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남경희-
dc.contributor.author김수정-
dc.creator김수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8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9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9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932-
dc.description.abstract소크라테스는 "덕은 곧 지식이다"라는 명제로서 윤리적인'행동을 하는데 있어 지식의 본질적인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무엇이 올바른 것인지 아는 사람은 그 앎으로 인하여 그것을 행할 것이며 무지한 사람은 그른 일을 행하게 될 것이니, 결국 악한 행위는 무지나 지적 오류의 산물이며 아무도 자발적으로 악을 행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지행 합일설은 부도덕한 행위인지 알면서도 쾌락에 도취되어 악한 행위를 하게 된다는 일상인들의 견해와는 상충하는 듯이 보인다. 자칫 불합리한 이론으로 들릴 수 있는 소크라테스의 지행 합일설이 어떠한 맥락 속에서 주장 되었으며 그 도덕 이론이 갖는 의미와 함축은 무엇인지 보고자 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논자는, 소크라테스의 지행 합일설이 플라톤의 대화편 『프로타고라스』의 중심 내용을 이룬다고 보고, 이 대화편에 나타난 프로타고라스와 소크라테스의 덕에 관한 상이한 입장-덕의 본성, 지식의 역할, 덕의 내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서 지행 합일설의 구조와 내용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프로타고라스는, 덕이란 개인에 자신의 집안일이나 국가적인 일에 능하게 됨이라 규정하고 자신이야말로 이런 덕을 가르치는 교사라고 주장 한다. 이와 다르게 소크라테스는, 덕을 사물이나 인간이 있게 된 그 최상의 방식으로 사는 것이라 규정하고 여타의 기술적 지식과는 달리 덕의 전문가가 있을 수 없고 덕이 특정 교사에 의해서만 가르쳐 질 수 있는 지식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프로타고라스는 국가의 법률과 처벌 제도등을 통하여 덕의 실재를 인식할 수 있다고 보았는데, 그에 있어서 덕은 이러한 제도들에서 성공하는 기술을 의미하였던 것이다. 도덕은 사회적 관습의 산물이므로 사회에서의 성공을 통해서 개인의 덕성이 평가 받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가치의 상대성을 주장하게 되는 프로타고라스와는 다르게 소크라테스는 윤리학이 객관적 실재라고 본다. 도덕은 우주에 내재한 이성적 질서를 반영하므로, 인간에게는 선이 확고한 도덕 원리로서 행위의 옳고 그름을 가르는 기준이 된다. 윤리적 행위를 어떤 기준으로 판단할 것인지에 관한 대립이 프로타고라스와 소크라테스의 윤리학적 입장을 나누게 되는 것이다. 소크라테스는 윤리적 원리의 절대성을 믿고 일생동안 그것을 찾기 위한 윤리적 작업을 부단히 실천해 갔던 것이다. 무지자로 자처하고 끊임없는 자기 반성을 통해 덕을 실천해 나가려 했던 소크라테스에게 이성을 동만 사유화 작업은 매우 중요한 것이었다. 더우기 사람들이 자신이 갖는 가치들을 행위의 기준으로 삼는 것을 보면, 공동체를 이루어 가는데 있어서 공통된 가치관의 확립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그런데 만일 각자가 동일한 도덕적 개념들을 서로 다른 의미로 해석해서 받아 들인다면, 사회 성원들간의 이해와 신뢰는 불가능하게 되며 급기야는 약육 강식의 사회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소크라테스에 있어서 공통의 가치를 확인하는 작업은 대화를 통하여 이루어 지는데, 그 방법은 스스로 자신을 무지자로 칭하면서 상대방의 주장을 일단 긍정하여 주고 계속적인 검토 과정을 통해 결론적으로 상대방의 주장이 잘못 되었음을 인정하게 만드는 것이다. 윤리적인 용어의 의미를 정의 내리는 작업은 지적인 탐구를 위해서 뿐만 아니라 도덕적인 실천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소크라테스에게 있어 진리를 명확히 인식하는 일이 올바른 사람을 살아가는 근본이 된다고 하여, 그의 문답법의 목적이 철학적 교의를 가르치는데 있었던 것은 아니다. 오히려 각자가 지닌 독단을 해부하여 자신이 무지하다는 것을 인정하도록 해주고 스스로의 계획된 지속적인 사고를 통해 자기 내부에서의 변화가 일어나게 하려는데 소크라테스 방법의 의의가 있는 것이다. "덕은 한가지의 것이어서 정의, 인내, 경건, 절제는 그것의 부분들인가? 혹은 내가 지금 언급한 낱말들은 동일한 것의 이름들이어서 결국 한가지란 말인가?"(329c6-d1) 프로타고라스와 소크라테스의 덕에 관한 상이한 입장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전반적인 덕과 그것을 이루는 각각의 덕목들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이 중요한 관건이 된다. 그런데 덕과 덕의 부분들과의 관계를 해석하는 입장이 "x는 무엇인가"로 시작되는 소크라테스의 질문을 기본적으로 어떻게 취하느냐에 따라 나뉠 수 있다. 즉 소크라테스의 질문을 실체적이고 인과적인 물음으로 보느냐, 의미론적인 물음으로 보느냐에 따라 혀의 통일성 테제에 대한 상이한 입장이 있을 수 있다. 덕의 본성을 심리학적인 상태로 규정하는 Terry Penner, C.C.W Taylor, Terence Irwin 의 입장과 구성적인 성질로 규정하는 Geregory Vlastos의 입장이 그것이다. 먼저 전자의 입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모든 덕들은 동일하다. 2)"덕"과 다섯가지의 덕들 각각의 이름에 의해 명명된 바는 다양한 행동의 "동기력"인 심리학적 상태이다(이하 인과적 입장이라 지칭). 이 입장에 따르면, "x가 무엇이냐"로 표현되는 소크라테스의 물음이 분석적인 물음이 아니라 인과적인 물음이라는 것이다. 예컨데 "용기란 무엇이냐" 라고 물을때, 소크라테스는 용기란 낱말의 의미, 본질등을 알고자 했던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심리학적 설명, 해석을 요구했다는 것이다. 즉 무엇이 도대체 인간 영혼 내에서 그들을 용감하게 만드는지 묻고 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x란 무엇인가"란 질문이 종종 소크라테스에 의해서 "수많은 x인 것들이 그로 인해서 x가 되는 바로 그 유일한 것이 무엇이냐"로 표현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소크라테스외 덕의 본성에 관한 물음들도 역시 인식론적이고 의미론적인 물음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인과적, 설명적인 물음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Vlastos에 따르자면, 인과적 입장은 덕의 통일성 논제와 관련하여 문제점을 안고 있다. 다섯가지 덕들이 한가지 동일한 덕을, 그리하여 사람에 적용하면 특징 심리 상태를 가리킨다는 것인데, 그렇다면 이런 특정 심리 상태로부터 생긴 동일한 행동에 대하여 각기 다른 기술 -정의로운, 경건한, 용감한, 지혜로운- 을 적용 시키게 되는 근거는 어디에 있는가. Vlastos는 덕의 본성과 덕의 부분들과의 관계를 논하면서 Pauline Predication을 소개하고 동치성 테제를 주장한다. 예컨대 "정의는 경건하다" 같은 도덕적인 서술어를 갖는 "A는 B이다" 형식의 문장에서 술어 '이다'는 추상체의 주어에 관해 주장된 것이 아니라 그 추상체의 구체적인 개별 경우에 관해 주장된 것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정의로운 사람은 경건한 사람이다. 즉 공동 외연을 갖고 있다고 해석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덕의 통일성을 주장하는 소크라테스의 입장은 다음과 같이 기술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벽이 있는 사람은 곧 지혜를 갖춘 사람이므로 구체적인 행위를 할때 용기, 정의, 경건, 인내, 절제를 갖출 사람으로 드러난다. 소크라테스는 덕을 인간의 구제적인 행동의 특성으로 귀속시키지 않고 오히려 올바른 행위의 동기가 되는 지식을 통해서 설명함으로서 덕과 지식이 한가지임을 보여 주었다. 덕의 동일성 논의를 통해서 밝혀진 덕과 지식과의 동일성은 "아무도 고의로 악행을 저지르지 않는다"는 소크라테스의 테제를 갖게 한다. 이런 논지는 소위 의지 박약의 가능성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즉, "최상인 바가 무엇인지 알면서도 우리의 지식이 쾌락, 두려움, 분노등과 같은 것들에 도취될 수 있다" 는 일상적인 견해가 전적으로 잘못 되었다는 것이다(351-8). 행위자는 항상 그가 생각하기에 최상인 바를 선택하기 때문이다. 지식과 윤리적 행동과의 상관성을 주장하는 문제는 덕의 통일성 테제와 쾌락주의 논제에 연관되어 있다. 소크라테스는 "모든 덕들이 하나이다" 라고 주장하는 반면, 프로타고라스는 "용기는 나머지와 다르다" 며 덕의 통일성 테제에 반대한다. 소크라테스에 따르자면, 자치평가와 동기 부여에 관련하여 우리가 추구하는 유일한 대상은 한가지 곧 선이므로 우리의 갈등하는 바램들을 효율적으로 다스릴 수 있다. 그리고 탐욕, 공포, 분노, 사랑 등의 열정에 의해 행위가 이끌려진다는 것은 그 행위가 행위자 자신의 지식 결핍으로 인해 야기된 것이며 그에게 최상의 쾌락을 혹은 최소의 혐오를 야기하는 것으로 생각 되었기 때문이다. 소크라테스는 도덕적인 행위에 있어서 지식의 역할을 강조함으로서 도덕적인 개선의 여지를 남긴다. 지행 합일설의 요지는 덕의 동일성 해제와 관련시켜 이해해야 한다. 덕의 각 부분들이 공동의 예화 집합 -그 성질을 갖춘 일간들의 부류-을 갖고 덕 전체는 그 덕 각각의 부분들로 구성된 것을 고려해 볼 때, 지행합일설은 인간에 있어 전인적인 인격 형성과 보편적 덕의 실천의 중요성을 주장한 것임을 알 수 있다.;Socrates emphasized on the power of knowledge in doing virtuous conducts, saying that "virtue is knowledge", According to his argument, those who know what is the right thing to do do so and those who are ignorant of that do otherwise. Therefore, Wrong doing is the outcome of ignorance or intellectual error and no one who does injustice or wrong does so voluntarily. Socratic view seems to be contradict with the common belief that presumably everyone acquainted with. Most people think that they sometimes do what is morally wrong knowing that is morally wrong because they are overcome with pleasure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unravel what context Socrates' moral argument is raised in and what is the meaning and implication of socratic moral theory. "The unity of the virtues" and "the knowledge of the virtues" are the main themes in the Platonic dialogue, 「Protagoras」. So I compared and analyzed the different positions about the virtue between Protagoras and Socrates. And then I tried to figure out the structure and the content of socratic moral theory. Protagoras defines the virtue as doing well in personal and public affairs and insists that he is the most proper as the teacher of the virtue in Athens. But Socrates defines the virtue as living in the best way in accordance with the nature of humen. Socrates denies that there is an expert of virtue and argues that the virtue is not the knowledge to be delivered by an expert. Protagoras thinks we can recognize the existence of virtue in terms of the law and punishment of the states. For him, virtue is nothing but a skill to success in various public life. He suggests that morality is the outcome of social customs, so success in social life enables people to measure their morality. But socrates assumes that human reason reflects the order in universe and the good is the rigorous ethical principle for human behavior. What should be the yardstick to judge on ethical matters, is the primary difference between Protagoras and Socrates. As Socrates believes in the absolute and objective ethical principle, he tries to practice the various conducts in his entire life. Rational thinking process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socrates who claimes his own ignorance and tries to search the moral standard by continuing self-reflection. Why should a man whose supreme goal in life is to propagate virtue be so eager to discover what an ethical term means? If we have the wrong idea of what it means to be brave or coward we shall honor and scorn the wrong things. Our valuations will foster conduct which is valueless or worse. Moreover people generally take some moral principles for the standards of their behavior. So to identify the same moral principle is essential to form and keep a community. To define ethical terms is needed for both intellectual concern and moral pratice. Socrates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find the same moral values by his philosophical method, dialectic. There is a questioner and a respondent in the process of dialectic. The questioner elicits from the respondent a thesis, and the task of the questioner is to compel, by the appropriate use of yes-or-no questions, admissions from the respondent that contradict his original thesis. Although socrates is sure that knowledge of truth is essential to live morally, the purpose of his dialectic is not in delivering philosophical doctrine. Rather dialectic provides Socrates with an ideal means to show his interlocutors that, though they think they know, they are speaking out of ignorance. Coming to acknowledge this ignorance is the first necessary step toward real knowledge or wisdom. "Is virtue a single thing with justice and temperance and piety its parts, or are the things I have just listed all names for a single entity?"(329c6-dl) To understand different positions about virtues between Protagoras and Socrates, we must explicate the relations between the whole virtue and its parts. There is two ways of explaining to discover the relation between the whole virtue and its parts. That is, Socrates' claim that virtue is one is interpreted as both the identity of the virtues or the biconditionality of the virtues. It depends on different interpretation about Socratic question, "What is X?". While Terry Penner, C.C.W. Taylor, Terence Irwin think that the question is a request for psychological account (explanation) of what it is in men's psyches that makes them x. The reason why they interpret the question as causal one is that question is put by Socrates as "what is that single thing by virtue of which the many x things are x ?" So they argue that the question about the nature of virtue is also a causal or explanary question rather than an epistemological or semantical one. However Gregory V1astos interpretes socrates question as constitutive or semantical one. He claims that socrates' definitions show enough that "the x because of which all x things are X" is simply the property x, not something which causes things to have that property, and that the "because" is semantical. In addition V1astos introduces "Pauline Predications" and claims the biconditionality of the virtues. The biconditionality thesis assures us that if a given person, N. happens to have any of the five virtues, he will "of necessity" have all five". So Socrates' claim that virtue is one can be read as suggesting the biconditionality of the virtues. Socrates has the doctrine "virtue is knowledge" and denies the possibility of acrasia. The backbone of this doctrine is the belief that all men desire the good and desire nothing else, except when it is means to the good as a part of it, In Socrates doctrine, the motive force of virtuous conduct (and of vicious conduct too : of all conduct) is always desire for the good. Knowledge of the good is what gives direction to this force. According to socrates, virtue, being a form of knowledge, is guide to the good. The power of knowledge is the ability to inform that desire for good moves us to pursue it. In conclusion, Socrates doctrine that virtue is knowledge is systematically connected with these two theses, the teachability of the virtue and the unity of the virtues. Considering various sorts of arguments about the virtue in 「Protagoras」, we can find that socrates emphasizes on the role of reason in doing virtuous conducts. As socrates assumes that there is the general desire for the objective good, he believes that the acknowledge of the virtue will guide people to the better lif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Ⅱ. 대화록의 내용 요약 및 분석 = 5 A. 서두 = 5 B. 소크라테스와 프로타고라스: 1회전 (328d-334c) = 7 C. 소크라테스와 프로타고라스: 2회전 (348b-360e) = 10 Ⅲ. 덕과 가르침 - 프로타고라스 = 14 A. 덕의 본성 = 14 B. 가르침의 내용 = 19 C. 덕의 공유와 국가 정책 결정의 문제 = 21 Ⅳ. 덕의 통일성 = 25 A. 덕의 통일성에 관한 논의 = 25 B. 바울식의 서술문 (Pauline Predications) = 30 C. 지식의 역할 = 33 Ⅴ. 지행 합일설 = 37 A. 도덕적인 역설 = 37 B. 쾌락과 선 = 39 C. 측정술과 외양의 힘 = 42 D. 지식과 덕의 동일성 = 43 Ⅵ. 결론 = 46 참고문헌 = 49 ABSTRACT =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6864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소크라테스-
dc.subject지행합일설-
dc.subjectProtagorasa-
dc.subject프로타고라스-
dc.subject.ddc100-
dc.title소크라테스의 지행합일설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Protagoras」편을 중심으로-
dc.format.pagevii, 5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철학과-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