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말복-
dc.contributor.author김지은-
dc.creator김지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8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9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9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931-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종합예술로서 무용이 무대에 올려질때 무용수와 가장 밀착되어 주제를 표현하게 되는 무용의상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의상의 효과적인 활용과 주제 표현의 수단으로서 그 역할을 분석, 연구하는데 있다. 무용이 한 작품으로 무대위에서 공연되기 까지는 않은 구성요소를 필요로하며 그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시각적인 요소로 작품의 주제 및 사상, 분위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 중에서 의상은 무용수와 일치되어 색채, 질감, 형태, 그 밖의 여러 효과를 통하여 작품의 성격뿐만 아니라 주제전달, 미묘하고 섬세한 감정까지도 전달해주며 모든 시각적인 요소들 - 분장, 소품, 무대장치, 조명 등 - 과 하나의 이미지로 용해되어 표현 및 상징성의 역할을 돕게 된다. 무용의상의 구성요소는 색, 선, 질감, 조명의 조화로 구분할 수가 있는데 색은 인물의 특성과 작품의 분위기를 나타내는 가장 강력한 요소이므로 의상제작시에는 일반적인 색채의 심리효과를 적절하게 이용해야 한다. 또한 무대의상의 선은 주로 윤곽에서 나타난 특징적인 선을 강하게 대비시킴으로써 작품의 분위기와 감정의 변화를 창출해 하는 심리적인 효과를 유발시킬 수도 있다. 무용의상의 질감은 시각과 촉각에 의해 얻어지는 감각으로 선과 색채와도 서로 영향을 갖는다. 같은 선이라도 음감의 재질에 따라 완성된 의상 결과가 달라지게되고 같은 색채라도 질감의 느낌에 따라 색의 강도, 상징적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가 있다. 따라서 무용의상 디자인에 있어 특성에 부합한 의상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적절한 재질의 선택이 요구되며 무대장치의 재료와도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또한 조명은 시각적인 장치, 무용수의 움직임에 감정을 넣어주고 무대의 분위기와 크라이막스 부분에 효과적으로 이용되는데 이때 의상의 색상, 조형, 질감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의상디자인 제자과정에서는 무대조명하에서 의상 재료의 색채 및 표현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지식아래에서 현대무용사에 나타난 무용의상의 흐름을 살펴 볼 때 로이 플러(Loie Fuller)는 큰 폭의 처마에 조명의 효과를 이용하여 현란한 무대를 이루었으며, 20세기 현대무용의 창시자라고 일컫는 이사도라 던컨(Isadora Duncan)은 자유로운 춤의 정신을 이어받아 의상도 자연스러움을 촉구하여 부드러운 선을 강조하였다. 또한 루스 세인트 데디스(Luth St. Denis)는 인도의 동양적인 무늬와 디자인을 강조하며 작품의 배경과 시대를 잘 나타내주고 있다. 그리고 '수축과 이완'이라는 기법을 고안해낸 마사그라함(Martha Graham)은 몸에 붙는 상의와 큰 폭의 스커트를 주로 사용해 가슴의 움직임을 두드러지게 하였고, 또한 스커트의 움직임으로 더욱 강렬하게 작품을 의도해 나갔다. 반면 머스커닝햄(Merce Cunningham)은 동작의 의미보다는 행위자체에 그 의미를 부여하기 때문에 의상은 단지 간편한 연습복 차림이나 레오타드로 선택하고 있으며 얼윈 니콜라이(Alwin Nikoais)는 비인간화를 부르짖으며 무용수들의 신체를 완전히 가리기까지도하는 의상을 선택하여 의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이미지를 최대한 상징화 하였다. 이렇게 안무자의 사상과 무용관(Alvin Ailey)에 따라 의상의 사용이 달라짐을 우리는 알 수가 있다. 앨빈 에일리의 작품 「계시(Revelations)」에서 살펴보면 흑인들의 모습, 생활, 고통등의 주제를 사실적이고 구체적인 의상색과 디자인을 선택함으로써 관객으로 하여금 더욱 가깝게 내용을 전달해주고 있다. 안무자의 사상을 나타내주고 작품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분위기를 나타내주는 무용의상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단순한 상식적인 측면에서의 지식만으로 디자인된 의상은 작품과 연계성이 없으며, 신체에 맞게, 미화만된 의상은 작품의 특성을 표출할 수가 없다. 따라서 무요의상의 적절한 사용과 주제의 표현을 더욱 증대하기 위해서 의상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본 논문에서는 무용의상의 효과적인 표현에 관하여 연구하고 분석하여 창작활동에 있어서 좀 더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의상제작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무용의상에 대한 이론적 접근은 적합한 이미지 전달과 상징성의 효과를 높이고 주제에 가깝게 표현할 수 있는 하나의 매체로서 그 기능을 최대한 활용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importance of dance costumes by which a dance work, as total art, can express its subject most effeciently with dancer themselves and to analyze the effective uses of the costume and their roles as a way of transmitting subjects. Dance Art needs many components before it can be performed on stage, all of which show its subjects, thoughts, and mood as visual elements. Among costumes deliver a work's character and subjects not only in harmony with dancers who put on then but also through a variety of effect such as color, texture, form and so on. Furthermore, they can express every delicate and detail expression, be dissolved into a sort of image with other ones like makeup, stage properties, stage design, and lighting, and take a role of expression and symbols. It may be said that the components of dance costumes are color, line, texture, and lighting and their harmony ; The psychological effects popular colors can make should be used appropriately in making costumes, since they are the strongest elements to express the dancer's characteristics and the mood of a work. Seen in outlines of costumes generally, lines also may have an psychological effect by contrasting them one another sharply, which in turn causes the change of the atmosphere and feelings of a work creatively. The texture of costumes which can be felt visually and sensually is inhterrelated with colors and lines. Same lines may have diffrent finished costumes depending on their textures, while same colors may be appeared differently in terms of intensity of color and its symbolic effect depending on their texture qualifies. Thus, to design proper costume effects coincident with the stage, textures should be selected appropriately and also accord with the stage materials. Finally, lightingm, a visual instrument, is used in a climax part effectively. Then it has great influence on the colors, shapes, and textures of costumes. So, when designing stage costumes, it is under the enviroment of lightinng that you should consider the colors and expressions of materials to be used. With the knowledge said above, the history of dance costmes in modern dance are looked into as follows : Loie Fuller would put on wide and long skirt and utilize lighting effects to have gorgeous stages. Following the spirit of liberating dancintg, Isadora Duncan, one of the creators of modern dancing in the 20st century, would put on free-style costmes and emphasize soft natural lines. Luth St. Denis highlighted oriental patterns and designs, especially from India, expressing the backgrounds and periods of work well. Martha Graham who created an original method of 'contraction-relaxation' would put on tight shirt-waist and wide skirt to emphasize the movement of upper body pursuing her works more intensely with the movement of her skirts. Meanwhile, Merce Cunnigham would see a meaning not from movement but from performance itself so that sht wore simple training clothes or leotards. And Alwin Nikoais suggested nonhumanism and covered his whole body with costume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her costumes. As discussed befor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use of costumes differs depending on the thoughts and the view of dance of choreographer. 「Revelations」 produced by Alvin Ailey represents to the audience the subjects of looks. lives, and agonies of the black realistically by adopting practical and concrete colors and designs for costumes. Though the role which costumes take to express a choreographer's thoughts and the images and feelings of his work is very important, some costumes are designed only on the basis of plain common senses and are likely to lose any relation with the work. Also the body tailored costumes cannot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Therefore, hightlighting the importance of costumes to rein force their subjective ecpression and proper uses, the study analyzes the effective expression of dancing costumes and suggests the more systematic and shematic preparation of costumes for creative performance,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any theoretical approach to the dance costume can deliver proper imanges and strength symbolic effects and its functions should be made exploited to the utmos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2 C. 제한점 = 3 Ⅱ. 무용의상의 중요성 = 4 A. 역할 = 4 B. 구성요소 = 11 1. 무용의상과 색 = 11 2. 무용의상과 선 = 15 3. 무용의상과 질감 = 16 4. 무용의상과 조명 = 21 Ⅲ. 현대무용사에 나온 무용의상의 흐름 = 24 A. 로이 플러 (Loie Fuller, 1862-1928) = 24 B. 이사도라 던컨 (Isadora Duncan : 1879~1927) = 29 C. 루쓰 세인트 대니스 (Luth St. Denis : 1877~1966) = 36 D. 마사 그라함 (Martha Graham, 1893~1991) = 42 E. 머스 커닝햄 (Merce Cunnigham : 1910~) = 52 F. 얼윈 니콜라이 (Alwin Nikoais : 1912~) = 57 Ⅳ. 앨빈 에일리의 작품을 통한 무용의상의 효과 = 62 A. 앨빈 에일리 (Alvin Ailey : 1931~1989)의 작품경향 = 62 B. 작품「계시(Revelations)」에 나타난 무용의상의 효과 = 64 1. 1장 : 슬픔의 방랑자 (Pilgram of Sorrow) = 65 2. 2장 : 나를 물로 데려가세요 (Take Me to the Water) = 78 3. 3장 : 춤을, 다같이, 춤을 (Move, Members, Move) = 88 Ⅴ. 결론 = 96 참고문헌 = 99 ABSTRACT =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8789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무용의상-
dc.subject표현-
dc.subject현대 무용사-
dc.subject.ddc700-
dc.title무용의상의 효과적인 표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ffective Expression of Dance Costume-
dc.creator.othernameKIM, JI EUN-
dc.format.pagevii, 10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