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전숙자-
dc.contributor.author이주희-
dc.creator이주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9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9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9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935-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민주시민성 자질의 양성이라는 사회과의 기본적인 목표가 달성되는데 있어 방해요인으로 작용하는 남녀차별의 문제는 무엇이며, 또 어떠한 방법으로 나타나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여성학적 시각을 도입하는 것은 유용하다고 본다. 그리하여 이러한 논의가 이미 이루어지고 있는 미국 사회과 교육학회지를 분석 소개함으로써, 우리나라 사회과에서의 이와같은 논의의 필요성을 부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의 사회과는 이제까지 성을 중요한 관심의 대상으로 삼지 않았다. 때문에 사회과내에 내재해 있는 성차별적인 요소를 인식하지 못하였고 이는 양성평등화된 교육의 실현을 방해하였으며 결국 민주시민의 양성이라는 사회과의 목표를 진정으로 이루지 못하게 하였다. 학생들은 사회과 교육을 통해 사회의 기본적인 가치와 규범을 내면화하고 나아가 사회를 보는 시각을 형성한다. 인간 존엄성의 신념을 내면화하고 민주적인 절차 및 과정을 익히며 합리적인 의사결정의 능력은 민주시민의 자질(한국교육개발원, 1991)이고 사회과 교육의 목표이다. 그러므로 사회과는 인간관계와 사회사상을 대상으로 하며 당면한 문제와 미래사회에서 제기된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개선 및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인간 즉 민주시민을 양성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교육이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사회과는 성차별적인 이데올로기와 그러한 사회관념을 학생들에게 내면화 시키고 그것을 영속시키게 하였다. 이것은 민주시민이라는 표면상 양성평등을 지향하는 목표와는 사실상 모순되는 남성 중심의 내용과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고, 이는 민주시민이 사실상은 남녀를 동등한 중요성을 가진 존재로 인식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적인 민주시민의 자질은 남성이 이룩한 삶이나 공헌의 토대에서 주로 논해왔던 것이다. 여성학적 시각은 사회과에서의 이러한 문제점을 발굴하고 대안을 모색해 줄 수 있다. 여성이 역사적, 제도적으로 차별되어 왔다는 성차별의 인식에서 출발한 여성학은 그 학문적 성과를 통해 차별을 없애고 보다 평등한 사회를 창조하고 인간자유의 가능성을 발전시키는데 직접 공헌하는 것을 지향한다. 이러한 여성학적 시각을 통해 사회와는 성차별화된 사회현상과 사회과학의 연구들을 비판, 검토하고 이것을 수업에 다룸으로써 학생들에게 자신의 성고정관념을 깨우치도록 하고 여성문제를 의식할 수 있는 힘과 비판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뿐 아니라 여성문제 나아가 인간문제의 본질을 깨닫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1970년부터 1992년까지 발표된 미국의 사회과 교육 학회지중 여성관련 논문 70편을 분석한다. 이 논문들을 성격에 따라 이론적 배경에 관한 논의, 교육환경에 관한 논의, 학습내용에 관한 논의, 학습방법 및 수업전략에 관한 논의, 그리고 자료개발에 관한 논의로 분류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론적 배경에 관한 논의를 다룬 논문들은 1970년대 미국의 사회과 교육학자들이 성차별주의에 관심을 기울이게 된 것을 당시 등장한 제2기 현대 여성해방주의의 영향이었다고 보았다. 그들은 남녀의 차이가 성차별의 토대가 되는 사회구조를 분석, 비판하였으며, 그러한 일련의 요소로서 교육구조 역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배경하에 여성학적 시각에서 사회과 전반을 검토하려는 노력들이 시작되었다. 2. 교육환경에 관한 논의를 다룬 논문들은 학습자를 수업으로 이끌어 가는 제반 요소들이 성차별화 되어 있을때 아무리 좋은 학습내용이나 자료가 개발된다고 하더라도 학생들은 여전히 성차별을 내면화 할 것이라고 보았다. 더욱이 이러한 요소들에서의 성차별주의는 꾸준히 인식되어오고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의식 체계에 깊숙히 뿌리박혀 계속해서 표면적,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 3. 학습내용에 관한 논의들은 여성학적 시각에서 사회과학을 비판하는 내용을 소개함과 동시에 그것을 학생들이 사회과를 통해 배워야 한다는 데 의견을 공유한다. 이러한 시각에서 기존의 사회과 내용은 학생들에게 남성행위와 경험이 인간전체를 위한 규범이라는 가정을 학생들에게 심어줌으로써 결국 나머지 반인 여성의 본질과 역할을 간과하거나 왜곡된 이해로 이끄는 것이었으므로 비판받는다. 특히 여성의 역사를 배우는 것은 여성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 걸친 여성의 삶을 알게하므로 유용하다. 4. 학습방법 및 교수전략을 제시하는 논문들은 강의식이나 주입식을 탈피하고 비판적인 사고를 기르게 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성차별과 여성에 관련된 문제를 다룰 수 있다고 보고, 다양한 수업전략들을 소개하는데 그 역점을 두었다. 그러나 여성학적 시각에서 볼 때 비판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고 보여지는 탐구학습 역시 비판된다. 이는 그것이 지닌 가치자유와 객관성의 태도에 기인한다. 5. 자료개발은 여성에 관한 각종 자료의 원천과 그 내용을 소개함으로써 여성 문제에 관심이 있는 사회과 교육자나 교사들에게 정보를 제공해 주고 학생들에게 비성차별주의적인 자료를 접하게 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상과 같이 미국은 사회과내의 여러 성차별적 요소들을 철폐하려는 논의들이 학회지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논문들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시각은 남녀의 차이가 차별의 토대로 작용해서는 안되며 남녀의 차별을 반영하는 사회과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인간형성, 시민형성이라는 사회과 목표에 근거하여 비판되어져야 한다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recognize the sexist factors that are in social studies and further on verify that social studies has to include women. The aim of social studies is in reflecting the practice and the recognition and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practice. However sexist and women alienation perspective shown in social studies actually introspect to students of the society's sexual discrimination and even go on to hinder the voluntary participation in society. Thus, this study is to prove 'why' and 'how' women are treated in social studies through analysis of American academy reports that were publised from 1970 through 1992. I have analyzed 70 theses, classifying them into their subjects; argument on theorical background, argument on educational environment, argument on the contents of curriculum, argument on methods of teaching, and finally argument on materials on study of wom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ason that American social studies educators began to show interest in sexism in the 1970's owe to the influence of the renewal of the feminist movement which began to reappear at that time. Feminists who cried out for the liberation of women thought their primary duty was to eliminate the sex role stereotyping and sex discrimination. Based on these facts, social studies began to inquire into the basis of the whole education itself. 2. However a good curriculum may be, if a school discriminates then the students would still have conflicts. 3. The argument on the content of curriculum reflects the fact that curriculum contents based on male-centered perspective alienate women and in fact cannot reflect integrated women and men's life, experience and their history. They argue that if they relearn from women-centered perspective they would be able to manage diverse and profound practice. 4. Theses that present methods of teaching propose ways in raising critical thinking instead of direct cramming method of education and thus show efforts to dissolve sex discriminated problems. 5. Materials on study of women introduce sources of various materials and its content on women, thus providing information to educators and teachers who have interest in women issues. Furthermore, they encourage students to perceive diverse perspectives away from study materials that exclude women. The common perspective in all these theses are that a sex should never act as a facta in discrimination. However, these theses go on to further to emphasize the role of social studies in changing the segregated society. This is possible when women are truly included in the social stud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1 B. 연구의 방법 = 2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사회과 교육과 여성학적 시각 = 5 A. 사회과 교육의 성립배경 및 특성 = 6 B. 여성학적 시각에서 본 사회과 교육의 문제 = 9 Ⅲ. 여성학적 시각에서의 사회과 교육의 논문분석 = 23 A. 논문의 연구동향 및 분석의 주제 = 23 B. 논문 분석의 내용 = 29 (1) 이론적 배경에 관한 논의 = 29 (2) 교육적 환경에 관한 논의 = 33 (3) 학습내용에 관한 논의 = 43 (4) 학습방법 및 교수전략에 관한 논의 = 57 (5) 자료개발에 관한 논의 = 67 참고문헌 = 76 부록 = 84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069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여성학-
dc.subject사회과 교육-
dc.subject남녀차별-
dc.subject사회생활학-
dc.title여성학적 시각에서 본 사회과 교육-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ocial Studies on the Feminist Perspective-
dc.creator.othernameLee, Joo-hee-
dc.format.pagev,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