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4 Download: 0

중년 성인의 스트레스 대응책에 관한 연구

Title
중년 성인의 스트레스 대응책에 관한 연구
Authors
金榮惠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중년성인스트레스교육심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申贊和
Abstract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개인 나름대로 대응하는 對處 노력에 성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심리 사회적 요인 중 하나로서 스트레스의 완충작용을 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는 사회적 지지에 대해, 사회적 지지를 높게 받고 있다고 평가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와 각 집단을 성별로 구분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피험자는 고졸이상의 학력을 가진 30-49새 사이의 성인 남녀 각각 72명, 78명으로 모두 150명이다. 이들에 대한 자료처리는 각 변인간 상관관계와 집단 평균치들의 t-검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피험자 전체를 대상으로 볼 때, 1) 스트레스 수준이 커질수록 사회적 지지에 대한 평가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2) 사회적 지지가 커질수록, 남자는 스트레스 정도가 낮아지고, 여자는 스트레스 수준이 놓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스트레스 정도는 문제중심적 대처와 P<.01수준에서 .3369의 정적 상관을 보이며, 정서중심적 대처와는 P<.05수준에서 .3215의 정적 상관을 보였다. 2. 성별로 나누어 보았을 때, 1) 스트레스 수준이 커질수록, 남녀 모두 문제중심적 대처와 정서중심적 대처를 동시에 사용하는 정도가 증가하였다. 2) 높은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문제중심적 대처 또는 정서중심적 대처를 사용하는 방식에서 각각 남녀별 차이가 나타났다. 3) 사회적 지지가 높은 집단은 문제중심적 대처방식의 사용에 있어서 남녀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정서중심적 대처방식의 사용에서는 남녀간에 차이가 나타났다.;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x differences in copying styles related with stress and social support. For this study, 150 subjects(adults, age of 30-49: man,72;woman 78) participated in investigation. Subjects filled out ISEL(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 by Cohen and Hoberman),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by Folkman and Lazarus) and Stress Questionnaire(by Daniel' and Geor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for a1 subjects 1) The higher stress level, the appraisal of social support is tend to lower. 2) The more appraisal of social support has, the degree of stress was decreased for man group but was increased for woman. 3) The degree of stress was correlated to the Problem- focused coping in p< .01 (correlation coefficient: .3369) ,positively. and to the Emotion-focused coping in p<.05 (correlation coefficient: .3215), positively. Second, dividing the subjects into sex, 1) The higher stress level, all man and woman put the use of the Problem-focused coping and the Emotion-focused coping, increasely. 2) In high stress level, the sex differences showed the ways of the Problem-focused coping and the Emotion- focused coping in each (p<.05). 3) In high social support group, the Problem-focused coping has nothing to show for sex differences and the Emotion- focused coping was significated differences in man and woman group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