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5 Download: 0

현대사진에 있어서의 정물사진(Still Life Photography) 표현연구

Title
현대사진에 있어서의 정물사진(Still Life Photography) 표현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ill-Life Expression in the Modern Photograph
Authors
서지영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상업사진전공
Keywords
현대사진정물사진Still Life Photography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영우
Abstract
1939년 사진술 초창기의 자연주의와 회화주의 사진으로부터 순수사진, 현대사진에 이르기까지 여러 분야의 창조 행위에서 미술가와 사진가의 어떤 위계질서로부터 미술과 사진을 분리한다는 것은 이제 시대 착오적인 사고방식이 되었다. 1910년경에서 1960년에 이르기까지, 순수사진 예술은 사물 또는 사물의 일부를 설명하거나 순식간에 지나가는 시각적 아름다움을 포착하는 것 뿐이였다. 그러나 오늘날 가장 보편화된 시각언어로 대중화된 사진은 단지 존재 재현에 그치는 것이 아닌 존재 본질의 문제를 각각 다른 표현방법을 통해 새로운 제3의 본질을 탄생시키게 되었다. 컨셉츄얼 아트(Conceptual Art)가 출현한 60년대 후반부터 뉴 웨이브의 물결을 타고 사진은 허구의 세계를 구축하는 만드는 사진(Making photography)으로, 구성사진(Constructed photography)으로 변용하고 있다. 결국 현대사진은 작가의 상상력을 통해 자기 표현과 해석의 기반을 공통점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본인의 작품 제작과 관련지어 현대사진에 있어서 정물사진(Still Life Photography)의 이론적 배경과 표현요소를 연구하고 주요작가의 작품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본인의 작품 제작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많은 가능성을 지닌 방대한 양의 이미지들 가운데 본인이 선택해야 하는 표현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앞으로의 제작방향 모색의 기초로 삼는 정물사진에서 개인적인 독특한 양식을 얻고자 한다.;In the creation act from the photograph of naturalism and painting-line at the early period of photography in 1939 to pure photograph and modern photograph, to separate from any rank order of artist and photographer became the anacgronistic way of thinking now. The pure photograph art from around 1919 to 1960 was only explains the thing or the part of thing, or what catches the visual beauty passing in a moment. However, the photograph of today which was made into the masses with the most universal visual language does not stop in reproducing the existence. but it came to bring forth the new third essence through the method to express the issue of essence differently respectively. From the latter half of 1960s when the conceptual art appeared, photograph has been sought as the medium to imagine "beauty" that the self-expression is made through the imagination of artist with the constructed photography to save the fictitious world and making photography etc., riding the new wave. Thus, in thesis, in connection with my work manufacture at the side of contents, by study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expression element of still-life photograph in the modern photograph and analyzing the work of main artist, on the basis of this, I try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my work manuracture. With the above method, after groping for the possibility of expression that I have to choose among the images of massive quantity to keep much possibility, by making it as the basis of future manafacture direction, 1 try to obtain the individual unique mode in the still-life photograp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사진과편집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