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3 Download: 0

정신질환자 가족과 정상 가족의 가족환경 지각정도 비교연구

Title
정신질환자 가족과 정상 가족의 가족환경 지각정도 비교연구
Other Titles
(the) family environment where one member of the family is receivieng psychiatric care : a comparative group study
Authors
박혜숙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정신질환자가족정상가족가족환경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광자
Abstract
가족은 개인의 가장 중요한 사회적 환경이며, 건강과 질병의 일차적 자원으로 질병이 발생하고 치료되는 사회적 집단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각 환자들의 치료는 가족의 테두리 안에서 고려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 가족군과 정상 가족군의 가족환경 지각정도를 비교하므로써 환자 및 환자 가족을 위한 보다 효율적인 가족접근적 간호와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환자 가족군의 경우는 서울시 소재 2개 대학 부속 병원 정신과 병동과 1개 개인 정신 병원 그리고 경기도 이천시 소재 1개 정신 병원에 입원하였거나 정신과 외래를 통해 치료받고 있는 환자 가족 중 113 가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정상 가족군은 정신질환자의 기왕력이나 환자를 가족구성원으로 두지 않은 가족 중 131 가족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1991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30일 간이었다. 연구도구로는 Moos의 FES(Family Environment Scale)중 Form R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내용타당도와 신뢰도검사 (Chronbach's Alpha: 0.8145)를 거친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백분율, X^(2)-test, 평균, 표준 편차, ANOVA등의 통계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정신질환자 가족군과 정상 가족군의 일반적 특성의 동질성 검정결과 직업 (P=0.0030)을 제외한 연령, 성별, 학력, 종교, 가족 경제상태, 동거 가족수 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정신질환자 가족군과 정상 가족군의 가족환경 지각정도의 비교에서 1) 가족환경의 3개 차원중에서 정신질환자 가족군은 정상 가족군에 비해 개인성장 차원(P=0.000) 및 체제유지 차원(P=0.000)에서의 지각정도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2) 3개 차원에 따른 10개 항목중 정신질환자 가족군이 정상가족군에 비해 응집력(P=0.000), 독립성(P=0.000), 지적-문화적지향성(P=0.001) 활동-오락지향성(P=0.000), 조직력(P=0.005), 통제(P=0.000)의 6개 항목에서 지각정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갈등(P=0.001)은 정신질환자 가족군이 정상 가족군에 비해 지각정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3개 항목인 표현력(P=0.062), 성취지향성(P=0.201), 도덕-종교적 강조(P=0.926)의 지각정도는 두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정신질환자 가족군과 정상 가족군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환경 지각 정도의 비교 가족환경의 3개 차원중 10개 항목별로 보면 1) 관계 차원중에서 응집력, 갈등 지각정도는 연령, 성별, 학력, 종교, 직업, 가족경제상태, 동거 가족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표현력 지각정도는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개인성장 차원중에서 독립성, 지적-문화적지향성, 활동-오락지향성 지각정도는 연령, 성별, 학력, 종교, 직업, 가족 경제상태, 동거 가족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취지향성 지각정도는 성별에서, 도덕-종교적 강조 지각정도는 종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체제유지 차원중에서 조직력, 통제 지각정도는 연령, 성별, 학력, 종교, 직업, 가족경제상태, 동거 가족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정신질환자 가족군이 정상 가족군에 비해 가족환경 지각정도가 전반적으로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신질환자의 가족환경에 대한 특성을 사정하여 취약한 측면의 가족환경을 강화시키는 효율적인 간호전략을 세워서 전인적인 간호접근에 의한 가족중심적 간호의 기초자료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The family is of critical importance in human-environmental interaction and a primary resource for health. Individuals are in continuous interaction with their families. The family environment is of crucial importance not only in health but also in illness, including the mental illness of one member of the family. In this study, the family environment of families where one member of the family was receiving psychiatric care was compared with that of families where there was no history of psychiatric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oretical understanding and eventually to the planning of theoretical nursing care toward the enhancement of the family as a health promoting environ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30, 1991, from 113 families of patients admitted to two hospitals or attending two clinics in Seoul and KyongKi Province for psychiatic care. The comparative group consisted of 131 families where there was no reported history of psychiatric care. The instrument used was the Moos Family Environment Scale (FES) Form R modified by the investigator. The data were analysed by using an SPSS computerized program and included percentage, X2-test, frequencies and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1. Only occup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general characteristics (P =0.0030). 2.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ES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Personal Growth (P=0.000) and System Maintenance (P =0.000) scores of the comparison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families where one member was receiving psychiatric care. Scores were also higher for the comparison group on six subscales, cohesion (P =0.000), independence (P=0.000), intellectual-cultural orientation (P=0.00l), active recreational orientation (P=0.000), organization (P=0.005) and control (P=0.000), Only conflict (P=0.00l) scores were higher for families where one member was receiving psychiatric care. 3. There were relationships between certain general characteristic variables' and the three dimensions of the FES for the total group. 1) In the Relationship dimension, age, sex, education, religion, occupation, family economic level and the number of people in the family were related to Cohesion and Conflict. 2) In the Personal Growth dimension, age. sex, education, religion, occupation, family economic level and the number of people in the family were related to Independence, Intellectual-cultural orientation and Active-recreational orientation. Sex was related to Achievement Orientation and Religion to Moral-Religious Emphasis. 3) In the System Maintenance dimension, age, sex, education, religion, occupation, family economic level and the number of people in the family were related to Organization. Age, sex, education, religion, occupation, family economic level and the number of people in the family were related to Control. The FES scores were generally higher for families where no one was receiving psychiatric care than for families where one was. The family environment--individual interaction patterns may be critical to the recovery of the individual's mental health and the health promotion of the whole family.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further research and questions raised about the instrument's cultural appropriate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