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6 Download: 0

민속예술의 Mola기법을 응용한 현대복식 표현연구

Title
민속예술의 Mola기법을 응용한 현대복식 표현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odern Costume Expression of Traditional Folk Art Applying Mola Technique
Authors
김유경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장식미술학과
Keywords
민속예술Mola기법현대복식장식미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배천범
Abstract
전통문화와 복식의 현대화는 현대 문명속에서 보다 훌륭한 미래를 위해 사라져가는 인간성을 회복하고 창조해 내려는 미래 지향적인 현실개념과 의지에서 이루어 진다. 따라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그 양상을 달리하면서 깊은 관심속에 계속 추구되고 있는 복식표현에 있어서의 전통적인 표현양식의 특징을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민속예술과 복식의 개념 및 특성을 분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복식에 있어서 민속적 이미지 표현의 가능성을 시도하여 현대복식으로서의 발전과 표현방향을 모색하려는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이론적 배경으로서 전통민속예술과 복식의 개념 및 특성을 살펴보고, 그 개념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현대패션에 있어서 전통과 창조의 표현양상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이러한 전통적 사고와 표현양식이 복식에 미친 영향과 전통적 표현양식 중 특히 Mola기법에 의한 표현방법이 어떠한 형태로 적용되어져 왔는가를 고찰하였고, 그것을 토대로 현대복식의 민속적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배경의 연구를 위한 문헌조사와 참고작품을 표집하여 그 조형적 특성을 분석한 후, 그것을 토대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은 Mola기법의 표현방법을 응용하여 한국적인 십장생문양을 토대로 전체적으로 전통적이며 현대적인 감각의 민속적 이미지를 연출하는데 중점을 두어 총 8점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민속예술로서 미적 가치추구 현상은 복식표현에 있어서도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되어져 왔으며, 현재에 이르러 제작자의 미적 감성에 의해 새로운 현대복식으로 표현될 수 있음을 알았다. 둘째, Mola기법의 독특한 표현방법과 시각적 이미지를 복식에 재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미와 기능이라는 목적에 근거하여 본래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독자적인 조형성을 추구할 수 있음을 알았다. 셋째, 복식표현에 있어서 민속예술 및 복식에 의한 유형 및 기법의 도입은 전통에 대한 고정적인 관념을 넘어 다양한 각도에서 복식표현의 주제가 될 수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넷째, 세계 각지역 민족들의 전통문화 중에는 현대복식으로 응용될 수 있는 좋은 전통양식들이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음을 Mola기법의 연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전통민속예술로서 Mola기법의 복식표현은 그 표현 양식과 다양한 형태와 재료로 형상화되었고, 실제 작품제작을 통하여 앞으로의 민속적 이미지 표현의 응용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The modernization of the traditional culture and costumes has been and will be performed with the future-oriented realism and will to recover and cultivate the decreasing humanity for the brighter future in the modern culture. Therefore it seems to be necessary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expression modes in the costume expression which up to date has been continuously pursued with different aspects but with strong concerns.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analyze the concep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folk arts and folk costumes, to try the possibility of the ethnic image expression in costume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analysis, and to search for its development and expression course as modern costume. As for the contents of the study it looks into the concep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folk arts and folk costumes for its theoretical background and reviews the expresstion aspects of the tradition and the creativity as well in the modern fashion in detail for its method to materialize that conceptions. Additionally, it looks into not only the influence of such traditional thoughts and expression modes on the folk costumes but also the way in which the traditional expression modes, especially the Mola technique had applied the expression ways, and expresses the ethnic images in the modern costume on its basis. To proceed the study the literatures concerned have been examined to study its theoretical ground, works for reference have been collected to analyze their plastic features, and then some pieces have been produced with its resulting data. There have been made total 8 pieces using the expression methods of Mola technique in which the ethnic images, which give impression of tradition and modernity, are emphathetically betrayed as a whole on the basis of Korea's SSip-Jang-Saeng (ten longeval elements) design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henomena of pursuing the aesthetic values as the traditional folk arts have been espressed in various ways in the costume expression, and nowadays the possibility has been discovered that they are also able to be expressed in the new, modern costumes through the manufacturer's aesthetic sensibilities. Second, being supported by the primary purpose of beauty and functions of costumes, their unique shapes are found out to deserve one's pursuit with their original characteristics remaining intact through the unique expression method of the Mola technique and the reconstruction of their visual images into costume. Third, in the costume expression the introduction of types and techniques by folk arts and costumes overweights the streo-typed ideas about the tradition and comes to be realized as another subject in the costume expression in numerous ways. Four, the study of Mola technique confirms that a lots of folk arts existing in the nations all over the world have good traditional modes to be applied the modern costumes. As such, the costume expression of Mola technique as a sort of the traditional folk art is materialized in its expression modes, various forms, and materials, and provides a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the ethnic image expression by manufacturing real wor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