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기숙-
dc.contributor.author이경화-
dc.creator이경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8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8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0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89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sparity between pre and post students teaching, and influences of courses on parental involvement and education they had, in the fields of parental involvement and the attitudes view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Accordingly, following questions are formed for further exploration. 1. How does pre-service teachers view on the preparation level in promotion parental involvement? 2. How does pre-service teachers view on the parental involvement 3. How does pre-service teachers view on the methods of communication with the parents? 4. How does pre-service teachers view on the parental help at the child care? 5. How does pre-service teachers expect on the involvement from different parent groups? 6. How does pre-service teachers view on the reasons for lack of parental involvement? 7. How does pre-service teachers view in order to enhance parental involvement program what must be done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rses offered at the univers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at 3 junior colleges and 5 universities in Seoul and consist of 451,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students on graduating list. As a tool for the experiment, corrected and improved version of Parent Involvement Questionnaire used by McBride were used. Out of 408 returned survey forms, 15 of them were discarded due to no check marks to the questionnaire. The analysis methods of data are χ2-test, t-test, frequence, percentage,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 Results for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1. Their view on the preparation level was considerably low. However, differences existed according to their group. 2. They perceived the most appropriate types of parent involvement were type II and type VI, whereas type V was inappropriate. However, differences existed according to their group. 3. The most appropriate methods of reciprocal communication were letters and phone conversation, whereas home visit was least favorite. However, slight differences existed according to their group. 4. The students' perception on parental help at the child care institution was limited to story telling, snack preparation, and as activity supports. On the contrary, students felt that the parents were not suitable for program coordinating, decision making, substituting, and in the field requiring technical assistance. However, slight differences existed according to their group. 5. Their view on the frequency of parental involvement was higher in childs' mother, rather than childs' father, and relatively lower in age, rather than higher aged parents. 6. Their view on the reason for lack of parental involvement was mainly due to lack of preparation time, basic knowledge and ideas for parent involvement programs. 7. As for the improvement needed in the courses offered at the colleges and universities, first, most students reacted positively on parental education and involvement as mandatory requirement cours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Also, additional courses must be provided to promote step by step and long-term leaning. In addition, opportunities for demonstration, work-shop, and lectures were one of the highest in demand.;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참여에 관한 유아교육전공 학생들의 인식 및 태도가 부모교육 과목 수강여부와 교육실습 경험 등의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해 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교육전공 학생들의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준비도의 인식은 어떠하며, 대학유형 및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아교육전공 학생들의 부모참여 인식 유형에 대한 태도는 어떠하며,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유아교육전공 학생들의 부모들과의 의사소통 방법에 대한 인식 및 태도는 어떠하며,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부모들이 유아교육기관에서 도와줄 수 있는 활동에 대한 유아교육전공 학생들의 인식 및 태도는 어떠하며,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5. 유아교육전공 학생들의 부모집단에 따른 참여정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6. 유아교육 현장에서 부모참여 프로그램을 많이 실시하지 못하는 원인에 대한 유아교육전공 학생들의 인식은 어떠하며,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7. 유아교육전공 학생들은 부모참여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위해 대학의 교사교육과정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이 무엇이라고 인식하고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3개 전문대학, 그리고 5개 4년제 대학으로서 총 8개 대학의 유아교육전공 졸업반 학생 451명으로 하였다. 연구의 도구로는 선행연구인 McBride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부모참여에 대한 설문지 (Parent Involvement Questionnaire)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회수된 총 408부(90.7%)의 설문지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문항에 체크가 되지 않은 15부를 제외한 393부를 연구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χ^(2) 검증, t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전공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준비가 부족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준비도의 인식은 집단별로 차이가 있었다. 즉, 대학유형별로는 4년제 대학생들이, 부모교육·참여과목 수강여부별로는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이 좀 더 준비된 것으로 인식하였고, 교육실습경험에 따라서는 실습 후에 준비도의 인식이 좀 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단, 교육실습경험에 따른 이러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2. 부모참여 인식 유형에 대한 태도를 살펴본 결과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부모참여 인식 유형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유형Ⅱ(유아교육기관의 기본적인 의무), 유형Ⅵ(부모참여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 등의 적절성이 높은 것으로 반응한 반면 유형V(의사결정역할에 부모참여)에 대해서는 적절성이 낮은 것으로 반응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모참여 인식 유형에 대한 이러한 태도는 집단별로 차이가 있었다. 즉, 부모교육 과목 수강여부별로는 부모참여 인식 유형V에 대해서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이 수강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육실습 전후의 차이 살펴본 결과 부모참여 인식 유형 전반에 걸쳐 실습 후의 인식이 좀 더 부정적인 경향을 나타냈다. 단, 교육실습에 따른 이러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3. 부모들과의 의사소통 방법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살펴본 결과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메모나 편지, 전화의 선호도를 높게 반응한 반면 가정방문의 선호도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 방법에 대한 이러한 인식 및 태도는 집단별로 차이가 있었다. 즉, 부모교육 과목 수강여부별로는 과목을 수강하지 않은 학생들이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에 비해 메모나 편지를 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육실습 전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실습 전후 모두 메모나 편지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습 후에는 실습 전에 비해 형식적 만남을 전화보다 더 선호하는 차이를 보였다. 단, 교육실습에 따른 이러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4. 부모들이 유아교육기관에서 도와줄 수 있는 활동에 대해서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부모들 자신과 관련되는 단원이나 활동에서 이야기 들려주기, 간식 준비하기, 행사의 준비과정과 활동돕기 등을 적절성이 높은 것으로 인식하는 반면 프로그램 및 운영결정에의 참여, 부분수업 진행, 특별한 재능을 요하는 기술 가르치기 둥에 대해서는 적절성이 낮은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모들이 유아교육기관에서 도와줄 수 있는 활동에 대한 이러한 인식 및 태도는 집단별로 차이가 있었다. 즉, 부모교육 과목 수강여부별로는 특별한 재능을 요하는 기술 가르치기, 프로그램 및 운영결정에의 참여 등에 대해서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이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실습 전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실습 후에는 자유놀이 시간에 유아들의 활동 도와주기를 실습 전에 비해 적절성이 높은 것으로 인식하게 된 반면, 부모들 자신과 관련되는 단원이나 활동에서 이야기 들려주기에 대해서는 실습 전보다 적절성의 인식 정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부모집단에 따른 참여정도에 대한 인식 및 태도를 살펴본 결과 모든 집단의 학생들이 유아의 아버지보다는 어머니가, 연령이 많은 학급보다는 어린 학급의 부모가 더 많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하는 경향을 보였다. 6. 유아교육 현장에서 부모참여 활동을 많이 실시하지 못하는 원인에 대해서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부모참여 활동을 계획·실행할 교사들의 시간부족, 부모교육 및 참여 활동에 대한 기초연구나 아이디어 부족 등을 주요원인으로 인식한 반면 부모들이 부모교육이나 참여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기 때문에, 부모참여로 교사들은 자신의 권위나 통제권이 상실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등의 항목에 대해서는 대체로 원인으로 인식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부모참여 활동을 많이 실시하지 못하는 원인에 대한 이러한 인식은 집단별로 차이가 있었다. 즉, 교육실습 전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실습 후에는 부모들이 부모교육이나 참여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기 때문에를 실습 전에 비해 하나의 원인으로 좀 더 높게 인식하게 된 반면 부모교육·참여 활동에 대한 기초연구나 아이디어 부족에 대해서는 원인으로의 인식정도가 실습 전보다는 낮아졌다. 또한 실습 전에는 부모교육·참여 활동에 대한 기초연구나 아이디어 부족을 원인으로 가장 높게 반응한데 비해 실습 후에는 부모참여 활동을 계획 실행할 교사들의 시간부족을 원인으로 가장 높게 반응하는 차이를 보였다. 단, 이 두 항목에 대한 교육실습 전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한편 부모교육·참여과목 수강여부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7. 유아교육전공 학생들은 부모참여 활동을 위해 대학의 교사교육과정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 중 부모교육이나 부모참여에 관한 과목이 전공필수과목으로 되는 것에 대해서 대부분이 동의 흑은 매우 동의하는 것으로 반응함으로써 관련과목의 중요성을 상당히 높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 외 교사교육과정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에 대한 의견을 살펴본 결과 부모참여에 관한 과목을 전공필수과목으로 하고 관련과목을 증설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장기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할 것, 부모교육이나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참관이나 현장실습을 할 것, 보다 우리나라에 적합하고 실제적인 부모참여 프로그램과 다양한 교재 및 자료를 개발하여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할 것,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시범수업(demonstration)·워크샵·특강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할 것 등을 가장 많이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6 Ⅱ. 이론적 배경 = 8 A. 부모참여의 개념 및 중요성 = 8 B. 부모참여의 유형 및 효과 = 16 C. 부모참여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태도 = 25 Ⅲ. 연구방법 = 36 A. 연구대상 = 36 B. 연구도구 = 37 C. 연구절차 = 40 D. 분석방법 = 42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44 A. 유아교육전공 학생들의 부모참여 활동에 대한 준비도의 인식 및 태도 = 44 B. 유아교육전공 학생들의 부모참여 인식 유형에 대한 태도 = 47 C. 부모들과의 의사소통 방법에 대한 유아교육전공 학생들의 인식 및 태도 = 50 D. 부모들이 유아교육기관에서 도와줄 수 있는 활동에 대한 유아교육전공 학생들의 인식 및 태도 = 53 E. 유아교육전공 학생들의 부모집단에 따른 참여정도에 대한 인식 및 태도 = 59 F. 부모참여 활동을 많이 실시하지 못하는 원인에 대한 유아교육전공 학생들의 인식 = 60 G. 교사교육과정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에 대한 유아교육전공 학생들의 인식 = 64 Ⅴ. 논의 및 결론 = 67 A. 논의 = 67 B. 결론 및 제언 = 74 참고문헌 = 79 부록 = 86 ABSTRACT =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985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부모참여-
dc.subject유아교육전공 학생-
dc.subject교육참여-
dc.subject교육학-
dc.subject.ddc300-
dc.title부모참여에 관한 유아교육전공 학생들의 인식 및 태도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n the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 Parental Involvement-
dc.format.pagexii, 10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