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병호-
dc.contributor.author원필녀-
dc.creator원필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7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7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9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772-
dc.description.abstractThe ame of this research is to fine out what is the dance in Jejudo kut. Therfore,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has decided that " the dane of jejudo kut has been developed in a peculiar style of dance, by a shaman who was called simbang." First of all, the outline of jejudo kut are as follows. The sort of jejudo kut was divided into six patern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ystem. It is of passing ceremony, season ceremony, producing ceremony, curing ceremony, and but building ceremony. Secondly, it is about the instrument and clothing which Sinbang is using. Its instruments are that like Jing, Jang gu, Buck, Seol sol. Its clothings are that like kwoandi style, military uniform style, durumaki style, civilian clothes style, and rope style. Jejudo kut has the musical instrument and dance in artistic aspect. The characteristics of its dance are simplicity, dramatics, and symbolism. In the plot of Jejudo kut, thls research has enaslned it throuh Chogam ceremony. According to its contents, its plots were divided into twenty four. Lastly, On the base of the photo materials, this research went throgh dancing forms in Jejudo kut. Accordingly, even if Jejudo kut didn't differ another region's, but its dance has been peculiar charicteristics, and developping by simbang living in Jejudo. It have been an influence on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at the present as well as the past. And it will contributes to develop the korean folk dances.;무속은 한국 민속 예술의 뿌리라 말하여도 결코 지나치지 않는다. 이는 무속 실제적으로 민속 예술에 커다란 영향을 주고 한 예술장르로서 발전하도록 기여했기 때문인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을 한반도의 최남단에 고립되어 있는 제주도의 굿을 대상으로, 무용학적 측면에서 제주도 굿에 나타난 무무를 연구하였다. 먼저는 제주도 굿의 일반적인 사항들을 고찰하였다. 그 내용들은 통과의례, 계절의례, 예측의례, 치병의례, 생산의례, 그리고 건축의례에 따른 제주도 굿의 종류들, 굿의 무구와 무복, 제단과 굿판의 구성, 그리고 굿의 제의적 절차에 관한 것들이다. 둘째는 제주도 굿이 갖는 예능적 형식를 보았다. 즉 무악으로서 장구, 징(울정), 북(울북), 설쇠(울쇠)와 무악 장단인 늦은 연물, 중판, 잦은 연물과, 신칼들고 추는 춤을 비롯한 24가지 형태의 춤, 그리고 이러한 제주도굿춤이 갖는 고유한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세째는 제주도 굿에서의 춤의 구성을 보았다. 특별히 제주도 굿 중 1만 8천 신이라는 무속의 모든 신을 청해 모셔서 소원을 비는 제차인 초감제를 통하여 제주도 굿이 갖는 춤의 구성을 보았다. 네째로는 제주도 굿에 나타난 춤사위을 살펴 보았다. 특별히 춤의 한 단계 마다 사진을 수록하고 그에 따른 발 스텝과 몸 동작, 그리고 음악 장단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던 사실은 제주도 굿에는 예능적 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는 춤이 잘 나타나고 있으며, 그 특징적인 면으로 단순성, 연극성, 그리고 상징성을 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제주도 굿춤에도 정형화된 구성이 있음과, 마지막으로 제주도 굿에는 독특한 춤사위가 형성화 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論文槪要 = ⅰ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및 범위 = 4 Ⅱ. 제주도 굿의 개요 = 6 A. 제주도 굿의 종류 = 6 B. 제주도 굿의 무구와 무복 = 10 C. 제주도의 굿판과 제단 = 14 D. 제주굿의 제의적 절차 = 16 Ⅲ. 제주도 굿에서의 예술적 형식 = 21 A. 무악 = 21 B. 제주도 굿의 춤 = 25 C. 제주도 굿춤의 특징 = 29 Ⅳ. 제주도 굿에서의 춤의 구성 = 30 Ⅴ. 제주도 굿에 나타난 춤사위 = 34 Ⅵ. 結論 = 75 參考文獻 = 77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079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제주도-
dc.subject굿-
dc.subject-
dc.subject무용-
dc.subject.ddc700-
dc.title제주도 굿에 나타난 춤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ance in Jejudo Kut-
dc.format.pageiv,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