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5 Download: 0

龍樹와 吉藏에 있어서의 空의 개념

Title
龍樹와 吉藏에 있어서의 空의 개념
Authors
이혜경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Keywords
용수길장개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李圭成
Abstract
In Buddha's opinion, liberation(Nirvana) can be attained only through realization of reality of existance(諸法實相), in other words Pratiya-Sa mutpada(緣起). Reality of being and knowledge and practice of 緣起 are closely related. hower,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緣起 appeared after Buddha's death. One of the interpretations was made by nagarjuna(l50-250). who established Mahayanist Buddhism. he criticized Hinayana(部派佛敎)'s theory of 緣起 and concluded that 緣起 is non-substance(緣起卽空). In China, Sam-Lun School (三論學派) who studied nagarjuna's main works played a decisive role in uncovering the core of Buddhism, denying ko-i(格義)Buddhism. So, in this paper 1 will study thr ontology of Buddhism, centering on 中論( one of nagarjuna:s works) and 中觀論疏(a book of chi-tsang(吉藏549-623, who accomplished Sam-lun School ). Though the two lived in different times, they took a noncommital attited of refuting false doctrines and bringing out the truth through their criticism(破邪顯正) of metaphysical substance(Svabhava, 自性). consequently, their subjects of criticism are different from their opinions of ontoligical reality. The comparison of the two in this paper will be expected to contribute itself toward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Buddhism. And this paper is aimed to consider the criticism of substance and the theory of 緣起. According to nagarjuna, metaphysical substance which cannot be generated without cause cannot reveal the changing existance of phenomena. So he has decided yo establish sunya as the basis of existance of the ever-changing phenomena though the irrationality of metaphysical substance. For example, cause can only exist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effect, which is the denial of self. At this point, the element that ensures the simiarity and different of cause and effect is transitoriness. And the opportunity of the generation of cause and effect can only arise through non-existance. nagarjuna also describes the existance and basis of phenomena( connected existance and non-substance) as the relation of that is. In general nagarjuna's non-substance is interpreted as Nihsvahava(無自性), in which errors are implied. In other words, if nagarjuna denies the existance of 無自性 and that 無自性 is non-substance, self contradiction accurred because 無自性 itself becomes a kind of substance. therefore, in nagarjuna's opinion 緣起卽無自性空 can have. its own meaning through origination and extinction of existance. Chi-tsang's critcism of the Mahayana Buddhism which admitted that non-substance itself is substance. explains about non-substance on the basis of the prejudicial understanding of the basis of the existance of a11 creatures. Also, he explained non-subsrance as 假有無 through the argument of the existance of 性. According to him, what generates 假有 and relates it with the non-orignation. non-extinction of non-substance is the basis of the phenomenal world, and the existance of phenomena and its relationship with Nihsvahava is called to be 緣起 by him. As the result of the above consideration, I conclude that Chi-tsang's explanation of the reality of existance starts in the end from the denial of Svahava, and that the existnace of phenomena and the basis of phenomena, in other words sunya, are inevitably correlated.;붇다에 의하면 존재의 참모습(諸法實相) 즉, 緣起에 대한 깨달음으로써만 解放이 성취되므로 존재의 참모습과 그것에 대한 앎과 실천은 유기적 관계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붇다의 죽음이후, 연기에 대한 해석은 다양해 졌다. 그중 대승불교의 확립자인 龍樹(Na ̄ga ̄rjuna 150-250)는 부파불교의 연기론의 비판을 통해 붇다의 연기설을 緣起卽空으로 해석하였다. 용수의 주요 저서를 중심으로 한 중국의 교파가 三論學派이며, 중국에서 格義불교를 지양하여 불교의 핵심을 드러내는데 결정적 역활을 한 것이 삼론학파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용수의 저서인 <中論>과 삼론학파의 대성자인 吉藏(549-623)의 <中觀論疏>를 중심으로 불교의 존재론을 살피고자 한다. 두사람은 시간의 지평을 달리함에도 불구하고 형이상학의 실체(自性,Svabha ̄va, substance)비판을 통해 존재의 실상을 드러내는(破邪顯正)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비판 대상과 존재실상에 대한 견해는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비교는 중국불교의 특징을 살피는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하여 본 논문에서는 실체 비판과 연기설의 고찰을 목적으로 하였다. 용수에 의하면 원인 없이 생성된 自性으로는 변화하는 현상의 존재를 해명할 수 없다. 그러므로 그는 자성의 불합리를 통해 변화하는 현상의 존재의 본질을 空(s'u ̄nya,non-substance)으로 규정하였다. 예를들면 因은 자신의 부정인 果와 因待해서만 존재할 우 있으며, 이때 因과 果의 동일성과 차이성(一而異)을 담보해 내는 것이 無常이다. 그리고 因과 果의 생성 계기는 空때문에 가능하다는 것이다. 용수는 또한 현상의 존재와 본질(緣起한 존재와 空)을 卽의 관계로 규정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용수의 空을 無自性으로 해석하는 데 이러한 해석에는 오류가 함의되어 있다. 오류란 용수에게 있어서 무자성의 존재는 없으며(無,비존재) 무자성이 공이라면 무자성자체는 일종의 실체가 되어 버리므로 자기모순을 범하는 것이 되어 버린다. 따라서 용수에게 있어서 緣起卽無自性空은 존재의 生滅에 대해서만 그 의미를 가진다. 길장의 비판은 空자체를 실체로 인정하는 대승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그는 중생의 존재의 본질에 대한 편파적 이해를 근거로 공을 설명해 낸다. (因敎悟理) 길장은 존재의 본질을 드러냄에 있어서 性의 有無를 비판을 통해 假有無로 공을 해명해 내는 바, 假有의 生成과 공의 不生滅을 因待한 것이 현상 존재의 본질(無所得空)이다. 또 길장에게 있어서 현상의 존재와 無所得 空과의 因持關係가 곧 연기이다. 용수는 현상 존재의 본질을 無自性으로 해명하고 있는 반면 길장은 한 걸음 나아가 무자성의 無生滅과 假有의 生滅과의 연기적 관계인 無所得空(眞空妙有)를 존재의 본질로 보고 있다. 이상의 고찰 결과 용수와 길장의 존재의 참모습에 대한 해명은 결국 자성의 부정에서 출발하며, 현상의 존재와 본질인 공은 불리불가분의 관계임을 알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