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현군-
dc.contributor.author이지원-
dc.creator이지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2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3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9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322-
dc.description.abstract역사가 시작된 이래로 무용은 인간의 생활과 밀접하게 결부되어 인간의 삶 속에서 많은 기능을 하여왔다. 역사 초기의 무용을 곧 인간의 삶이었던 반면 역사가 흘러가면서 무용은 보여지는 예술, 삶과는 분리가 된 무용으로 변화하여 갔다. 그러나 19세기에 들어서서 무용계에는 개인 표현의 진실성, 신체에 대한 자각등의 변화가 시작되었고 이러한 변화에 의학계, 심리학계 영역 등의 학자들이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하에 공연 예술로만 인식되어 오던 무용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학만으로는 치료가 어려운 수많은 정신질환자들의 치료를 맡게 되면서 예술로서의 무용이 지닌 요법적 자질과 특성이 인정받게 되었으며 무용요법은 정신, 심리치료법의 한 종류로 부각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무용의 치료적 자질을 인식하고 또한 무용이 지니는 고유의 교육적인 기능을 중심으로 정신 지체아를 대상으로 정신 지체아 무용 재활교육의 가능성을 밝히고 그 실습과정에서 인식해야 하는 제반 여건들을 이론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무용 교육이 정신지체아 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먼저 정신지체아의 전반적인 특성을 연구하였다. 정신지체아는 여러 요인에 의해 신체적, 지적 발달이 지체되어 정서적 사회적 측면 등에 많은 장애를 받고 있다. 이러한 장애로 그들의 교육은 도외시되어 왔고 이에 대한 몰이해와 관심의 결여로 정상아와 동일한 교육을 시킴으로써 역효과를 내기도 하였다. 이러한 정신지체아 교육을 시도함에 있어서 정신지체아에 대한 특성 연구를 통해서 정신지체아들은 정상아들과 달리 의욕이 적고 주의가 산만하며 학습 능력이 열약한 점들을 고려하여 그들에게 적합한 교육의 목표와 방법이 요구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무용의 전반적인 기능과 특히 치료적이고, 교육적이며 정신지체아에게 부족한 삶에 대한 애착과 의지를 북돋우어 주는 무용의 기능을 통해 정신지체아 교육의 목표 달성이 가능함을 볼 수 있었다. 특히 19세기에 시작된 자연적인 내면무용이라는 시대정신 속에서 신체상, 신체와 감정의 원리하에 전개된 무용요법의 치료 효과는 이러한 가능성을 확고히 해 주었다. 제4장에서는 현행 문교부 정신지체아 교육과정 모형과 쇼찌의 지도 원리에 무용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무용이 정신지체아에게 교육됨으로써 신체적으로는 건강촉진을 유도하고 협응력 등의 능력을 형성시키며 비언어적 의사소통(communication)이라는 무용의 기능을 통해 언어 면에서 또한 효과적인 교육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인지 발달 영역에서는 외부세계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킴으로써, 정서적인 면에서는 미적 경험을 줌으로써, 사회적 측면에서는 접촉을 통한 타인에의 신뢰감을 형성시킴으로써 효과적인 적용이 가능함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가능성을 바탕으로 무용 재활교육이 정신 지체아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대두될 때 필요한 제반 요소와 이러한 재활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교사의 자질 및 역할을 제시하고 있다. 실제적인 실험 연구가 제시되어야 하겠으나 아직 정신 지체아의 무용 재활교육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정립되어 있지 않은 현 시점에서, 우선 이론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겠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문헌을 바탕으로 정신 지체아에 대한 무용 재활교육적 가능성과 이에 요구되어지는 제반 요소의 기본적인 틀을 제시하였다.;Since the beginning of human history, dance has closely related with the life of human being. As a performing art, it has provided human beings with an opportunity of pursuing of beauty. As an education, dance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the nature of human being. Over the past decades, the 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dance have been focused by many interdisciplinary scholar and practitio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dance for the education of rehabilitation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 theoretical framework was suggested by reviewing the various literatures concerning dance therapeutics and education for mentally retarded children. In doing so, it wa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for the education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It is assumed that one of the most important methodology in education of rehabilitation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is dance bacause of its therapeutics and educational function. The concept, origin and history of dance therapeutics tore examined historically in terms of its function. Traditionally, the dance has been used as a tool of re-education for tile person who has mental or physical problem from the viewpoint of functional expression. From this aspect, it was assumed that the so-called "dance therapeutics" fan be applied for the education of rehabilitation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As an attempt to establish the possibility of the education of rehabilitation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through dance education the following three functional aspects of dance - 1) the general, 2) the educational and 3) the therapeutics - were applied to the framwork of curriculum for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 suggested by tile "Ministry of Education" and "Shochi's 10 Educational Principles. " It was assumed that the following five developmental domains for tile mentally retarded children can be accomplished through dance education: 1) the physical 2)the communication 4) the affective 5) the social. Based on the above possibility, it was suggested that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education of rehabilitation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is quality and role of teach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2 C. 연구의 절차 = 2 D. 용어의 정의 = 3 Ⅱ. 정신지체아의 특성 = 5 A. 정신지체아의 일반적인 특성 = 5 1. 정의 및 분류 = 5 2. 특성 = 9 3. 정신지체아의 교육적인 특성 = 12 1. 교육의 필요성 = 12 2. 교육의 목적 = 13 Ⅲ. 무용요법 = 16 A. 무용의 기능 = 16 1. 일반적 기능 = 16 2. 치료적 기능과 교육적 기능 = 18 B. 무용요법 = 20 1. 무용요법의 기원 및 발달사 = 20 2. 무용요법의 원리 = 25 Ⅳ. 정신지체아 재활교육을 유도하는 무용 교육의 가능성 = 30 A. 정신지체아 교육과 무용 = 30 1. 문교부 정신지체아 교육과정 모형 = 30 2. 쇼찌(昇地三限)의 지도 원리 = 38 B. 정신 지채아의 무용 재활교육 = 46 1. 근거와 목적 = 46 2. 내용 및 방법 = 49 Ⅴ. 결론 및 제언 = 61 참고문헌 = 64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167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정신지체아-
dc.subject재활교육-
dc.subject무용-
dc.subject.ddc700-
dc.title정신지체아 재활교육을 위한 무용의 역할-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ole of Dance for the Education of Rehabilitation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dc.creator.othernameLee, Ji Won-
dc.format.pagevii,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9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