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黃秉冀-
dc.contributor.author李永信-
dc.creator李永信-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8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8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80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891-
dc.description.abstract가야금 병창은 창자가 자신의 가야금 반주로 창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가야금 병창에 있어서 창과 가야금의 관계에 주목하고 특히 가야금의 반주적 역할에 중점을 두어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개방현 연주법과 가야금의 맺음음 및 간주곡의 형식에 대하여 각 장단별로 고찰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A. 개방현 연주법 1. 개방현이 장단의 첫 박과 중간 부분에 창과 동시에 출현하는 경우 창과의 음정 관계는 한 옥타브 관계가 약 60%로 가장 많이 나타난다. 또한 개방현이 창보다 선행 출현하는 경우는 중모리와 자진모리에서만 나타나는데 주로 2∼3박 먼저 출현한다. 2, 개방현의 출현 빈도와 싯가 개방현의 음별 출현 빈도는 진양조는 G-A-D-E'-D'-G', 중모리는 G-D'-E'-A-D-G', 중중모리는 G-A-D-D'-E', 자진모리는 A-D'-G-E'-D 순이다.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는 기본음이 G음이므로 개방현의 음이 G음이 가장 많이 출현하는 반면에 자진모리는 기본음이 A음이므로 개방현의 음이 A음이 가장 많이 출현하고 있다. 따라서 개방현을 사용하는 음은 창의 기본음에 의해 좌우됨을 알 수 있다. 개방현의 싯가별 출현빈도는 진양조의 ♪-♩.-♩-□, 중모리는 ♩-□-□-♪, 중중모리는 ♩-□-□-♪, 자진모리는 ♩-♩.-♪-□이다. B. 가야금의 맺음음 창이 장단의 끝까지 가지 않고 미리 그쳤을 때 장단을 채워주는 역할을 한다. 진양조는 장단의 5, 6박에 출현하며 선율은 창의 끝음과 같은 음으로 진행하며, 중모리는 장단의 4박과 9박 이전 및 장단이 끝날 때 맺는 유형으로 나타나며, 중중모리는 장단의 1, 2, 3박에 걸쳐 독자적으로 맺으며, 자진모리는 창과 가야금이 같은 음으로 선율 진행하며 사설이 계속적으로 달고 나가기 때문에 맺음음의 출현이 극히 드물다. C. 간주곡 간주곡 앞의 선율이 반복되는 경우와 앞 장단의 선율과 다른 독자적인 선율이 진행되는 경우가 있으며, 중모리, 자진모리는 독자적인 선율이 진행되며, 중중모리는 앞의 선율이 반복된다.;kayagum byongch'ang is a form of traditional Korean performing art in which the kayagum player sings as she accompanies herself on the instrument. In this the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ng(ch'ang) and the accompaniment of the kayagum will be explored. In particular in this research emphasis has been place on determining exactly what the role of the kayagum as accompaniment is. The methodology employed in this paper includes a study of the open string method of performance, the kayagum's final tone and intermezzo form. Here each rhythm was analyzed.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results. A. the Open String Method of Performance 1) In the case where the open string technique is used simultaneously at the first beat and at the middle portion of the rhythm,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and interval of the ch'ang is at greatest approximately 60% in reference to one octave. In addition, in the case that the open string technique is used proceeding the ch'ang, this only occurs in choong mori and ja jin mori rhythm and generally appears two to three beats earlier. 2) The Frequency and Time Value of the Appearance of the Open String Method The frequency of the appearance of each open string note is in Jin yang cho G-A-D-E'-D'-G, in choong mori G-D'-E'-A-D-G'. in choong choong mori G-A-D-D'-E' and in ja Jin mori A-D'-G-E'-D. The basic note in Jin yang cho. choong mori and choong choong mori is G and in the open string note G also makes the most frequent appearance. In contrast to this, Ja jin mori's basic note is A and here A will be played most often with the open string note. Therefore it has been determined that the note of the open string is dominated by the basic note of the ch'ang. The frequency of each appearing time value in the open string technique is in Jin yang cho □□□□□ in choong mori □□□□ in choong choong mori □□□□ and in □□□□□□□ B. The final note of the kayagum does not continue on to the end of the rhythm of the ch'ang. When it ends early, the rhythm performs the function of completion. In jin yang cho the rhythm is five or six beats and continues with the same melody of the ch'ang's final note. Choong mori has a four or nine beat rhythm and when the rhythm concludes the final pattern appears. Choong choong mori covers one, two or three beats and concludes independently. In ja Jin mori the ch'ang and the kayagum's melody are performed in the same note. And because the spoken portion is continuous, it is extremely rare that a final note makes an appearance. C. In the intermezzo, there are two cases. One is that the proceeding melody is repeated, the other is that the different melody with the proceeding melody is played. Here choong mori and ja jin mori are played with an different melody aid choong choong mori repeats the proceeding melo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ⅱ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방법 = 2 Ⅱ. 본론 = 4 A. 개방현 연주법 = 4 1. 개방현이 장단의 첫 박에 출현하는 경우 = 4 2. 개방현이 장단의 중간 부분에 출현하는 경우 = 18 3. 개방현의 출현 빈도와 싯가 = 26 B. 가야금의 맺음음 = 29 C. 간주곡 = 33 Ⅲ. 결론 = 37 참고문헌 = 39 부록악보 = 40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658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가야금병창-
dc.subject가야금-
dc.subject-
dc.title伽倻琴竝唱에서 唱과 伽倻琴의 關係-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SONG(CH'ANG)AND THE KAYAGUM IN KATAGUM BYONGCH'ANG-
dc.creator.othernameLee, Young Shin-
dc.format.pageiii, 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과-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