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9 Download: 0

인지된 운동능력과 스포츠 참가의 관계

Title
인지된 운동능력과 스포츠 참가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Motor Ability and Sport Participation
Authors
김양례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과
Keywords
인지운동능력스포츠 참가Motor Ability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숙자
Abstract
본 연구는 스포츠 사회화에 있어서 운동능력이나 적성이 관계가 있다는 것과 관련하여 일차적으로 인지된 운동능력과 스포츠 참가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에 부가하여 인지된 운동능력과 개인적 특성 및 사회화 주관자에 따른 스포츠 참가의 관계를 경험적 측정 자료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유층집락무선표집법(systematics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서울 시내 소재, 종합대학에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 576명을 조사대상으로 표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된 운동능력과 스포츠 참가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임번장 외(1986), 김수임(1991), 방지선(1992), McPherson(1992), Greendorfer(1974), Yamaguchi(1984)등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 문항 중 개인적 특성 및 사회화 주관자와 관련된 항목, 그리고 Ryckman(1982)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 문항 중 인지된 운동능력에 관련된 항목을 기초로 하여 <인지된 운동능력과 스포츠 참가의 관계에 관한 조사> 설문지 초안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설문지 초안은 예비검사를 통하여 설문내용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한 다음 수정하여 본 조사의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 기법은 x^(2) 검증, 빈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판별 분석이었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인지된 운동능력과 스포츠 참가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유도할 수 있었다. 첫째, 인지된 운동능력이 높을수록 스포츠 직접 참가가 높다. 즉 스포츠 직접 참가에서는 인지된 운동능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많으며, 스포츠 간접 참가에서는 인지된 운동능력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많다. 둘째, 높게 인지된 운동능력에서 스포츠 참가를 판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은 성, 어머니의 교육수준, 수입이며, 낮게 인지된 운동능력에서 스포츠 참가를 판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은 아버지의 교육수준, 어머니의 교육수준, 성, 수입이다. 세째, 높게 인지된 운동능력에서 스포츠 참가를 판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사회화 주관자는 학교, 부모, 친구이며, 낮게 인지된 운동능력에서 스포츠 참가를 판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사회화 주관자는 학교, 지역사회, 친구이다.;To the sport socialization process, various factor - individual, social and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perceived motor ability - are related.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motor ability and sport participation, and to examine, the relation among perceived motor ability, according to each personal attributes(sex, income, educational level), socializing agents(parents, peers, school, community society) and sport participation. Data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designed for this study consist of fixed-alternative choice response to item sconstructed to represent the operational definition for each variable. The inventory was administered to 576 college students(283 female and 293 male) Statistics employed for data analysis were Chi-square test, frequency analysi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d discriminant analysis. Based upon the results of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induced. 1. The degree of direct sport participation is propotional to one's perceived motor ability. 2. For the group of highly perceived motor ability, the personal attributes such as sex, mother's educational level and income discriminant sport participation, while, for the group of lowly perceived motor ability, the personal attributes such as father's educational level, mother's educational level, sex and income discriminant sport participation. 3. For the group of highly perceived motor ability, the socializing agents such as school, parents and peers discriminant sport participation, while, for the group of lowly perceived ability, the socializing agents such as school, community, and peers discriminant sport particip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