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정숙-
dc.contributor.author류시향-
dc.creator류시향-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5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otherOAK-0000000171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9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7157-
dc.description.abstractA study on supervision is important to the social workers' job growth and skill development, which are prerequisite to the qualitive services for the clien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effective supervision system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supervision methods and supervisees' satisfaction in the social work agencies. To complete this purpose, documentary studies and experimental researches were simultaneously adopted. In the documentary studies, the definitions of super-vision, its functions and goals, and supervision relationships and supervisors roles, supervision styles were discussed. In the experimental research. The inquiry survey was performed for the social workers in the social work agencies. The subjects, which had been classified to the field of agencies, were selected from the cluster sampling.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he 29th to April the 15th in 1990. The measure for the super vision styles were developed from Calton E Munson's "Supervision Questionaire" and the measure for the satisfaction factors were developed from J. D. I(Job Descriptive Index) and Alfred Kadushin's measures. They had been adopted after pretesting their reliabilities. On the data analysis, the general characters of subjects were analyzed with the simple frequency and simple percentage. The relation of the supervisors 'Characters and the supervisees' satisfaction was analyzed with x^(2)-test, and the relations of the supervision styles and the satisfaction with Pearson's-R. The results are summarised as follows, 1) Generally, the supervisees in the social work agencies have high scores in the supervision satisfaction. 2) Both the supervisors' age and their major fields of studies have no relation with supervision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supervisors are females, or they also take their own caseload, the score of the satisfaction shows high. 3) The relation between the supervision types and the supervisees' satis-faction is as follows. When supervisions were helded every week at the minimum, and based on the written recording forms or oral reports, the score shows high. 4) The supervisors' supervision styles in the social work agencies consist in the instructive-advisory one, the supervisees' emotion-centered one, the insight centered one, the laissez-faire one, the authorative one, Among these, the more instructive-advisory and emotion-centered the styles are, the lower score of satisfaction shows.;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자들의 꾸준한 직업적 성장과 기술개발은 클라이언트에게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수적인 것으로 보아 그 방법의 하나인 수퍼비젼 중 사회사업기관에서 주고 있는 수퍼비젼의 방법과 그에 따른 수퍼바이지의 만족도에 관해 알아보고 효과적인 수퍼비젼체계를 모색해내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사회사업 수퍼비젼의 정의, 기능, 목적 및 수퍼비젼 관계, 수퍼바이저의 역할 수퍼비젼스타일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사회복지기관을 사업내용별로 나눈뒤 무작위 추출하는 집락표집으로 선정하고 그러한 기관내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는 1990년 3월 29일에서 4월 15일사이에 실시되었으며 조사에 쓰인 질문지는 Calton E. Munson의 "Supervision Questionaire "에서의 사회사업 수퍼비젼스타일을 수정·보완하고 만족도는 JDI (Job Descriptive Index)의 수퍼비젼차원과 ALfred kadushin의 만족도에 관한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작성하였으며 사전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를 검증한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에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단순빈도와 백분율을 사용하였고 수퍼바이저의 특성과 만족도의 차이에는 T-test를 사용하였으며 수퍼비젼의 방법과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x^(2)-검증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수퍼비젼의 스타일과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Pearson's 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사업기관의 수퍼바이지들이 수퍼비젼에 대해 느끼는 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퍼바이저의 연령과 사회사업학전공여부는 수퍼비젼만족도와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여자 수퍼바이저에게서 수퍼비젼을 받을때와 사례를 담당하는 수퍼바이저에게서 수퍼비젼을 받을때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퍼바이지들이 현재 받고 있는 수퍼비젼의 방법별 특성과 만족도와의 상관관계에서 수퍼바이지들은 정기적으로 수퍼비젼을 받을 때, 그리고 그 횟수는 최소 1주 1회에 기준은 사례를 근거로한 기록과 구두보고의 방법일때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사업기관의 수퍼바이저들이 취하는 수퍼비젼스타일은 교훈·조언형, 수퍼바이지 감정중심형, 통찰형, 방임형, 권위주위형의 순으로 많았으며 이 다섯가지 수퍼비젼스타일 중 교훈·조언형, 수퍼바이지 감정중심형, 통찰형의 수퍼비젼스타일을 많이 취할수록 만족도는 높아지는 반면 방임형, 권위주의형의 수퍼비젼스타일을 많이 취할 때는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고찰 = 5 A. 사회사업수퍼비젼의 정의 = 5 B. 수퍼비젼에 관한 선행연구 = 7 C. 수퍼비젼의 목적과 수퍼비젼관계 = 9 D. 사회수퍼비젼의 기능과 수퍼바이저의 역할 = 12 E.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젼스타일 = 18 Ⅲ. 조사방법 및 절차 = 23 A. 용어의 정의 = 23 B. 조사방법 및 자료수집 = 23 C. 조사도구 = 24 D. 조사자료의 처리 및 분석방법 = 25 Ⅳ. 조사결과 해석 및 주요발견 = 27 A. 조사대상자의 일반인적 특성 = 27 B. 수퍼비젼의 방법별 특성 및 선호별 분포 = 33 C. 연구문제 분석 = 36 Ⅴ. 결론 = 43 A. 분석결과 요약 = 44 B. 제언 = 47 참고문헌 = 49 부록 = 51 Abstract = 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098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사회사업-
dc.subject지도감독-
dc.subject만족도-
dc.subject류시향-
dc.title사회사업지도감독에 대한 만족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atisfaction as Social Work Supervision-
dc.creator.othernameRyoo, Si Hyang-
dc.format.pagev,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date.awarded199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