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숙-
dc.contributor.author이용희-
dc.creator이용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5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9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9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92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sis is to enlarge of sight for the more various movement through investigation of sculptor Rodin's expressive methods of movement and the comparison with those of Isadors. Sculpture and dance seemed to be developed with very close relationship to other. When scultpture examined in its history, it can be found that it dealed with man's body frequently and tried to express movements in that. Sculpture in itself inspires dancers to find the previous dancing forms and the traces of that through the work of sculpture. Sculpture not only creates beautiful lines but also leaves the record of dance's value like dance. In the intent of this researcher which try to approach basically movements in more objective sight, Rodin is very worth of studing because he represented the natural movements in usual life not artifical movements. And I think that to investigate Isadora Duncan who was effected much from sculpture and claimed the similar artistic tendency to Rodin together is more helpful for the approach of natural movements. The social background of thosedays was the period which gave great effects and impulse on all the aspects of human activiteis due to French Great Revolution and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last 18th century. With these change of circumstances of world, the art breathe together with the public and the natural character of an aritst was emphasized. In that times, Rodin appeared i n French and Duncan in America. The artistic tendencies of them were same and they succeeded in each's area by raising the new streams which tried to express inside world freely escaping from the formalized existing artistic tendency. The art of Rodin is to express the truth of inner side. The fact that the artist can reach internal truth which expresses the existence is owing to the accordance of nature and mentality and the matter of this truth is always related with mankind. As a matter of a fact, many works of Rodin beased on mankind and he reached finally to creation of live movements with the effort to express the internal truth. And also , together with Rodin, American dance, Duncan who emphasized the interrnal truth and prusued freedom escaping from unnatural forms accoplished the purpose which tried to elevate dancing to artistic dimension claiming the truth of self-existence from the visual aspect dimension. After all, she intended to form the dancing which express man's emotion freely being interested in the fact that man is the existence of freedom. As to Duncan, to dance is to mean living and dancing is means and ends at the same item. She attached importance to liveness as motive power making art. This thought of Duncan evoked real sense of ballet to this reality of ballet and her attitude about inner motion received favorable responses by Fokin. Pavlova. and Nijinsky and she had great effect on whole part of culture besides dance area and it persists today. Duncan's theory of self-expression became pioneering thought of modern dance and it systematized as methodology in later generations. Thereby, her thought was deepened by Wigman and Graham, etc. Though Rodin and Duncan were at different area, sculpture and dance respectively, they found that they had same tendencies which prusue natural beauty from each other. As to them, natural beauty is what expresses nature. To express nature, the principles of expression have to be found between nature, here, the best method we can is to concur with nature or to protest against nature. We should develop new things with principles of nature from this and effort to be close to the truth and thereby, movements will become natural and gain liveness. Hereby, the following elements are necessary. 1) We should have objective sight to nature 2) We should concur with nature 3) We should recognize that it is what existed 'already' 4) Harmony and simplicity are demanding 5) Liveness is necessary 6) It is accomplished with continuous effort. Among these, this researcher thinks that the 'liveness' is most important. When entering the most basic part of pinciple, we can see that its motive power is liveness. And therefore, the movements puruing natural property continously become live movement and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natural movements' are live movements.;본 논문은 조각가 로댕의 움직임의 표현방식을 살펴보고 또한 무용가 이사도라 덩컨의 움직임과 비교연구해 봄으로써 보다 다양한 움직임에 대한 시각을 넓히는데 목적이 있다. 조각과 무용은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갖고 발견하였다고 본다. 조각은 역사적으로 볼 때 인체를 대상으로 많이 다루고 있으며 그 속에서 움직임을 표현하고자 집요한 노력을 했음을 알 수 있다. 조각은 그 자체로서 무용가에게 새로운 영감을 불어 넣어준다. 또한 무용가들은 조각작품을 동해서 이전의 무용형태와 그 자취를 발견해낼 수 있는 것이다. 조각은 무용과 같이 아름다운 선을 창조할 뿐만 아니라 무용의 가치를 그 남겨진 조각을 통해서 기록하여 주고 있다. 로댕은 인위적인 움직임이 아니라 일상속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잘 나타내주고 있기 때문에 객관적인 시각에서 움직임에 보다 본질적으로 접근하고자 하는 본 연구자의 의도로는 연구의 가치가 매우 크다. 그리고 조각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로댕과 같은 예술 성향을 띄었던 무용가 이사도라 덩컨을 더불어 살펴보는 것은 보다 자연스러운 움직임에 접근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당시 사회적 배경은 18C말에 일어난 프랑스 대혁명과 산업혁명으로 인간활동의 모든 면에 있어서 큰 자극과 영향을 주었던 시기이다. 이렇게 세계의 정세가 변화됨에 따라서 예술은 대중과 호흡하게 되었으며 예술가의 자유스러운 개성이 강조되었다. 이러한 시기에 프랑스에서는 로댕이, 미국에서는 덩컨이 출현하게 된 것이다. 이들의 예술 성향은 같았고 부자유하게 형식화된 기존의 예술경향으로부터 내면의 세계를 자유롭게 표출하고자 하는 새로운 물결을 일으킴으로써 각각의 분야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로댕의 예술은 내면의 진실을 표면하는 것 이었는데 미술가가 존재를 표현하는 내면의 진실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은 자연과의 정신적 일치에 의해서이며 이러한 진실에 대한 문제는 항상 인간과 관련을 갖고 있었다. 사실 로댕의 많은 작품들이 인간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그는 내면의 진실을 표현하고자 노력하여 마침내 생명력 있는 움직임을 만들어 내는 데에까지 이르렀다. 또한 로댕과 같이 내면의 진실을 중시하며 부자유한 형식을 벗어버리고 자유로움을 추구하였던 미국의 무용가 덩컨은 무용을 시각적 관점의 차원에서 자기존재의 진리를 표상하는 예술의 차원으로 높여가는 것을 달성했다. 결국 그녀는 인간은 자유로운 존재라는 것에 관심을 두고 인간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무용을 형성시키려고 했다. 덩컨으로서 춤을 춘다는 것은 산다는 것을 의미하며, 무용이 라는 것은 수단임과 동시에 목적이었다. 그녀는 예술을 만드는 원동력으로서 生命力을 중시하였다.^(2)) 이러한 덩컨의 무용사상은 이러한 발레의 현실에 발레의 진정한 의미를 불러 일으켰고 그녀의 이런 내면 감정에 대한 태도는 Fokin, Pavlova, Nijinsky에게서 크게 평가받았으며 그녀는 무용계 외에도 문화 전반적인 부분에 까지 커다란 영향을 미치며 오늘에까지 이르고 있다. 덩컨, 그녀의 자기 표현의 이론은 모던 댄스의 선구적 사상이 되고 후세대에 이르러서는 방법론으로 체계화되었다. 그리하여 Wigman이나 Graham등에 의하여 그 사상은 깊어지게 된다. 조각과 무용이라는 각각의 다른 분야에 있었던 로댕과 덩컨이었지만 그들은 서로를 통해 자연스러운 미를 추구하는 같은 성향을 갖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들에게 있어서 '자연스러운 움직임 '이란 자연을 표현해내는 것이었다. 자연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자연 가운데서 표면의 원칙을 발견해야 하는데 여기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최대의 방법은 자연에 순응하거나 저항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자연의 법칙을 원리로 삼아 새로운 것을 개발하여 보다 진실에 가까와지도록 노력해야 하며 이렇게 할때 움직임은 자연스러워지고 생명력을 얻게되는 것이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필요하다. (1) 자연에 대해 객관적인 시각을 가져야 한다. (2) 자연에 순응하여야 한다. (3) 우리의 삶 가운데에 '이미' 있는 것임을 인식하여야 한다. (4) 조화와 단순성이 요구된다. (5) 생명력이 있어야 한다. (6) 끊임없는 노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중에서 본 연구자는 '생명력'을 가장 중시 하였다. 자연의 원칙의 가장 본질적인 부분까지 들어가볼때 그 원동력은 생명력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끊임없이 자연스러움을 추구한 그 움직임은 생명력 있는 움직이 되며 결론적으로 '자연스러운 움직임'은 생명력있는 움직이라고 말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방법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19C 말 사회적 배경 = 5 B. 로댕의 작품과 움직임 = 8 1. 로댕의 생애와 예술철학 = 8 2. 로댕예술의 특징적 움직임 = 14 C. 조각과 무용 = 25 Ⅲ. 이사도라 덩컨과 자연스러운 움직임 = 32 1. 이사도라 덩컨의 움직임 = 32 2. 자연스러운 움직임 = 44 Ⅳ. 결론 = 51 참고문헌 = 55 부록 = 59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632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오뀌스트 로댕-
dc.subject이사도라 덩컨-
dc.subject자연스러운 움직임-
dc.subject무용-
dc.subject.ddc700-
dc.title오뀌스트 로댕을 통해 본 이사도라 덩컨과 자연스러운 움직임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sadora Duncan and Natural Movements from the Viewpoints of Oquist Rodin-
dc.format.pagevii,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