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희-
dc.contributor.author김은정-
dc.creator김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9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9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9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943-
dc.description.abstract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mand the analysis of the feature of dance sawi and of the from of dance sawiincluding the expressivity which appeared in the Sanjo dance which is the representative creation of new dance period as one study method for regulating where the vein of Korean creation dance originated. Though all the creations are similar, the Sanjo dance of Kim Jin Keol is placing the vein in all the traditions, he Is emphasizing the line in the visual aspect ofmotion. As for the Sanjo dance, it can be said that the improvisatory nature is strongest, and therefore, the range of expression is wide in the creation range also as the dance that has all the Korean rhythms in the side of music form, and also, that all the expression factors of dance sawi of Korean dance are being contained in the side of motion. The Sanjo dance derived from the form of standing dance of sisaeng's house by sharing its appearance with Sanjo music is meaning the human release, flesh release to express the free emotion of human individual through the medium of movement which is body. "So,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Korean creation, the Sanjo dance where there is limitation of expression must be made as the basic guideline of creation" is the word of Kim Jin Keol. In this study, the author tries to analyze the creation, "Flow of My Heart" of Kim Jin Keol which he started to dance in 1954 and of which the freedom of expression is wide and of which the artistry is high by selecting it, with the same reason as the above writing. Korean dance is in the state that the concept of the genre division of the traditional dance on which the creations of today are based is not definite as to whence there is creation and to what extent there is tradition timely. To classify these two genres firmly, it Is considered that what sublimes to the stage art by systematizing the beauty of straight line and curve as the visual art for showing can be said as the creation and that the dance that the Individual dances without being conscious of spectators in the excess of mirth without the visual factor can be said as tradition. And Buddhist dance, exorcism(Salpuri), and the dance of peasce etc. Which we call as tradition today are being recreated as the initiate kind, simultaneously with being initiated from one original from to the next initiate. Sanjo may be said as the tradition also, but it can be said as the creation dance, in that the Sanjo dance which Kim Jin Keol dances and the Sanjo dance to be danced by initiate are another emotion expression from the viewpoint of emotion expression, namely, in that Buddhist dance, Salpuri, dance of peace, and Sanjo dance are reexpression. Kim Jin Keol is insisting that Sanjo dance is the political creation dance also. While our country underwent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and Korean Civil War by meeting the flowering time from 1990s, culture brought big change in the political unrest and disorder. Almost everything became extinct, and only the court offertory remained, and the rest has been transmitted by tradition. At this period, Korean creation dance started to bud. Then, there are two schools. As for the former, Suk Jung Mak, Choi Seung Heul and pae Koo Ja are main members as the school which applied our thing to Western dance with the Western type, and as for the latter, Han Sung Joon who realized to make the folk dance into dance may be placed at the head as the school established on the basis of our thing. In this study, the author is to examine with the latter in the center, among these two schools. Han Sung Joon who is the pioneer class of Korean creation dance was a noted person of music and traditional dance, and as for the dances which he made into dance, there are Buddhist dance, Salpuri, dance of peace and crane dance etc. The Sanjo dance of Kim Jin Keol belongs to the latter as the dance In which our emotion is dwelling. As dance sawi of folk dance is belong contained in his Sanjo dance, that the range of movement is diverse can be sad as its features. As for the dance of our country, the folk dance which was danced on the yard or main hall while Wongak temple was built In around 1920 forthe first time got to be danced on the stage of modern concept. To see like this, the origin of Korean creation dance can be regarded as the period of Han Sung Joon. Then, he made Buddhist dance Into stage newly, and thisbuddhist dance is recreated into the kind of Lee Mae Bang and the kind of Han Young Sook again. Salpuri is such, and the dance of peace of Jinsol rhythm of 10 musical time pattern are the creations sublimed into the stage of the period. On the basis of these things, the Korean creation dance of today developed. While these dances were danced, the new revolutionary dance of new dance period which is creative and has experiment spirit started to be embossed, though it is not the dance of perfect pattern. That is, Buddhist dance, Salpuri and the dance of peace are the dances in which there are too much limitation, and corolla dance, fan dance and drum dance take serious view of only form beauty by emphasizing the stage composition of spectacle. On the contrary, Sanjo dance could become the origin of other many dances as the dance in which the Internal emotion of our thing is dwelling, and it could be the basis of Korean creation dance today. Then, this is just the Sanjo dance. In this study, insisting Buddhist dance, Salpuri, dance of peace, crane dance, coroola dance, drum dance, fan dance, and Sanjo dance etc. like above as the creations of new dance period, among these, the author tries to study and analyze the Sanjo dance that the experiment spirit is strongest and that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the freedom of music are wide by selecting it. To examine the unfolding from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the chapter Ⅰ, the study goal, necessity, study method and the superior limit to get to write this study are being treated. In the chapter Ⅱ, so as to understand the range and meaning of Sanjo dance, the history and origin of Sanjo dance, and the expressivity of Sanjo dance of Kim Jin Keol which ar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dance are discussied. In the chater Ⅲ, as the structural analysis of dance sawi, so as to record the progression direction of dance sawi, space composition is shown with drawing, and the form of dance sawi is formalized with photo, simultaneously with amplifying glance, technique and way of walking and marking the stage position and the direction of body with symbol. In the conclusion of the chapter Ⅳ, above study is summarized briefly, and the attitude which we must have in the creation work and the theme are discussed.;본 논문은 한국창작무용의 맥이 어디서부터 기원되었는지를 규정하기 위한 하나의 연구방법으로서 신무용기의 대표적 창작작품인 산조춤에 나타난 표현성과 더불어 춤사위의 특징, 그리고 춤사위의 형태적 분석을 요구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모든 창작품들이 마찬가지겠지만, 김진걸의 산조춤은 모든 전통에 그 맥을 두고 있으며, 동작의 시각적인 면에서 선을 강조하고 있다. 산조춤은 음악형식면으로는 모든 한국장단을 갖고 있으며, 또한 동작의 측면에서도 한국무용의 많은 춤사위의 표현요소가 내포되어 있는 춤으로써, 가장 즉흥성이 강하고 그러기에 창작의 면모에 있어서도 표현 범주가 광범위하다고 할 수 있다. 산조음악과 발생을 같이하여 기방의 입춤 형태에서 파생된 산조춤은 인간 개인의 자유로운 감정을 신체라는 움직임의 매체를 통하여 표출해 내는 인간의 해방, 육체의 해방을 의미하고 있다. "현대 한국 창작무용의 발전을 위해서는 표현의 제약이 없는 산조춤을 창작의 기본 지침으로 삼아야 한다."는 김진걸의 말은 그가 산조춤에 부여한 이러한 의미들을 읽을 수 있게 한다. 본 논문은 앞글과 같은 이유로써 1954년 그가 처음으로 추기 시작했던 춤으로 표현의 자유가 광범위하고, 예술성이 높은 김진걸의 "내 마음의 흐름" 이란 창작품을 선택하여 분석하려는 것이다. 한국 무용은 오늘날의 창작품들이 바탕을 두고 있는 전통무용이 시기적으로 어디서부터가 창작이고 어디까지가 전통인지 그 쟝르구별의 개념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다. 굳이 이 두 쟝르를 구별한다면, 보이기 위한 시각예술로써, 직선과 굽은 선의 아름다운 미를 체계화하여 무대예술로 승화시킨 것을 '창작' 이라 하고, 시각적인 요소없이 개인이 흥에 젖어 관객을 의식하지 않고 추어지는 춤을 '전통'이라 말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우리가 오늘날 전통이라 말하고 있는 승무, 살풀이, 태평무 등은 하나의 원형에서 다음 전수자에게 전수됨과 동시에 전수자류로 재창조 되어진다. 산조 또한 전통의 요소를 많이 갖고 있지만, 심성 표출면에 있어서 김진걸이 추는 산조춤과 전수자에 의해 추어지는 산조춤은 또 다른 감정 표출이라는 점 즉, 다시 말해 승무, 살풀이, 산조춤은 재현이라는 점에서 창작무라고 말할 수 있다. 김진걸 또한 산조춤은 완전한 창작춤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00년대부터 개화기를 맞이하여 한일합방과 6. 25를 겪으면서 정치적 불안과 혼란속에서 문화 또한 큰 변화를 가져왔다. 무용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거의 모든 것이 소멸되었으며, 궁중정재만이 남고, 나머지는 구전으로 전하여져 올 뿐이다. 이 시기에 외래문물의 유입으로, 한국 창작무용은 움트기 시작했는데, 여기에는 두 유파가 존재하고 있다. 전자는 서양무용에 우리 것을 서구적으로 적용시킨 유파로 석정막과 최승희, 배구자 등이 주가 되고, 후자는 우리 것을 바탕으로 세운 유파로서 민속무용의 무대화를 실현시킨 한성준을 내세울 수 있다. 본 논문은 이 두 유파 중 후자를 중심으로 살피고자 한다. 한국창작무용의 선구자격인 한성준은, 음악과 전통무용의 명인이었으며, 그가 무대화시킨 춤으로는 승무, 살풀이, 태평무, 학무등이 있다. 김진걸의 산조춤 또한, 그 춤사위에 있어 우리의 정서가 깃든 춤으로서 후자의 유파에 속한다. 그의 산조춤 속에는 모든 민속무용의 춤사위가 내포되어 있어 그 움직임의 범위가 다양한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춤은 1908년경에 원각사가 처음으로 건립되면서 마당이나 대청에서 추어지던 민속춤이 현대적 개념의 무대에서 연행되기 시작했다. 이렇게 볼 때 한국 창작춤의 기원은 한성준 시대로 볼 수 있는데, 그는 승무를 새롭게 무대화시켰으며, 이 승무는 이매방류와 한영숙류로 다시 재창조된다. 살풀이 또한 그러하고, 10박 진쇠장단의 태평무 또한 그 시대의 무대화로 승화된 창작작품들이다 이러한 것들이 바탕이 되어 오늘날의 한국창작무용이 발전해 나온 것이다 이러한 춤들이 추어지고 있을 때 완전한 패턴의 춤은 아니지만, 신무용기의 창작적이고 실험정신을 가진 새로운 개혁의 춤이 부각되기 시작했는데, 즉 승무, 살풀이, 태평무는 너무 제약이 많은 춤이고, 화관무, 부채춤, 장고춤은 스펙타클(Spectacle)한 무대구성을 강조하여 형태미만을 중시하는 반면, 산조춤은 표현의 제약성 없이 우리 것의 내면의 정서가 깃들어 있는 춤으로서 다른 많은 춤의 기원이 되며, 오늘날 한국창작무용의 바탕이 될 수 있었는데 이것이 바로 산조춤인 것이다. 위와 같은 승무, 살풀이, 태평무, 학무 그리고 화관무, 장고춤, 부채춤, 산조춤 등을 본 논문에서는 신무용기의 창작작품으로 주장하면서 이중 가장 실험정신이 강하고 표현의 자유와 음악의 자유가 광범위한 산조춤을 선택하여 연구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전개형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장은 본 논문을 쓰게 된 연구목적 및 필요성과 연구방법 및 그 한계점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제2장에서는 산조춤의 영역과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 이 춤의 이론적 배경인 산조춤의 역사와 그 유래, 그리고 김진걸 산조춤의 표면성에 대하여 논한다. 제3장에서는 춤사위의 구조적 분석으로서 춤사위의 진행방향을 기록하기 위해 공간 구성을 그림으로서 나타내며, 시선. 수법, 보법 등을 부연설명하고, 무대위치와 몸의 방향을 기호로써 표기함과 동시에 춤사위의 형태를 사진으로 형상화 시킨다. 제4장 결론에서는 앞의 연구를 간단히 요약하고, 창작작업에 있어서 우리가 가져야할 태도와 과제에 대해 논술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ⅱ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방법 및 한계점 = 2 Ⅱ. 산조춤의 이론적 배경 = 5 A. 산조춤의 역사 및 유래 = 7 1. 무용계의 시대적 상황 - 창작무를 중심으로 = 7 2. 판소리와 시나위가 산조에 미친 영향 = 16 3. 김진걸과 그의 산조춤의 형성과정 = 20 B. 김진걸 산조춤의 표현성 = 28 1. 산조춤의 표현 기법 = 28 2. 춤 사위의 특징 = 32 3. 장단 = 37 Ⅲ. 춤사위의 구조 분석 = 45 A. 춤사위의 공간구성 = 46 B. 춤사위 형태의 형상화 = 52 1. 무보에 사용되는 표기법 = 53 2. 기본동작 = 62 3. 무보에 사용되는 용어 = 69 4. 무보 = 72 Ⅳ. 결론 = 121 참고문헌 = 128 ABSTRACT = 13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1231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산조춤-
dc.subject김진걸-
dc.subject춤사위-
dc.subject한국창작무용-
dc.subject.ddc700-
dc.title산조춤의 형태적 분석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김진걸 산조춤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ormal Analysis of Sanjo Dance : Centering around the Sanjo Dance of Kim Jin Keol-
dc.creator.othernameKim, Eun Jung-
dc.format.pageiv, 13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