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4 Download: 0

韓國民畵를 모티브로 한 依服디자인 硏究

Title
韓國民畵를 모티브로 한 依服디자인 硏究
Other Titles
Study on the Apparel Design based in Korean folk paintings Focused on the pictorial iseographs(Mun-ja-do) commonly called "Hyo-je-do"
Authors
金宥京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의상디자인전공
Keywords
한국민화모티브의복디자인효제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배천범
Abstract
The role of traditional arts in modern society is on the somewhat strange position of ambiguity. Today, the traditional arts In Korea are unprecedentally being valued and supported by society in one hand, but in the other hand they are being considered as a special field for experts only to become more and more isolated from common people's life. But it we take in the concept of design into the artistical dimension, our understanding of folk arts and the role of them in everyday life will exist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actual world we could experience. Design needs certain motives for developing which are strated with such factors as nature, traditional arts, scientific and functuional things.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apparel design based on Korean vernacular arts (i. e., traditional arts) has been investigated, and as the motive for developing, pictorial ideographs(Mun-ja-do) in Koean folk paintings have been selected. Mun-Ja-do is a pictorial ideograph transformed some symbolical letters in a artistic formation, which was commonly called as a "flower letter" by our ancestors. Among the letters appeared in it, the most frequent ones are symbols of protection and security like Yong(dragon), Ho(tiger) and Gui(turtle) and next to them representations of wishing fortune and luck like richness, long and healthy life, and many sons. "Hyo-je-do" is the representative pictorial ideograph that employed such letters, especially using eight letters such as Hyo(filial piety), Je(brotherly love), Chung(loyalty to the king), Sin(faith), Yeoi(courtesy), Yeui(justice), Yeoum and Chi(both means a sense of shame), into a pictorial expression. This "Hyo-je-do" can be said as a reflection of the social morality and cultural ethics of Yi dynasty under the Confucianistic ideals, through which we, modern people, can appreciate the unique creativity contained in Korean folk paintings and experience the witty personalities of our ancestors. The reason of selecting these pictorial ideographs as a motive of design, is that they make it possible to consider various aspects in and out of this country, and to satisfy Westerners' longing for Orientalism(e. g. oriental culture). When viewed in this point, pictorial ideographs of Korea Possess many traditional elements of folk customs to satisfy modern man's artistic thirst, and therefore could be considered as an available subject matter of design. Consequently spea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re should be many efforts for reviewing Korean folk arts based on the viewpoint of modern man. Second, availabl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m should be developed in apparel design. Third, We must make our efforts for creating competitive design characters in the internationalized society.;현대생활에서 전통민속예술의 역할은 이상하리만큼 애매모호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어느 면에서 보면 전통민속예술은 전례없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지지를 받으며 보상을 받기도 하지만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특수한 분야의 사람들에게만 이해되는 것으로 간주됨으로써 일반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점점 멀어져 가는 경향이 있다. 만일 우리가 디자인의 개념을 예술적인 차원에서 받아들인다면 민속예술에 대한 우리들의 이해와 일상생활 속에서의 민속예술의 역할은 현대의 산업사회에서 우리가 경험할 수 있는 실제적인 것 중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존재하게 될지도 모른다. 디자인은 전개과정상의 모티브가 필요시되며 그것은 自然과 民俗藝術 그리고 科學的, 技能的인 것에서 시작되어진다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버나큘러(Vernacular : 民俗藝術) 디자인에 있어서 복식디자인의 전개과정에 대한 연구로 그 모티브를 韓國의 民俗畵 중에서 文字圖 부분으로 설정하였다. 문자도는 글자를 변형시켜 조형화한 것으로 옛날 민간에서는 꽃글씨라고도 하였으며 등장하는 문자는 크게 龍·虎·龜 등 守護的 상징문자나 富貴·壽福康寧·多男 등 부귀와 吉祥을 뜻하는 문자와 그것을 응용한 문자그림 그리고 孝悌圖라 불리우는 孝悌忠信禮義廉恥의 여덟문자를 회화적으로 표현한 그림이 있으며 이것들은 조선시대 유교사회 속에서 생활이념으로 정착된 문화형태의 반영이며 현대인들은 문자도를 통해 한국민화의 특이한 창작성을 맛보게 되며 그 미술 자체가 전해주는 한국인의 해학적인 멋을 경험하게 된다. 또한 작품 및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부여하기 위하여 국내외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외국에 있어서 오리엔탈리즘적 사고(즉, 동양문화에 대한 동경)에 기인한 모티브로 문자도를 선택하게 된 동기라 할 수 있으며 이런 관점에서 볼 때 韓國民俗藝術 속에는 만족할만한 民俗的 要素들이 산재되어 있으며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훌륭한 소재로 평가될 수 있다 하겠다. 이와 같은 것들을 종합하여 볼 때, 첫째, 한국민속예술에 대한 현대적 사고에 의한 재조명 작업이 필요하며 둘째, 이를 복식디자인 분야에 활용가능한 조형적 특성을 전개 발전시켜 세째, 소재 빈곤의 국제화 시대에 경쟁력 있는 복식디자인 개발로 우리 고유의 특이성을 부여한 높은 부가가치의 창출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