This expression desire becomes the concrete means to find the beatuty, and it appears as the modeling activity through human inner world. In this modeling activity, the dyeing which is one field of fiber art which have developed satisfying the human aesthetic expression desire has being developing all the more, with the creation will to pursue the modeling nature and the development of new diverse technique. So, this researcher is laying the purpose of study in giving the space to be able to feel the fragrance of nature to the human emotion which becomes unfeeling, by reconstituting the order beauty and life sense found from the ecology structure, after selecting the flower and leaf which can be referred to as the representative lyric object from nature. As the theoretical base for this, the study on the change of expression mode of flower seen through art history was made. And, on the basis of this study,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obtained through the manufacture and analysis of works. First, nature has abundant materials as the object of the modeling creation activity of human beings. And, in expressing this by transforming in the artist's own way, it can be seen that it is the expression based on the originality and susceptivity of the artist to long for nature. Second, by studying the change of expression mode of flower seen through art history, the researcher could widen the view to see the object with the expression possibility of peculiar technique and mode that only the dyeing handicraft may present. Third, flower and leaf which are suggesting life, death, permanence, growth and resurrection were the ideal expression object of modeling activity due to the order, structural beauty and the intimacy with human beings. Fourth, in forming the work, the delicacy of flowers and the simple form of leaf harmonize naturally. Thus, the fragrance of nature could be felt, and the lyric space to be able to awaken our memory about nature could be created. In addition, as for the point at issue, natural and soft atmosphere was presented by gradation, but there was the desiderium which seemed to be weak in furthering the positive change of screen by means of color contrast as the point for expressing the nature which indwells in the inner world of researcher lyrically. This researcher found the points at issue of work and groped for the solution scheme through this study process, and tries to develop the dyeing as better formative arts by studying the diversity of material and the development of expression technique continuous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ⅱ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내용 및 방법 = 1 Ⅱ. 이론적 배경 = 3 -미술사를 통하여 본 꽃의 표현양식의 변화- = 3 Ⅲ. 작품 제작 및 분석 = 14 A. 작품제작 = 14 1. 표현대상 = 14 2. 표현 양식 = 15 3. 표현재료 및 기법 = 15 4. 제작과정 = 16 B. 작품분석 = 22 Ⅳ. 결론 = 38 참고문헌 = 40 ABSTRACT = 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487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
dc.subject나무잎-
dc.subject공간-
dc.subject납방염-
dc.title꽃과 나무잎의 공간적 재구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납방염에 의한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patial Reconstitution of Flower and Leaf : Centering around the Work based on Batik Dyeing-
dc.creator.othernameJung, Mi-Kyung-
dc.format.pagevii, 4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염색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염색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